【브레이크뉴스 경북 】이성현 기자= 자유한국당 컷오프 및 경선이 본격화되면서 볼썽사나운 모습들이 관측되고 있다. 가장 쉽게 볼수 있는 상대 후보 비방은 이번 선거에도 여전하고, 허위 사실 유포 또한 경선이 과열되면서 더 과격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같은 과열 경쟁이 심각해지면서 정가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10일 경주에서는 출마한 경쟁 후보에게 불출마와 다른 지역 출마를 제안해 논란이 일고 있다. 또, 경산에서는 후보자 자신의 직위를 이용해 공정 경선을 해치려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어 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무엇보다 경산의 경우는 공정한 경선을 위해 직위를 내려놓으라는 당의 방침이 있었음에도, 다른 한편에서 줄 세우기를 했다는 의혹이 있는 만큼 사안이 의외로 중하다는 지적이다.
경산 연판장 소문의 진실은 ?
지난 주 일요일, 경산의 한 사무실에 이 지역 시의원과 경북도의원 등 선출직 지지자 일부가 모였다. 자신들이 지지하는 후보의 지지율을 어떻게 끌어 올릴지 고민해보자는 자리로 알려졌지만 실제, 이날 자리가 이 지역 국회의원 후보로 나선 A 씨 쪽에서 주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날 모임의 또다른 진짜 이유는 최근 자신을 둘러싸고 일었던 소문에 대한 해명과 함께 조직의 단도리가 아니었겠느냐는 추측이 일고 있다.
실제, 얼마 전 이곳(경산)에서는 자유한국당 공천 신청자인 A씨가 자신의 직전 자리였던 당협위원장 직위를 이용, 일부 시도의원들에게 이른바 연판장을 돌리려 했다는 의혹과 함께 중단된 사건이 있었다. 이 지역 정가에서는 시도의원 가운데 일부가 작성된 연판장에 사인을 했고, 충성 맹세까지 했다는 식의 괴소문이 돌고 있다. 그러나 학인 결과, 실제 서면으로 작성된 연판장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후보자 본인은 이와 관련되지 않았을 뿐더러 일체 내용도 알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연판장으로 의심할 만한 징후나 실제 줄세우기 의혹 수준도 엿보였다. 실제, A후보를 걱정한 경산시의회 모 의원이 돌출 행동에 나선 것은 사실이었고, 캠프 관계자가 선의의 목적으로 조직 재정비와 함께 이들 시도의원들에게 선제적 지지를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그 수가 극히 일부에 그쳤고, 논란이 일자 바로 중단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이날 모임은 이런 논란에 대한 후보 차원의 해명과 함께 조직의 단도리 차원이었을 것이라는 것.
비록 중단하기는 했지만 이러한 행위가 당이 밝힌 공정경선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당시 행위가 후보자에 대한 단순 지지 당부 성격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지방의회 의원들의 공천권을 가지고 있는 당협위원장의 직위를 활용했다면 상황은 달라진다는 것이다.
실제, 당의 방침으로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기는 했지만 지역에서는 여전히 A 씨를 자유한국당 경산 지역 당협위원장으로 알고 있고, 공천 경선 과정에서도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만은 분명한 만큼 이 정도면 서면은 아니더라도 사실상의 줄 세우기라는 의혹으로는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전하는 사람은 어떤 생각으로 전했는지는 몰라도 듣는 이는 이 발언이 분명한 줄세우기용이자 네편, 내편 구분 발언으로 들렸다고 한다. 일부는 주변 지인에게 이같은 속 쓰린 고민을 이야기했고, 그 과정에서 이번 논란이 야기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산시의회 강수명 의장은 일단은 연판장에 대해서는 부인했다. 그러면서도 “개인적으로는 누구를 지지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시의원이 모두다 선출직인데 지금은 중립을 지키고... 공천을 받으면 도와줘야 되지 않겠느냐”면서 “의원들에게는 중립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서면 연판장까지는 아니더라도 A 후보측이 지역구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는 각 시도의원들을 상대로 지지를 요구한 사실은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이러한 행위가 선거법 위반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더라도 공정 경선을 유도하기 위해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게 한 당의 방침에는 역행한다는 지적이다.
법(法)은 서면으로 작성된 연판장이 있느냐, 없느냐로 선거법 위반 여부를 결정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구두로는 누구든 자신의 지지를 호소할 수 있고 지지하는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면서도 “선출직 등을 대상으로 서면으로 작성된 지지요구는 단순한 지지호소 차원으로 넘길 성격은 아니다 ”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에서는 아직까지 서면 연판장은 발견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경산, 윤두현, 자유한국당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