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조주홍 의원 "독도 재단 역할 더 키워야"

일본의 독도 홍보 비해 경북의 홍보 및 지원 규모 더 키워야 주장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0/06/12 [17:00]

조주홍 의원 "독도 재단 역할 더 키워야"

일본의 독도 홍보 비해 경북의 홍보 및 지원 규모 더 키워야 주장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0/06/12 [17:00]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 국내 독도관련 기관 및 단체는 2020년 기준 247곳, 2015년에 비해 105곳이 증가했고 전체 47%인 115곳이 서울 지역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47곳 가운데 민간단체가 전체의 83%인 205곳에 달했다.

 

민간단체가 대부분이고 지역 역시 서울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정작 독도를 관할하고 있는 경상북도의 역할, 특히 독도재단이 총괄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독도 재단, 독도 알림이 컨트롤 타워 되어야

 

  © 경북도의회 조주홍 의원


독도는 우리 근대사의 아픔을 이겨낸 우리 민족의 자부심이자 반드시 지켜야 할 우리의 고유 영토다. 일본이 1905년부터 독도에 대한 억지주장을 시작해 2005년 2월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면서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영토분쟁의 중심이 됐다.

 

일본은 이외에 올해 1월에는 도코 도심에 ‘영토주권 전시관’을 재개관했다. 이는 한국과 중국, 러시아와 각각 영유권을 놓고 대립하는 댜오위다오 및 부속도서, 독도, 쿠릴 열도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기 위함이다.

이 상황에서 독도를 관할하는 경상북도가 출연한 ‘독도재단’과 일본의 ‘영토주권 전시관’이 비교되면서 독도재단의 역할에 대한 주문이 커지고 있다.

 

경북도의회 조주홍 의원에 따르면 일본의 ‘영토주권 전시관’은 서울 광화문역 지하 광화랑에 있는 독도상설전시장(140㎡)의 약 5배 크기인 673㎡ 규모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곳의 출입구에는 큼직한 글씨로 ‘다케시마 1953년 여름부터 현재, 한국의 실력행사에 따른 불법점거’라고 써놓고 있다.

 

반면, 독도재단은 2009년 5월 안용복 재단으로 출범해 경북 포항시에 조그마한 사무실을 두고 있다. 그렇다보니 독도재단에는 시민들에게 독도를 알릴 수 있는 전시관 하나 없고, 독도재단의 위치를 제대로 알고 있는 시민 또한 드문 상황이다.


더욱이 경북과 울릉군이 150억원을 들여 2013년 9월 개관한 안용복 기념관의 방문객은 2019년 약 3만 명이 찾았다. 같은 시기 독도를 방문한 25만 8천여명의 11%에 불과했다. 독도재단의 역할과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내기 위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 독도 재단 사무실과 독도관련 홍보물 

 

조주홍 의원은 제316회 정례회에서 “⓵독도재단이 독도영유권 수호 및 허브역할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무엇인지, ⓶독도와 독도재단을 교육·홍보 등을 위한 경상북도만의 새로운 접근방법은 무엇인지”를 집행부에 따졌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독도재단이 국내 247개 관련 기관·단체의 플랫폼이 되어 독도 홍보와 홍보를 위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연구기능, 자료를 전시·보관하는 아카이브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민과 연구자가 함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하루 빨리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의회는 지난 2016년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를 쉽게 알릴 수 있는 독도도서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독도재단 부속의 독도도서관 건립을 제시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집행부의 정책추진은 미숙한 상태로 밝혀졌다.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