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당명 바뀔 때마다 국민세금 줄줄샌다

시도당 창고엔 지난 당명 시절 사용한 물품 등 수두룩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0/09/02 [15:49]

당명 바뀔 때마다 국민세금 줄줄샌다

시도당 창고엔 지난 당명 시절 사용한 물품 등 수두룩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0/09/02 [15:49]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 미래 통합당 지역 당원들의 불만이다.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에는 당명 개정과 관련해 불만을 토로하는 민원전화가 심심찮게 걸려온다.

 

대부분 익숙하지 않은 당명과 더욱이 다소 추상적인 어감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 가운데는 특히 안철수 대표의 국민의 당’과 뉘앙스가 많이 비슷한 데서 두 당이 합치는 것이냐고 물어오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당명을 바꿀 때마다 초기 논란은 항상 있다. 익숙하지 않은 데서 오는 불편함 호소가 대부분이지만, 이번 미래통합당의 ‘국민의 힘’이라는 당명 개정은 예년의 그러한 비판과는 좀 결이 다르다는 지적이다.

 

당원들 스스로가 꼭 이런 식으로 이름을 바꾸어야 하는 것인지, 당명 개정이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 깊은 의문이 있다. 당명 개정을 추진했다는 김수민 본부장의 출신성분에 대해서도 지역 정가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미래통합당 경북 지역 당원인 A 씨는 “당명이 무게감보다는 포퓰리즘적이고 가볍게 느껴진다”며 “마치 선거할 때 기획사들이 내놓는 선거 기획용 카피 같다”고 말했다.

 

인터넷에서는 벌써부터 새 이름을 두고 설전이 오갔다. ‘국민의 힘’이라고 하자, 일각에서는 ‘국민의 짐‘이라고 비꼬았다.

 

이에대해 한 네티즌은 “이제까지는 (미래통합당이) 국민의 짐이었지만 이제부터는 국민의 아픔을 덜어드리는 국민의 짐꾼이 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달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당명 개정의 폐해는 이런 것이 아니다. 사실 댓글 등과 같은 논란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사라진다. 문제는 통합당의 경우, 당명을 바꾸면서 6개월 전에 제작했던 통합당 관련 물품을 모조리 폐기해야 할 판이다.

 

실제 지역 시도당 창고에는 지금도 한국당 시절에 입었거나 사용했던 물품들이 있다. 여기에 통합당으로 바꿔 타면서 통합당 물품들이 쌓였다.

 

심지어 새로이 조직된 시도당 당직자들의 위촉장도 다시 제작해야 할 판이다. 지난 총선 당시 입었거나 사두었던 당원들 의류와 현수막, 책자 등 인쇄물, 깃발 등 모두 다시 제작하거나 버려야 하는 것들이다.  그럼에도 2일 있었던 통합당 전국위원회에서 ’국민의 힘‘은 당명으로 최종 결정됐다.

 

한편, 창고에 쌓여 있는 물품에는 상당수 국민 세금이 포함되어 있다. 때문에 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정당도 가져다 사용하는 국민 세금의 사용처와 규모를 국민에게 알려야 할 의무가 있는 만큼, 국회와 정부, 시민단체, 언론 등으로 구성된 별도의 기구를 통한 정당의 회계 등에 관련한 감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는 1년에 한 번씩 정부 기관과 지방자치 기관 등에 대하여 국정감사와 행정감사 등을 실시하고, 감사원 등 각 기구별로 별도의 감사를 모든 공공기구와 공공기관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유독 같은 세금을 가져다 사용하는 정당에만큼은 감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