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안동 풍천․남후 지역, 산불 극복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변신중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5/23 [12:07]

안동 풍천․남후 지역, 산불 극복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변신중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2/05/23 [12:07]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지난 2020년 4월 24일부터 4월 26일까지 발생한 산불로 209억원의 산림피해가 발생했던 안동 풍천․남후 지역이 아름다운 숲으로 변신 중이다.

 

▲ 산불피해지 조림 현황  © 경북도


23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안동 풍천․남후 대형 산불피해지를 복구하기 위해 3년에 걸쳐(2021년~2023년) 1078ha에 161억원 예산을 투입해 경관림, 내화수림대, 경제림, 밀원수 및 특용수를 조림하며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조성하고 있다.

 

지난 2020년 4월 24일부터 4월 26일까지 발생한 산불은 건조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강풍과 낙동강에서 불어오는 돌풍이 만나 순간 최대풍속 9~19㎧의 바람이 산불을 빠르게 확산시켜 209억원의 산림피해가 발생했다.

 

경북도는 산불피해지의 세밀하고 체계적인 복구를 위해 지역주민ㆍ자문위원 등 의견을 수렴해 산불피해지 복구사업 기본계획 용역을 추진했다.

 

산림의 종 다양성과 건강성 확보를 위해 침엽수와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 조성, 주요 시설물이나 대형 산불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수종을 심은 내화수림대 조성 등 3차년(2021년~2023년)으로 복구조림 계획을 수립했다.

 

1차 연도(2021년)는 공해가 발생하는 고속도로 주변으로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강한 산벚나무, 가시권역인 민가주변 등에는 이팝나무를 위주로 400ha에 59.3만 본을 식재했다.

 

2차 연도(2022년)는 내화수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을 식재해 산불예방 및 대형 산불로의 확산 방지, 가시권역내 경관이 뛰어난 지역에는 산벚나무, 이팝나무 식재, 목재생산 등 경제림 조성을 위한 낙엽송 식재 등 다층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침엽수와 활엽수를 섞은 혼효림으로 400ha에 80.5만 본을 식재했다.

 

3차 연도(2023년)는 가급적 지역주민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밀원수 및 특용수인 헛개나무 식재, 능선부를 따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심어 내화수림대를 조성하는 등 278ha에 41.7만 본을 식재할 계획이다.

 

▲ 산불피해 복구 전 모습  © 경북도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한 순간의 부주의로 잃어버린 소중한 산림을 건강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복구하여 미래 세대가 풍요로운 산림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Andong Pungcheon/Namhu region overcoming forest fires and transforming into beautiful forests

 

The Pungcheon and Namhu regions of Andong, which suffered forest damage of KRW 20.9 billion due to the wildfires that occurred from April 24 to April 26, 2020, are transforming into beautiful forests.

 

According to Gyeongsangbuk-do on the 23rd, in order to restore the large-scale forest fires in Andong Pungcheon and Namhu, over 3 years (2021-2023), 16.1 billion won was invested in 1078ha and reforested landscape forests, fire-resistance forests, economic forests, secret sources and special trees. and creating a healthy and beautiful forest.

 

The forest fire that occurred from April 24 to April 26, 2020, was accompanied by a strong wind and a gust from the Nakdong River while a dry warning was issued. has occurred

 

For detailed and systematic restoration of forest fire-damaged areas, Gyeongsangbuk-do promoted the basic plan service for forest fire-damaged area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advisors.

 

Afforestation restoration plan for the third year (2021-2023), including the creation of a mixed forest with a mixture of conifers and broadleaf trees to secure the species diversity and health of the forest, and the creation of a fire-resistant forest zone planted with fire-resistant species to prevent the spread of major facilities or large wildfires. has established

 

In the first year (2021), 593,000 trees were planted on 400ha, mainly wild cherry trees with strong cold resistance and pollution resistance around highways where pollution occurs, and poplar trees in the visible area around private houses.

 

In the second year (2022), fire-resistant oaks and oyster oaks were planted to prevent forest fires and to prevent the spread of large-scale wildfires, and in areas with excellent views within the visible area, planting wild cherry trees, cypress trees, and larch for economic forest creation such as timber production. 805,000 trees were planted in a 400 ha mixed forest with a mixture of conifers and broad-leaved trees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In the 3rd year (2023), plant 417,000 trees on 278ha, including planting sagebrush, a wheat source and special tree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come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and planting oaks and oyster oaks along the ridge to create a fire-resistant forest. plan to do

 

Choi Young-sook, director of the Gyeongsangbuk-do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Bureau, said, "We will do our best to restore the precious forests lost due to a moment's carelessness to healthy and beautiful forests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enjoy the benefits of abundant forest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경북도, 특별재난지역 ‘임업직불금’ 신청기한 5월 15일까지 연장
  • 경상북도,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비 ‘공명선거 추진 및 지원상황실’ 운영
  • 경북, ‘동네상권발전소’ 전국 최다 3곳 선정...영주·청도·구미
  • 경북 영양군, 산불 피해 피했던 한우·젖소 종축 286마리 무사 복귀
  • 경상북도, ‘2025년도 물관리 업무 시책 회의’ 개최
  • 경북도, 연말연시 애도속 주민 안전 철저한 점검
  • 경북의 콘텐츠 이야기 K-스토리 페스티벌 개막
  • 경상북도 인사위원회 심의 결과
  • <인사>경상북도 7월 1일자
  • 경상북도 1월 5일자 인사 <4급 승진 1명 포함>
  • 경북도, 내년도 낙동강수계 특별지원사업에 6개 시군 선정
  • 영천ㆍ경주시, 경북도 혁신 및 적극행정 부문 대상 수상
  • 경북도, 열린 화장품 제작ㆍ창업 공간 코스메이커스페이스 개소
  • 경북도, 봉화 금호광산 고립자 구조 장비와 인력 지원요청
  • 경북도, 안전사고 예방 위해 건축물 일제점검 실시
  • ‘2022 경북 스타트업 투자매칭데이’ 포항서 열려
  • 경북도, 긴급복지지원 대상자 선제적 지원
  • 경북도, 공공보건의료 비전 선포
  • 경북 농업기술원, 생산을 위한 주아관리 방법 제시
  • 경북도, "디지털 혁신 거점과 이노베이션아카데미 최적지"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