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지역 시민단체가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의 공공병원 인식전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우리복지시민연합 등은 홍준표 당선인의 대구시장직 인수위의 자질과 전문성에 우려를 나타내면서 “짧은 기간 동안 시정 전반을 들여다보고 대구의 혁신적 발전을 위한 주요 전략을 구체화하여 공약 실행의 우선순위와 산적한 현안문제를 조정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설득한 명분을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의문을 제기해왔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이하 연합)은 “홍준표 당선인은 외부 수혈을 통한 인사방침과 몇 가지 굵직한 현안 문제를 언급하며 부정적이거나 다른 의견을 제시했고, 이 중 논쟁이 되는 사안도 있다”며 그 가운데 제2의료원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16일 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제 2의료원 관련 기사에 대한 해명자료에도 불구하고 “홍준표 당선인은 계속 제2의료원 설립에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기더니 지금 와서 제2의료원 신설 반대를 말한 적이 없다며 한발 물러난 진정한 의도는 알 수 없으나, 해명자료 등에 의하면 매우 심각한 현실 인식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공공의료를 이야기할 때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경쟁적으로 수익 창출에 몰두하는 구조로 고착화되어 공공성을 상실한 사적, 상업적 중심체계로 개편되는 점이 한국의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라는 점을 꼬집으며 “하지만 이러한 현실에서 홍 당선인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이미 공공의료’라는 말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민간병원을 포함한 모든 병원이 코로나 전담병원 등으로 역할을 하지 못한 이유를 홍 당선인이 해명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는 의료 자체가 공공성이 있지 않느냐, 공공의료기관이 아니더라도 모든 의료기관이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할 수 있지 않느냐는 다소 현실과 동떨어진 원론적인 입장을 듣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이미 공공의료’라는 자신의 말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이어 “홍 당선인의 말대로라면,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 등을 통해 우리는 배운 것이 없게 된다. 오히려 한국의 의료체계가 다 공공의료인데, 전염병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한 공공의료를 한탄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공공병원이라고 공짜로 치료해준다는 홍 당선인의 발언도 논란에 싸였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이에 대해서도 “대구시민을 무시하는 몰지각한 표현”이라며 “대구 시민들은 코로나 상황을 지나면서 공공병원이 필요한 이유를 절실히 알게 되었고, 대구시 용역에서 제2의료원 설립이 타당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설문조사에서도 시민 66.7%가 제2의료원 설립에 찬성했고, 87.6%가 공공병원 이용 의향이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홍 당선인은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공공병원을 이용하고자 하는 많은 지역민들이 공짜 진료비 때문에 공공병원 설립을 원하는 것이야”고 의문을 제기하며 “빈곤층 일부에게 지원하는 의료비 지원은 부족하지만, 제도적으로 보장된 권리이고, 공공병원의 빈곤층 진료 비율이 높은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한국의료가 모두 공공의료이면 대구의 상급종합병원 등 종별 구분 없이 빈곤층 진료 비율은 비슷해야 한다. 그럼에도 빈곤층의 진료 비율이 다른 이유를 홍 당선인은 설명하라”고 거듭 비판했다.
우리복지시민엽합은 “대구제 2의료원을 건립하자는 취지부터 홍 당선인이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라며 “의료취약계층 대상에서 모든 시민대상으로, 충분한 시설과 인력을 확보해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필수의료분야를 제공하고,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며 적정진료를 제공하여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신뢰받는 공공병원을 건립하자는 것이 제2의료원을 건립하려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은 인수위 출범 때 ‘담대한 변화를 이루지 못하면 대구는 계속 쇠락과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는 것을 우리 모두 명심하고 인수위 여러분만이 아니라 대구시민 모두의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지만 현재 인수위의 자질과 전문성으로 볼 때 보건의료와 돌봄 등 보건복지 전문가가 매우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효성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얼마나 나오고 각종 현안을 객관적으로 조정할지도 의문이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공개적으로 토론하거나 공론화 과정을 밟아 정책을 결정해야 담대한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데 불통과 밀어붙이기식으로 제2의료원, 대구사회서비스원의 통폐합 등을 결정해서는 안 된다”며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의 담대한 변화를 위해 공공병원 인식 전환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거듭 밝혔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A civic group in the Daegu area has called for Hong Jun-pyo, elected mayor of Daegu, to change the perception of public hospitals.
The Woori Welfare Citizens' Coalition, etc.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qualifications and expertise of President-elect Hong Jun-pyo's takeover committee for Daegu mayor position, say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we will look into the overall administration of the city and materialize major strategies for Daegu's innovative development, prioritizing the implementation of promises and a number of pending issues. I don't know if I can make a justification to persuade the citizens of this by making adjustments.”
The Woori Welfare Citizens' Coal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ederation) said, "President Hong Jun-pyo mentioned the personnel policy through external blood transfusion and several major pending issues, and presented negative or different opinions, some of which are controversial." raised questions about the medical center,
The Woori Welfare Citizens' Coalition said, "Despite the clarification of the article related to the second medical center announced by the transition committee on the 16th, President-elect Hong Jun-pyo continued to spread negative nuances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medical center, and now he has never said against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medical center. The true intention of taking a step back is unknown, but according to clarifications, etc., he revealed a very serious perception of reality.”
Woori Welfare Citizens' Coalition said, "When talking about public health car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of Korean health care is that the Korean medical system is being reorganized into a private and commercial-oriented system that has lost its public character as it has become entrenched in a structure that is focused on competitively generating profits." “But in this reality, as President-elect Hong said, ‘Korea’s medical system is already public health care’ is absurd.”
President-elect Hong must explain why all hospitals, including private hospitals, could not play a role as corona-only hospitals during the COVID-19 disaster situation. I do not want to hear a principled position that is somewhat far from reality as to whether medical institutions can provide public health care, but present evidence to support your statement that 'Korea's medical system is already public health care'." did.
The Citizens' Coalition for Welfare continued, "As President-elect Hong said, we will learn nothing from MERS in 2015 and Corona 19 in 2020. Rather, Korea's medical system is all public health care, and we have no choice but to lament public health care that has failed to properly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media reports, President-elect Hong's remarks that it was a public hospital and that it was free treatment were also engulfed in controversy. The Citizens' Coalition for Welfare also said, "This is a ignorant expression that ignores the citizens of Daegu." "Daegu citizens became acutely aware of the reason for the need for a public hospital as they passed through the Corona situation, and a study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 medical center was justified in Daegu City's service. In the survey, 66.7% of citizens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 medical center, and 87.6% said that they intend to use a public hospital, what do you think of President-elect Hong?
He questioned, “Many local residents who want to use public hospitals want to establish public hospitals because of free medical expenses. It is also undeniable that the treatment rate is high. If all Korean medical care is public health care, the proportion of treatment for the poor should be similar regardless of type, such as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 Daegu. Nevertheless, President-elect Hong explains why the treatment rates for the poor are different.”
Woori Welfare Citizens' Coalition said, "From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econd Daegu Medical Center, President-elect Hong should know properly. “The key to establishing a second medical center is to build a trusted public hospital that provides medical services, responds to new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s appropriate treatment to alleviate the economic burden of patients.”
“Daegu Mayor-elect Hong Jun-pyo said when the transition committee was launched, ‘If we don’t make bold changes, we all need to keep in mind that Daegu will continue to decline and fall, and we ask for the participation of not only the transition committee but also all Daegu citizens’. Considering the qualifications and expertise of the current transition committee, there are very few health and welfare experts such as health care and care.”
He continued, “It is questionable how many effective new ideas will come out and whether various issues will be objectively adjusted. The controversial part can lead bold changes only when policy decisions are made through public debate or public debate. We strongly demand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ublic hospitals for the bold change of Daegu Mayor-elect Hong Jun-pyo.”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홍준표, 대구시장, 대구 제 2의료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