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10여년 협상의 결과가 뒤집혔다. 대구시민의 먹는 물 협상 이 사실상 깨졌다. 시민들의 우려가 현실화됐다.
대구시는 17일 구미시에 맑은 물 상생협정 해지를 통보했다. 대구시는 김장호 구미시장의 △지방선거 후보 당시의 상생협정 반대활동과 △현재 상생협정의 요건 미비 및 무효 주장 △기 합의된 해평 취수장이 아닌 타 취수장 협의 요구 등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했다“며 ” 당초 협정의 이행이 구미시의 귀책사유로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해지 사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구미 5산단 유치 업종 변경 및 확대에 따른 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히 접근하겠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임도 분명히 했다.
구미시도 18일 입장을 통해 상생 협정 파기의 원인은 구미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사실상의 협정 파기를 공식화했다.
구미시는 18일 입장문을 통해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에 대한 대구시의 일방적 파기 통보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대구시와 맑은 물을 함께 공유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은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김장호 구미시장이 취임 한 달 기자회견 에서 밝힌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 현안’이란 의미는 “홍 시장이 선거과정에서 안동물을 먹겠다고 공약한 만큼 대구시에서 기존 협약에 대해 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방식으로 다양하게 할 것인지 대구시가 주도적으로 해야 된다는 의미였다”면서 “구미시는 그동안 물을 못 준다, 협정서를 무효화 또는 파기를 선언한 일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시장의 대구시 현안 발언은 홍 시장이 선거 당시 공약한 안동댐 식수 발언에 따른 구미시 입장이었을 뿐, 협정 파기 원인이 될 수 없다는 주장으로 결국 이번 협정서 파기의 귀책사유는 대구시, 즉 홍준표 시장의 안동댐 발언이 원인이라는 것.
구미시는 또 “홍 시장의 행보를 보면 권영진 전 대구시장이 합의한 내용을 이행할 의도가 없다는 의구심이 든다”며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권리와 역할이 분명함에도 대구시는 관할 권역이 아닌 구미시의 행정사무에 대한 지휘, 감독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면서 홍시장의 자제를 촉구했다.
또 구미시는 “권영진 전 대구시장이 안동물을 이용할 줄 몰라서 해평취수장을 이용하겠다고 협정에 나선 것이 아니다”며 “홍 시장의 ‘맑은 물 하이웨이’구상은 이미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용역의 3가지 안에 포함된 유사한 안으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제척된 안”이라고 비판했다.
나아가 “홍 시장이 취수원을 이용해 구미를 압박하는 것은 규제개혁위원회의 정부 방침에 역행하는 처사”라면서 “구미에서 정상적으로 환경관련 법령을 준수하면서 기업 활동을 하는 기업인들을 위축시키고 건전한 지방투자를 저해하는 행동”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홍준표, 김장호 두 단체장 책임론 부각
두 도시는 모두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새로운 단체장이 선출된 곳이다. 이전 단체장들이 어떤 노력을 통해 결실을 맺어왔든 상관없다는 듯 낙동강 다변화 정책 및 상생협정은 완전히 뒤집힐 판이다.
이에 따라 두 단체장의 책임론도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켜보는 시민들 입장에서는 두 사람의 발언을 두고 "망언에 가깝다"고 평하고 있다.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에 관한 협약은 민선7기 때 환경부, 경북도, 구미시, 수자원공사와 맺었다. 두 지역 단체장의 공식적인 협정 파기로 대구시는 대구시대로 구미시는 구미시대로 각각의 대응과 조치에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먼저 대구시는 지난 16일 낙동강 환경 보전과 안전한 식수 확보를 위해 구미시에 △전체 산업단지에 대해 오·폐수 정화시설을 보강할 것 △구미5국가산업단지에 화학공장과 유독물질 배출공장이 입주할 수 없도록 할 것 △오·폐수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할 것 △구미5공단의 유치 업종 확대에 대구시는 더 이상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30년간 대구 시민들은 상류 구미공단의 오염원 배출로 고통받아온 피해자인데도 낙동강의 식수를 얻기 위해 굽히고 인내해 왔다"며 "안동댐 1급수 댐물을 가져오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끊는 발상의 전환으로 대구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겠다"고 했다.
이후 홍 시장은 권기창 안동시장을 만나 낙동강 상류에 있는 안동지역의 댐 물을 대구로 끌어오는 방안(맑은물 하이웨이)을 논의했고, 안동시도 긍정적인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 문제는 김장호 구미시장의 발언 이후 결정했다기보다 이미 홍 시장이 지방선거 당시부터 안동 댐물의 식수 활용을 먼저 언급하면서 사실상 논란을 가져 온 측면이 크다는 지적이다.
문제는 어떤 방식이든 해결 될 가능성이 있느냐의 여부다. 지금으로서는 구미시와의 화해에 따른 기존 협정 방식 채택도 어렵다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안동댐 물을 사용한다는 홍 시장의 방식도 성사 가능성은 더욱 어려워 보인다.
단체장이 물을 주기로 했다고는 하지만 안동시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안동 시민 뿐 아니라 대구시민들 사이에서도 구미시와의 상생 협정을 지지하는가 하면, 일부 시민단체는 안동댐으로의 취수원 이전을 환영하고 있다.
낙동강물의 다변화 방식이든 강변여과수 활용 방식이든, 구체화되거나 확전단계인 것도 없다. 다시금 대구시 먹는 물 문제는 원점으로 되돌아왔다고 말하는 이유다.
자동적으로 홍준표, 김장호 두 단체장에 대한 비난과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맑은 물 상생협정 파기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부터 따져 두 단체장에 책임을 짓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
중재자의 역할로 봐야 하는 경북도는 “대구․경북이 원팀 정신을 바탕으로 상생 발전해야 한다”는 원론 입장을 나타내며,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민․관 TF를 구성했다.
그러면서 경북도는 18일 자료를 통해 “2019년 정부와 영남권 시․도지사들의 합의하에 구미와 임하댐을 대상으로 물 관련 전문기관의 연구․검토를 거친 결과, 구미광역취수장이 있는 구미시 해평면이 타당한 것으로 결론 났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선 8기 들어 대구시가 낙동강 상류인 안동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그동안 어렵게 마련한 대구 취수원 이전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의 이같은 입장은 홍준표 현 대구시장을 겨냥한 우회적 불만 표시라는 해석이다.
그러면서도 정부가 취수원 문제에 적극 나서라는 메시지를 함께 던지면서 두 단체장 및 양 도시의 갈등 상황이 재연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영남권 식수원 해결을 위해 경북도가 양도시간 중재의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며 두 단체장의 자제를 당부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Ten years of negotiations have turned upside down. As the final conclusion of the drinking water negotiations among the citizens of Daegu was eventually distorted, the concerns of the citizens at the beginning of the 8th popular election became a reality.
Daegu City notified Gumi City of the cancellation of the clear water win-win agreement on the 17th. Daegu City considered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1) opposition to the win-win agreement at the time of the local election candidate Kim Jang-ho of Gumi mayor, 2) the current lack of requirements for the win-win agreement and the claim to be invalid, and 3) the request for consultation with a water intake site other than the previously agreed Haepyeong water intake site. “It was decid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original agreement could not be carried out any longer due to reasons attributable to the city of Gumi,” he said.
He also made it clear that “we will take a careful approach to whether or not to agree to the change and expansion of the Gumi 5th Industrial Complex in the future.”
The city of Gumi also made a statement on the 18th, emphasizing that Gumi City was not the cause of the cancellation of the win-win agreement, but also formalized the de facto termination of the agreement.
In a statement on the 18th, the city of Gumi said, "We are deeply sorry for the notification of the unilateral cancellation of the agreement on the sharing of clean water and win-win development by the city of Gumi." said.
The meaning of 'relocating water sources is a current issue in Daegu', which Mayor Kim Jang-ho revealed at a press conference a month after his inauguration, means, "As Mayor Hong promised to eat an animal in the election process, will Daegu City proceed with the existing agreement, or will it be decided in a new way? It meant that the city of Daegu should take the initiative,” he emphasized again and again, adding, “Gumi city has not announced that it will not give water or nullify or cancel the agreement.” Mayor Kim Jang-ho's remarks on Daegu City's current issues were only Gumi City's position following Mayor Hong's pledge to plant water on Andong Dam at the time of the election, and asserted that it could not be the cause of the agreement. that is the cause.
The city of Gumi also said, “Looking at Mayor Hong’s actions, I have doubts that he has no intention of carrying out the agreements agreed by former Daegu Mayor Kwon Young-jin. They are claiming that they can exercise the authority to direct and supervise the administrative affairs of the city,” he said, urging Mayor Hong to restrain himself.
In addition, the city of Gumi emphasized, “Former Daegu Mayor Kwon Young-jin did not enter into an agreement to use the Haepyeong water intake because he did not know how to use the animals.” It is a similar plan included in the three items, and it was excluded because it was not economical.” In addition, “Mayor Hong’s use of water intake sources to pressure Gumi is against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Regulatory Reform Commission. ” he repeatedly criticized.
Hong Joon-pyo and Kim Jang-ho highlight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In both cities, new group heads were elected in the local elections last June. The Nakdong River diversification policy and win-win agreement are about to be completely overturned, as if it doesn't matter what efforts the previous group heads have made.
Accordingly, the responsibility theory of the two heads of organizations is expected to be highligh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atching citizens, the comments of the two men are "close to reckless language".
The agreement on the joint use of the Haepyeong water intake was signed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sangbuk-do, Gumi-si, and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uring the 7th popular election. With the official termination of the agreement by the heads of the two regional organizations, Daegu City is in the position to enter the Daegu Era and Gumi City in the Gumi Era, respectively, to respond and take measures. First of all, Daegu City on the 16th, in order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Nakdong River and secure safe drinking water, Gumi City will 1) 'reinforce sewage and waste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for the entire industrial complex; They said, “The city of Daegu will no longer agree to the expansion of businesses to attract residents of the Gumi 5 Industrial Complex.”
Then, Daegu Mayor Hong Jun-pyo said, "For the past 30 years, Daegu citizens have been bending over and persevering to obtain drinking water from the Nakdong River, even though they have suffered from the discharge of pollutants from the upstream Gumi Industrial Complex. We will protect the safety and health of Daegu citizens by changing our thinking.”
Afterwards, Mayor Hong met Andong Mayor Kwon Ki-chang to discuss a plan to bring water from the Andong area 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Daegu (Clean Water Highway), and Andong City also expressed a positive will.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is issue is not a decision after Gumi Mayor Kim Jang-ho's remarks, but rather has caused controversy since Mayor Hong mentioned the use of drinking water from the Andong dam before the local elections.
The question is whether there is any possibility that it can be solved in some way. At present, it i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adopt the existing agreement method following reconciliation with Gumi. However,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completion of Mayor Hong's method of using the Andong Dam water seems even more difficult.
Although the head of the group said that he would give water, the protests from Andong citizens are expected to intensify. Not only Andong citizens but also Daegu citizens support the win-win agreement with Gumi, while some civic groups are welcoming the relocation of the water intake to Andong Dam.
Whether it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Nakdong River water or the use of riverside filtrate, there is nothing concrete or in the stage of expansion. This is the reason to say that the drinking water problem of Daegu City has returned to its origin.
Criticisms and theories of responsibility are automatically emerging against the two leaders, Jun-pyo Hong and Jang-ho Kim.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two leaders should be held accountable by considering who is responsible for breaking the clear water win-win agreement.
Gyeongsangbuk-do, which should be viewed as a mediator, expresses a principled position that “Daegu and Gyeongsangbuk-do should develop win-win based on the one-team spirit”, and formed a public-private TF led by Deputy Governor of Economics Lee Dal-hee as the leader.
In addition, through data on the 18th, Gyeongsangbuk-do said, “As a result of research and review by a water-related institution for Gumi and Imha Dam under th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ayors and provincial governors of the Yeongnam region in 2019, it was concluded that Haepyeong-myeon, Gumi-si, where the Gumi-city water intake plant is located, is reasonable. It happened,” he emphasized.
He added, "As the city of Daegu began reviewing ways to receive water from the Andong Dam, 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in the eighth election, there are concerns that the plan to relocate the Daegu water supply source, which has been difficult in the past, is failing." Gyeongsangbuk-do's position is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Daegu Mayor, Hong Joon-pyo.
At the same time, while throwing a message that the government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the issue of water sources, it was made clear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leaders and the two cities should not be repeated.
Provincial Governor Lee Cheol-woo said, “Gyeongsangbuk-do will faithfully play the role of mediating the transfer time to resolve the drinking water source in the Yeongnam regio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김장호, 홍준표, 취수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