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김정재 의원, "20년째 16개 품목만 판매... 제주 지정면세점, 규제 완화 필요"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2/09/28 [10:18]

김정재 의원, "20년째 16개 품목만 판매... 제주 지정면세점, 규제 완화 필요"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2/09/28 [10:18]

【브레이크뉴스 포항】박영재 기자=김정재 국회의원(국민의힘·포항북구,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주 지정면세점이 2002년도에 개점한 이후 20년째 판매 품목을 16종의 품목으로 제한받고 있어 관광객의 면세점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 김정재 의원     ©박영재 기자

판매 품목뿐만 아니라 1회 면세한도 및 구매한도는 600달러(약 80만원)로 제한되어 있고, 이용 횟수 역시 1년간 6회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국제선 면세점에는 없는 규제들이다.

  

지정면세점은 제주도의 국제자유도시 조성 재원 마련 방안으로 도입되었으며 2002년 개점해 면세점 수익금 전액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재투자되고 있다.

  

2001년 김대중 정부는 「제주국제자유도시 기본계획」 수립당시 지정면세점에 대해 과소비 조장 및 유통질서 교란 우려 등의 이유로 판매품목, 이용횟수, 구매한도 등 여러 규제를 적용하여 제도를 수립하였고 현재까지 해당 규제는 적용되고 있다.

  

현재 제주 지정면세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16종의 품목은 ①주류, ②담배, ③시계, ④화장품, ⑤향수, ⑥핸드백, 지갑, 벨트 ⑦선글라스, ⑧과자류, ⑨인삼류, ⑩넥타이, ⑪스카프, ⑫신변장식용 액세서리, ⑬문구류, ⑭완구류, ⑮라이터, ⑯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신변잡화류이며 그 밖에 제주특례자치도 조례가 정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관광객들이 면세점에서 주로 찾는 인기 물품인 전자제품이나 골프용품은 판매 품목에 포함되어있지 않는다.

  

주변 국가의 지정면세점과 비교해도 제주 지정면세점은 더 많은 규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도에 개점한 일본의 오키나와 지정면세점은 판매 품목에 제한이 없으며 1회 면세 한도는 20만엔 (약 193만 원)이며 (외국인은 무제한) 이용 횟수에도 제한이 없다.

  

또한 2011년 개점한 중국의 하이난 지정면세점은 2020년 판매 품목을 38종에서 45종으로 확대했으며, 3만 위안(약 595만원)이던 면세한도 및 구매한도를 10만위안 (약 1,942만원)으로 상향했다. 하이난 지정면세점 역시 이용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김정재 의원은 “IMF 시절 만들어진 규제논리가 아직도 제주 지정면세점에 적용되고 있어 제주도 관광객의 면세점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며 “규제혁신을 통해 내수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제주 지정면세점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한 품목의 순위를 살펴보면 1위 화장품(8,145억 8,352만 7,280원), 2위 담배(6,162억 6,443만 4,705원), 3위 주류(4,593억 9,718만 1,120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높은 매출을 기록한 브랜드의 순위는 1위는 (주류) Ballantines(393억 3,050만 8,600원) 2위는 (담배) ESSE(361억 3,732만 400원) 3위 (주류) Johnnie Walker(237억 9,673만 2,180원), 4위 (주류) Royal Salute(227억 9,850만 7,090원), 5위 (향수) CHANEL(185억 6,416만 9,340원) 이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Rep. Kim Jung-jae, "Jeju designated duty-free shop selling only 16 items for 20 years, regulations need to be relaxed"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Center (JDC), National Assemblyman Jeong-jae Kim (People’s Power, Pohang Buk-gu, belonging to the Land and Transport Committee) has sold 16 items in the 20th year since the Jeju Designated Duty Free Shop opened in 2002. On the 28th, it was revealed that it was found to cause inconvenience to tourists using the duty-free shop.

 

The duty-free limit and purchase limit, as well as items for sale, are limited to 600 dollars (about 800,000 won), and the number of use is also found to be only 6 times a year. These are all regulations that international duty free shops do not have.

 

Designated duty-free shops were introduced as a way to finance the creation of a free international city on Jeju Island.

 

In 2001, the Kim Dae-jung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by applying various regulations such as items sold, number of times of use, and purchase limit, etc. to the designated duty-free shop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for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due to concerns about promoting excessive consumption and disturbing the distribution order. Regulations are in effect.

 

Currently, 16 items that can be purchased at Jeju designated duty-free shops are: ① Alcohol, ② Tobacco, ③ Watch, ④ Cosmetics, ⑤ Perfume, ⑥ Handbag, wallet, belt ⑦ Sunglasses, ⑧ Confectionery, ⑨ Ginseng, ⑩ Tie, ⑪ Scarf, ⑫ Accessories for personal decoration, ⑬ stationery, ⑭ toys, ⑮ lighters, ⑯ personal miscellaneous goods determined and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Electronic products and golf equipment, which are popular items that tourists usually find in duty-free shops, are not included in the sale items.

 

Compared to designated duty-free shops in neighboring countries, Jeju-designated duty-free shops were found to be subject to more regulations.

 

The Okinawa Designated Duty Free Shop in Japan, opened in 1998, has no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items sold, and the limit of one-time duty free is 200,000 yen (approx.

 

In addition, the designated duty-free shop in Hainan, China, which opened in 2011, expanded its sales items from 38 to 45 in 2020, and raised the duty-free limit and purchase limit from 30,000 yuan (about 5.95 million won) to 100,000 yuan (about 19.42 million won). did. There is also no limit on the number of use of Hainan Designated Duty Free Shops.

 

Rep. Kim Jeong-jae said, “The regulatory logic created during the IMF is still applied to Jeju-designated duty-free shops, causing inconvenience to Jeju island tourists. did.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ranking of items that recorded the highest sales at designated duty-free shops in Jeju from 2017 to July 2022, cosmetics (81,458,352,27,280), cigarettes (61,264,434,705), and alcoholic beverages, ranked third (459.397,181,120 won) appeared in the order.

 

Ranking of brands with high sales in 2021: 1st place (alcoholic beverages) Ballantines (39.335 billion 8,600 won) 2nd place (tobacco) ESSE (36,137324 million won) 3rd (alcoholic beverages) Johnnie Walker (23.7 billion won) 96,732,180 won), 4th (alcoholic) Royal Salute (2,2798.507,090 won), and 5th (perfume) CHANEL (18.5,64,69,340 won).

편집국장 입니다. 기사제보:phk@breaknews.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