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대구시 무임교통 지원 조례개정 추진... 우려 커져

진예솔 기자 | 기사입력 2023/03/15 [23:46]

대구시 무임교통 지원 조례개정 추진... 우려 커져

진예솔 기자 | 입력 : 2023/03/15 [23:46]

【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지역의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대구시의 어르신 무임교통 지원 추진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앞서 대구시는 ‘어르신 무임교통 통합 지원’에 대한 시행 계획을 밝히면서 향후 5년간 매년 1세씩 조정하여 도시철도는 만65에서 70세로, 시내버스는 만75세에서 70세로 무임승차 연령을 조정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회 제299회 임시회에 '대구광역시 어르신 무임교통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상정되었고 건설교통위원회는 16일 해당 안건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다.

 

 대구시의회에 해당 조례안 유보를 촉구했던 대구참여연대는 이날 건설교통위원회 안건심사 직전 진행한 1인 시위와 상임위 방청으로 다시금 자신들의 입장 표명에 나섰다.

 

▲ 참여연대 1인 시위     ©진예솔 기자

 

이들은 “홍준표 시장의 비민주적 일방 독주, 초고령화 시대에 역행하는 복지 축소, 옳지 않은 정책을 위해 법령까지 위반하는 행위를 용인하고 동참해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이며 임시회가 폐회되는 24일까지 1인 시위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행동에 나선 대구참여연대 뿐만 아니라 정의당 대구시당과 우리복지시민연합도 해당 조례안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대구시에 안건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노인복지법 제26조에 경로우대의 나이를 65세 이상으로 정한다고 명시되어있지만 대구시가 65세부터가 아니라 이상으로 되어있고 강행 규정이 아니라고 해석한 것은 법률 위반의 소지가 있음을 꼬집었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이와 관련한 유권해석을 법제처에 의뢰하여 결과를 기다리는 상태로 알려진다.

 

뿐만 아니라 대구참여연대와 정의당 대구시당, 우리복지시민연합은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압도적으로 높은 노인 빈곤율을 보이는 국가임을 언급하며 사회 안전망이 않은 상황에서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점은 충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우리복지시민연합은 “노인연령과 노인 이동권 문제는 지자체 차원이 아닌 국가 차원의 대안이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대구시의 일방적 무임승차 연령조정은 아랫돌 빼서 윗돌 꾀는 식의 재정건정성만 앞세우는 정책에 불과하다.”고 조례안개정에 반대하는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정의당 대구시당은 “대구시의 조례개정안 추진은 법령에 대한 아전인수식 해석에 불과하다.”며 “이와 같은 정책결정이 순전히 단체장 한 명의 판단으로 좌지우지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Local politicians and civic groups expressed their concerns about Daegu City's promotion of free transportation support for the elderly and criticized it.

 

Previously, Daegu City announced its implementation plan for 'integrated support for free transportation for the elderly' and announced its position that it would adjust the age of free riding from 65 to 70 for urban railways and from 75 to 70 for city buses by adjusting the age by one every year for the next five years. told

 

Accordingly, the 'Daegu Metropolitan City Ordinance on Partial Amendment of the Ordinance on Free Transportation Support for Seniors in Daegu' was submitted to the 299th extraordinary session of the Daegu City Council, and the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ommittee reviewed the agenda on the 16th.

 

 The Daegu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Participation, which previously urged the Daegu City Council to reserve the ordinance, set out to express their position again with a one-person demonstration and a standing committee meeting right before the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ommittee's agenda review that day.

 

They raised their voices and said, “We must not tolerate and participate in Mayor Hong Joon-pyo’s undemocratic one-sided dominance, the reduction of welfare that goes backwards in the age of super-aging, and the act of violating laws and regulations for wrong policies.” announced plans to continue.

 

Not only the Daegu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which took action that day, but also the Justice Party, the Daegu City Party, and the Welfare Citizens' Coalition pointed out the problems with the ordinance and urged the city of Daegu to withdraw the agenda.

 

They pointed out that although Article 26 of the Elderly Welfare Act stipulates that the age of preference for the elderly is set at 65 years of age or older, Daegu City's interpretation that it is not from the age of 65 but above and is not a compulsory regulation may violate the law.

 

Curr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requested an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in this regard to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is known to be waiting for the results.

 

In addition, the Daegu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the Justice Party, the Daegu City Party, and the Citizens' Coalition for Our Welfare mentioned that Korea is a country with an overwhelmingly high elderly poverty rat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nd that a minimum standard for guaranteeing old-age life in the absence of a social safety net is required. The reference point argued that sufficient social consensus was necessary.

 

Regarding this, the Citizens' Coalition for Welfare said, “The issue of the elderly age and mobility rights for the elderly needs to be presented at the national level, not at the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 It is nothing more than a policy that puts sincerity first,” he said, explaining why he opposed the ordinance amendment.

 

In addition, the Daegu City Party of the Justice Party criticized, “The promotion of the Daegu City Ordinance Amendment Bill is nothing more than a pre-transl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기획, 특집 담당입니다. 진실하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의 입과 귀가 되겠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대구, 대구시, 무임교통, 법률위반, 정의당, 우리복지시민연합, 대구참여연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