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POSTECH 박경덕 교수팀, 광도파로로 극성반도체입자 능동 제어 성공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3/04/13 [11:13]

POSTECH 박경덕 교수팀, 광도파로로 극성반도체입자 능동 제어 성공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3/04/13 [11:13]

【브레이크뉴스 포항】박영재 기자=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획기적인 광통신 개발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극성반도체입자(trion)’를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 연구진사진 박경덕교수(뒤) 주희태 이형우 구연정 강민구(앞)  © 포스텍


13일 POSTECH은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 통합과정 이형우 씨 연구팀은 나노 플라즈모닉 광도파로(plasmonic waveguide)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극성반도체입자를 생성하고, 입자가 생성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물질에 빛을 쏴주면 ‘엑시톤(Exciton)’이 생성된다. 엑시톤은 전자와 양공이 결합된 입자로서, 전기적으로는 중성인 상태다. 엑시톤에 전자 하나가 더 결합되면 ‘극성반도체입자’가 된다. 두 입자 모두 차세대 광통신 소자와 태양 전지에 활용되지만 극성반도체입자는 전기장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쉽게 결합이 풀려 실질적인 소자 응용에 더 이점이 있다.

  

연구팀은 극성반도체입자를 생성하기 위해 폭이 약 200 나노미터(10-9m)인‘나노 플라즈모닉광도파로’를 사용했다. 플라즈모닉 광도파로는 빛을 자유전자의 공명 현상인 ‘플라즈몬(plasmon)’ 형태로 바꾸어 파장보다 작은 공간에 강하게 가둔 뒤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광도파로 위에 이차원 반도체물질을 전사하면 광도파로의 홈을 따라 이차원 반도체가 늘어지게 되는데, 이 때 빛을 쏘아주면 반도체 내에 생성된 엑시톤은 깔때기에 물을 부은 것처럼 광도파로 중심에 모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광도파로의 플라즈몬은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어 광도파로의 금속에 있는 전자를 반도체로 이동시키고, 이때 이동한 많은 양의 전자가 엑시톤과 함께 광도파로 중심으로 모이게 되어 결합하여 극성반도체입자가 생성되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적응광학과 나노광학을 결합한 공간 빛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극성반도체입자가 생성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플라즈모닉 광도파로 내 원하는 위치에 플라즈몬을 만들고, 극성반도체입자가 생성되는 위치 역시 제어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전기’가 아닌 ‘빛’에 의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빛이 이동하는 길을 통해 광학 소자 개발에 대한 해답을 찾은 것이다. 또, 엑시톤과 극성반도체입자 같은 입자를 연구하는 ‘엑시토닉스’와 플라즈몬을 탐구하는 ‘플라즈모닉스’ 등 다양한 분야를 결합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통상 우리는 한계에 부딪힐 때 한 분야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데, 연구팀은 여러 분야의 융합을 통해 이를 해결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의 성과는 극성반도체입자 기반 광학 소자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고효율의 에너지 광변환 소자를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의 제 1 저자인 이형우 씨는 “극성반도체입자를 나노공간에서 생성 및 제어하는 새로운 물리적 개념을 정립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반도체입자 기반 원거리 정보통신 연구를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에 사용된 플라즈모닉 광도파로 제작에는 삼성전자 주혁 부사장팀, 샘플 사전분석은 전북대 이홍석 교수팀과 안상민 교수팀, 시료의 제작에는 성균관대 김기강 교수팀이 참여했으며, POSTECH 물리학과 통합과정 구연정, 강민구, 주희태 씨가 측정 연구를 함께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4월 12일자로 출판됐으며, 연구수행은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OSTECH Professor Park Kyung-deok's team succeeded in actively controlling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with an optical waveguide

 

A 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esident Moo-Hwan Kim) research team has succeeded in controlling ‘trion’, which can be a ke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groundbreaking optical communication.

 

On the 13th, POSTECH announced that the Physics Professor Park Kyung-duk and integrated course Lee Hyung-woo's research team succeeded in generating high-purity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using a nano-plasmonic waveguide and controlling the location where the particles were created.

 

When light shines on a semiconductor material, 'exciton' is created. An exciton is a particle in which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and is in an electrically neutral state. When one more electron is combined with the exciton, it becomes a 'polar semiconductor particle'. Both particles are used in next-gener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and solar cells, but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are more advantageous for practical device applications because they can be controlled with an electric field and are easily uncoupled.

 

The research team used a 'nano plasmonic optical waveguide' with a width of about 200 nanometers (10-9 m) to create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The plasmonic optical waveguide is a structure that converts light into a form of ‘plasmon’, a resonance phenomenon of free electrons, confines it strongly in a space smaller than the wavelength, and moves it to a desired location.

 

  When the two-dimensional semiconductor material is transferred onto the optical waveguide, the two-dimensional semiconductor is stretched along the groove of the optical waveguide. At this time, when light is emitted, the excit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gather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waveguide as if water is poured into a funnel.

 

At the same time, the plasmon of the optical waveguide has high energy and moves the electrons in the metal of the optical waveguide to the semiconductor. 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electrons, together with excitons, gather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waveguide and combine to form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It will be.

 

In addition, the research team succeeded in controlling the location where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are generated by using spatial light control technology that combines adaptive optics and nano-optics. Using this technology, it was possible to create plasmon at a desired location in the plasmonic optical waveguide and also control the location where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were gener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ducted by 'light' rather than 'electricity'. The answer to the development of optical devices was found through the way light travels. It is also noteworthy that it combines various fields such as 'excitonics', which studies particles such as excitons and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and 'plasmonics', which explores plasmons. Usually, when we encounter limitations, we try to solve problems within one field, but the research team has solved this problem through the convergence of multiple fields.

 

The research team's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fficient control of polar semiconductor particle-based optical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energy-to-photoconversion devices. Hyungwoo Lee, the first author of the thesis, said, “Based on this research that established a new physical concept of generating and controlling polar semiconductor particles in nanospace, we are envisioning research on semiconductor particle-based long-distance information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Samsung Electronics Vice President Joo Hyuk's team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plasmonic optical waveguide used in the stud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Lee Hong-seok's team and Professor Ahn Sang-min's team participated in the sample pre-analysis, and Sungkyunkwan University Professor Kim Ki-gang's team participated in the sample production. Kang Min-gu and Joo Hee-tae conducted the measurement study together.

 

The research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Nature Communications on April 12,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Samsung Foundation for Future Technology.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