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POSTECH, 사립대 최초 한국도서관상 ‘대상’ 수상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4/02/22 [10:06]

POSTECH, 사립대 최초 한국도서관상 ‘대상’ 수상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4/02/22 [10:06]

【브레이크뉴스 포항】박영재 기자=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은 한국도서관협회가 1969년부터 국내 도서관 발전에 큰 공로를 세운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하는 ‘한국도서관상’ 대상을 사립대로는 처음으로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 박태준학술정보관  © 포스텍


22일 포스텍에 따르면 청암(靑巖) 박태준 POSCO(포스코) 명예회장 이름을 딴 박태준학술정보관은 지난 2022년 ‘내 집 거실처럼 편안해서 늘 머무르고 싶은’, ‘살아 움직이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은 ‘Living Library(리빙 라이브러리)’ 컨셉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또, 독서와 학습 중심의 기존 도서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창의 · 협업 공간을 확장했다.

 

그리고, 2023년에는 ‘POSTECH1986(역사미래관)’을 개관해 도서관(Library)과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 역할이 가능한 라키비움 형태의 복합 문화공간을 구축했다. 그뿐 아니라 박상삼 자연대화주의 화가의 전시를 성공적으로 진행해 예술 문화공간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도 보여주었으며, 포항 지역 시민들이 독서와 문화를 함께 향유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개방해 열린 도서관으로 변신을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Open Access(오픈 액세스) 자료 공유 플랫폼인 OASIS Repository(오아이스 리포지토리, http://oasis.postech.ac.kr)를 구축하여 국내 우수 학술 성과를 경제적, 법적, 기술적 장벽 없이 전 세계에 공유 · 활용하는데 기여했다.

 

POSTECH 한수안 학술정보팀장은 “박태준학술정보관은 기획 단계부터 대학 구성원들과 포항 지역 시민들의 수요를 반영한 도서관”이라며, “도서관을 찾는 이용자들이 학습은 물론, 휴식과 문화생활까지 누릴 수 있는 도서관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한국도서관상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하며, 시상식은 22일 오후 2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진행됐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OSTECH, the first private university to win the ‘Grand Prize’ at the Korean Library Award

 

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d the honor of becoming the first private university to receive the grand prize of the ‘Korean Library Award’, which has been awarded by the Korea Library Association to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that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libraries since 1969.

 

According to POSTECH on the 22nd, the Taejun Park Academic Information Center, named after Taejun Park, Honorary Chairman of Cheongam POSCO, will be opened in 2022 as a 'Living' space, meaning 'I always want to stay because it is comfortable like my own living room' and a 'living and moving' space. It was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the concept of ‘library library’. In addition, we have gone one step further from the existing library, which focuses on reading and learning, and expanded the creative and collaborative space so that members can communicate freely.

 

And, in 2023, ‘POSTECH1986 (History and Future Hall)’ was opened to build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orm of a rachibium that can serve as a library, archive, and museum. In addition, it successfully held an exhibition by Park Sang-sam, a nature conversation painter, showing new possibilities as an art and cultural space, and also attempted to transform the space into an open library by opening the space so that Pohang citizens can enjoy reading and culture together.

 

  In addition, we have established the OASIS Repository (http://oasis.postech.ac.kr), an open access data sharing platform, to share Korea's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s with the world without economic, legal, or technical barriers. · Contributed to utilization.

 

POSTECH academic information team leader Han Su-an said, “The Park Tae-jun Academic Information Center is a library that reflected the needs of university members and citizens of the Pohang area from the planning stage.” He expressed his ambition, “I will be born again.”

 

Meanwhile, the Korean Library Award is hosted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awards ceremony was held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t 2 p.m. on the 22nd. 

  • 도배방지 이미지

  •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SME Week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개최
  • POSTECH,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혁신 기술 개발
  • POSTECH, 당뇨 치료 혁신적 플랫폼 개발 성공
  • POSTECH 미래지성아카데미, ‘일의 세계 2’ 참가 신청 시작
  • POSTECH 연구팀, ‘강도’와 ‘연성’ 동시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금속 처리 기술 개발
  • POSTECH, 뇌졸중 후유증 관리 위한 피부 부착형 센서 시스템 개발
  • ‘해오름동맹’ 6개 대학, 원자력 및 미래에너지 기술 역량 강화 위한 3기 공동연구사업 본격 추진
  • POSTECH,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대량 합성 기술 개발
  • POSTECH, 양자 물질 연구 새 시대 연다
  • POSTECH, 고려대·서울대·연세대 초청 ‘지속가능캠퍼스 이니셔티브’ 1차 워크숍 개최
  • POSTECH · 삼성디스플레이, 진공도에 따른 고분자 액적 건조 거동 메커니즘 규명
  • POSTECH 노준석 교수팀, 평면 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설계 방법 제시
  • POSTECH 연구팀, ‘물속에서도 척척 붙는 비밀’ 복털조개에서 찾았다
  • POSTECH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 POSTECH-UTS 연구진,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 POSTECH · 경북대, 점막 접착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흡입형 폐암 치료제 개발
  • POSTECH 한세광 교수팀, 광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 제시
  •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
  • POSTECH 김종민 교수팀, 인공 유전자 회로 정밀도·집적도 높이는 새로운 기술 개발
  • POSTECH · 서울대, 전해질 엔지니어링으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여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