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POSTECH 이종식 교수 논문, 미국 과학사 역사 저널(HSNS)에 실려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4/04/04 [09:49]

POSTECH 이종식 교수 논문, 미국 과학사 역사 저널(HSNS)에 실려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4/04/04 [09:49]

【브레이크뉴스 포항】박영재 기자=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의 과학사 교육을 소개한 인문사회학부 이종식 교수의 논문이 최근 미국 과학사 저널인 “자연 과학의 역사적 연구(Historical Studies in the Natural Sciences, 이하 HSNS)”의 과학사 교육 특집호에 게재됐다.

 

▲ POSTECH 이종식 교수  © 포스텍


4일 POSTECH에 따르면 이종식 교수의 논문 “탈식민지화와 자기 성찰: 한국에서 한국 과학사 교육하기(Decolonization and Self-Reflection: Teaching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in South Korea)”는 우리나라 이공계 대학생들이 한국 과학 기술사를 학습해야 하는 이유와 POSTECH의 과학사 커리큘럼 및 교육철학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이종식 교수는 논문을 통해 역사를 목적론적으로 해석하거나 특정 시대의 과학을 섣부르게 찬양 또는 비판하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고 말한다. 과학과 기술의 눈부신 성과와 어두운 과거는 종종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 제국주의, 냉전 시기 미국의 전 세계적 패권, 한국의 개발독재 등 구체적인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변화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한국 과학기술사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위상과 미래지향적 비전을 스스로 사유할 수 있도록 북돋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종식 교수는 “미래를 이끌 우리나라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한국 과학 기술의 역사를 다각도로 교육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한편, 1948년 창간되어 현재 캘리포니아대학 출판부에 의해 발행되고 있는 “Historical Studies in the Natural Sciences”는 세계 과학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고, 저명한 저널 중 하나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OSTECH Professor Jong-Sik Lee's thesis was published in the American Journal of the History of Science (HSNS)

 

A paper by Professor Jong-Sik Lee of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troducing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at 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recently published in the special issue of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of “Historical Studies in the Natural Sciences (HSNS),” an American journal on the history of science. .

 

According to POSTECH on the 4th, Professor Lee Jong-sik's paper, “Decolonization and Self-Reflection: Teaching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in South Korea,” is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by Korea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t contains reasons for doing it and concerns about POSTECH's science histor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hilosophy.

 

Professor Lee Jong-sik says in his thesis that we should avoid interpreting history teleologically or hastily praising or criticizing the science of a specific era. This is because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dark past are often inseparab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trospectively understand the changes in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within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such as Japanese imperialism, the United States' global hegemony during the Cold War, and Korea's development dictatorship. Through this education,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flow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history.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hem to think for themselves about their own status and future-oriented vision.

 

Lastly, Professor Lee Jong-sik expressed his ambition, saying, “I will continue to do my best to educate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various angles to our country’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Meanwhile, “Historical Studies in the Natural Sciences,” founded in 1948 and currently published b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prominent journals in the field of world science history.

  • 도배방지 이미지

  • POSTECH·아산병원, 모든 코로나 변이에 대응 가능한 진단 센서 개발
  • POSTECH 연구팀, 유해 가스 정확히 탐지하는 신기술 개발
  •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SME Week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개최
  • POSTECH,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혁신 기술 개발
  • POSTECH, 당뇨 치료 혁신적 플랫폼 개발 성공
  • POSTECH 미래지성아카데미, ‘일의 세계 2’ 참가 신청 시작
  • POSTECH 연구팀, ‘강도’와 ‘연성’ 동시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금속 처리 기술 개발
  • POSTECH, 뇌졸중 후유증 관리 위한 피부 부착형 센서 시스템 개발
  • ‘해오름동맹’ 6개 대학, 원자력 및 미래에너지 기술 역량 강화 위한 3기 공동연구사업 본격 추진
  • POSTECH,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대량 합성 기술 개발
  • POSTECH, 양자 물질 연구 새 시대 연다
  • POSTECH, 고려대·서울대·연세대 초청 ‘지속가능캠퍼스 이니셔티브’ 1차 워크숍 개최
  • POSTECH · 삼성디스플레이, 진공도에 따른 고분자 액적 건조 거동 메커니즘 규명
  • POSTECH 노준석 교수팀, 평면 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설계 방법 제시
  • POSTECH 연구팀, ‘물속에서도 척척 붙는 비밀’ 복털조개에서 찾았다
  • POSTECH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 POSTECH-UTS 연구진,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 POSTECH · 경북대, 점막 접착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흡입형 폐암 치료제 개발
  • POSTECH 한세광 교수팀, 광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 제시
  •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