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2024 문경찻사발축제, 새롭게 달라진 구성으로 27일 개막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4/22 [15:39]

2024 문경찻사발축제, 새롭게 달라진 구성으로 27일 개막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4/04/22 [15:39]

【브레이크뉴스 문경】이성현 기자=문경시는 2024년 대한민국 명예문화관광축제인 문경찻사발축제를 4월 27일부터 5월 6일까지‘문경찻사발, 새롭게 아름답게’라는 새로운 주제어로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에서 개최한다.

 

▲ 2024 문경찻사발축제 27일 개막  © 문경시


이번 문경찻사발축제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도자기축제로서 자리잡은 전통찻사발의 확립된 정체성에서 더 나아가 생활자기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여 새롭고 다양한 도자기 라인업과 전시·체험행사, 특별행사와 새로운 먹거리까지 관람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첫날 개막식에는 문경시 홍보대사인 박서진과 박군, 주미와 더불어 조명섭, 영기가 출연하여 흥겨운 공연을 통해 축제의 시작을 알리고, 축제 마지막 날 폐막식에는 통일메아리악단과 하랑(구 초코파이브), 윤윤서양이 출연하여 축제를 마무리하는 무대를 가진다.

 

축제 이튿날인 28일에는 인플루언서(미스 대구‧경북)가 각종 체험과 전시장 투어로 축제장을 누비며 자유롭게 관람객들과 사진을 찍어주는‘위드미포토’행사를 진행해 축제장에 흥겨운 분위기를 더해 줄 계획이다.

 

작년부터 시작된 생활자기의 대중화 시도에 따라 이번 축제에도 다양한 가격대의 찻사발과 도자기를 요장에서 판매한다. 특히 올해는 기존 찻사발과는 다르게 유리에 가깝게 강하게 구워낸 개성있는 커피사발을 도입하여 축제 기간 중 한정 물량을 판매하고 행사 프로그램에서 경품으로도 제공된다.

 

축제 대표 전시 콘텐츠로 루마니아와 중국 이싱시의 도예작가와 우리시 무형문화재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되는 부스테이너 특별전시관에서는 도자기 장인들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혼이 담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축제의 눈길을 끄는 점으로 오픈세트장 내 광화문의 대형LED 설치와 광화문 무대의 일원화가 주목된다. 800인치의 대형LED로 모든 축제영상과 프로그램 소개가 진행되고 망댕이 가마 역시 화려한 영상으로 구현하여 웅장한 매력을 표현할 계획이다.

 

저잣거리에는 식당용 돔부스를 설치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축제먹거리를 운영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설 투자로 풍성하게 우리 음식으로 채울 예정이다. 또 이번에는 이달 초 개원한 백종원 대표의 더본외식산업개발원이 돼지국밥 팝업스토어로 축제에 참여해 더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별체험행사로 기존의‘사기장의 하루’에서 진화된‘슬기로운 도예생활’이 메인 체험행사로 구성된다. 그 밖에‘찻사발 빚기’와‘찻사발그림그리기’,‘다례체험’,‘디저트 아트전시’,‘풍선공연’등 가족·연인들이 함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준비했다.

 

축제의 다양한 부대행사 차원에 작년 처음 도입됐던 ‘한복패션쇼’는 축제기간 중 시내가 공동화된다는 의견에 따라 점촌 문화의거리로 위치를 옮겨 열린다. 30여 명의 한복 모델등이 패션쇼와 거리행진을 하고 사전행사로 명인의 줄타기와 북소리 퍼포먼스, 도예작가들의 발물레 시연도 함께 진행된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찻사발축제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도전을 적극 지원하고 응원하겠다”며, “신속한 축제장 이용을 위한 전용차선 셔틀버스 운영 시스템을 확립하고 축제 구성원 모두 친절하게 축제를 준비하여 더욱 많은 관람객이 축제에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또 오고 싶은 축제장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2024 Mungyeong Tea Bowl Festival opens on the 27th with a new structure

 

Mungyeong City will hold the 2024 Mungyeong Tea Bowl Festival, Korea's honorary cultural tourism festival, from April 27 to May 6 at the Mungyeong Saejae Open Set under the new theme of ‘Mungyeong Tea Bowl, Newly Beautiful’.

 

This year's Mungyeong Tea Bowl Festival goes beyond the established identity of traditional tea bowls, which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Korea's representative ceramics festival in name and reality, and aims to popularize everyday ceramics by providing visitors with a new and diverse lineup of ceramics, exhibitions and experience events, special events and new foods. It will be presented.

 

At the opening ceremony on the first day, Mungyeong City public relations ambassadors Park Seo-jin, Park Gun, and Joo-mi, as well as Jo Myeong-seop and Yeong-gi, appeared to announce the start of the festival through exciting performances, and at the closing ceremony on the last day of the festival, Unification Echo Orchestra, Harang (formerly Choco Five), and Yoon Yun-seo appeared. There is a stage to end the festival.

 

On the 28th, the day after the festival, influencers (Miss Daegu and Gyeongbuk) plan to add an exciting atmosphere to the festival site by holding a ‘With Me Photo’ event where influencers (Miss Daegu and Gyeongbuk) roam the festival site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exhibition hall tours and freely take pictures with visitors.

 

  Following the attempt to popularize living porcelain that began last year, tea bowls and pottery in various price ranges will be sold at the porcelain market at this festival as well. In particular, this year, unlike existing tea bowls, a unique coffee bowl that is roasted closely to glass was introduced, and a limited quantity will be sold during the festival period and also provided as a prize in the event program.

 

  The main exhibition content of the festival is the Bustainer Special Exhibition Hall, where the works of ceramic artists from Romania and Yixing City, China, and artists who are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our city are displayed.

 

  What is noteworthy about this festival is the large-scale LED installation of Gwanghwamun in the open set and the unification of the Gwanghwamun stage. All festival videos and programs will be introduced on 800-inch large LEDs, and the Mangdaengi palanquin will also be displayed in gorgeous videos to express its grand charm.

 

We plan to install dome booths for restaurants in Jeokjat Street and fill them with an abundance of Korean food through investment in new facilities to operate festival food in a safe and hygienic manner. Also, this time, Baek Jong-won's The Bon Restaurant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which opened earlier this month, plan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with a pork soup pop-up store and provide a wider variety of food.

 

  As a special experience event, the main experience event is ‘Wise Ceramic Life,’ which is an evolution of the existing ‘A Day in the Life of a Pottery Master.’ In addition, we have prepared a variety of programs that families and couples can enjoy and participate in together, such as ‘tea bowl making’, ‘tea bowl drawing’, ‘tea ceremony experience’, ‘dessert art exhibition’, and ‘balloon performance’.

 

  The ‘Hanbok Fashion Show’, which was first introduced last year as part of the festival’s various side events, will be relocated to Jeomchon Culture Street in response to opinions that the city will be hollowed out during the festival period. About 30 hanbok models will perform a fashion show and march through the streets, and as a pre-event, a tightrope walking and drumming performance by a master artist and a potter's wheel demonstration by pottery artists will also be held.

 

  Mungyeong Mayor Shin Hyeon-guk said, “We will actively support and support the challenge of new changes in the Tea Bowl Festival,” and added, “We will establish a dedicated lane shuttle bus operation system for quick use of the festival site and all festival members will kindly prepare for the festival to attract more visitors.” “We will create a festival site where people can participate and enjoy the festival and want to come again,” he said.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문경시, 문경찻사발축제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