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POSTECH, 바이오·의료 분야 세계 석학들과 국제 컨퍼런스 개최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4/05/29 [11:02]

POSTECH, 바이오·의료 분야 세계 석학들과 국제 컨퍼런스 개최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4/05/29 [11:02]

【브레이크뉴스 포항】박영재 기자=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은 오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POSTECH International Conference(포스텍 인터내셔널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 컨퍼런스 포스터  © 포스텍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는 ‘Smart Healthcare Materials for Nano-medicine and Bioprinting(나노 의학과 바이오프린팅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소재)’으로 바이오 의료 분야 세계적 석학 20여 명이 POSTECH에 모여 최신 연구 동향과 응용, 기술 개발 현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31일에는 김성근 총장의 환영사와 오유경 식약처장 · 이강덕 포항시장의 축사에 이어 △데이비드 웨이츠(David Weitz) 미국 하버드대 교수 · 미국 과학한림원 및 공학한림원 위원 △몰리 스티븐스(Molly Stevens)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 미국 공학한림원 위원 및 영국왕립화학회 펠로우 △캄 레옹(Kam Leong)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 미국 의학한림원 및 공학한림원 위원 · 바이오머티리얼즈 (Biomaterials) 주에디터를 포함해 총 다섯 명의 연사가 기조 강연을 진행한다.

 

그리고, 1일부터 2일까지 미국 하버드의대, 스탠포드대, 존스홉킨스대,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카네기 멜론대 등의 교수진들이 각 세션을 이끌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재료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어드밴스드 저널과 영국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 저널 에디터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컨퍼런스의 위원장은 올해 세계생체재료학회총연합회(IUSBSE) 펠로우로 선정된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가 맡았다. 한 교수는 “이번 행사가 생체 재료 및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POSTECH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고, 학문적 · 산업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기를 바란다”는 기대를 전했다.

 

이번 행사는 홈페이지(https://pco.postech.ac.kr/anonymous/event/detail?eId=290)를 통해 사전 등록하면 국내외 연구진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참여확인증도 받을 수 있다.

 

한편, POSTECH 신소재공학과를 중심으로 기계공학과, 화학과, 화학공학과, 융합대학원 의과학전공에서 주관한 이번 컨퍼런스는 경상북도와 포항시,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B-IRC), 바이오프린팅인공장기응용기술센터, BK21, 스마트헬스케어소재연구소, ㈜화이바이오메드 등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OSTECH hold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with world-renowned scholars in the bio and medical fields

 

 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on the 29th that it will hold the ‘POSTECH International Conference’ from the 31st to June 2nd.

 

 The theme of this conference is 'Smart Healthcare Materials for Nano-medicine and Bioprinting', and about 20 world-renowned scholars in the biomedical field gathered at POSTECH to discuss the latest research trends, application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atus. I plan to share it.

 

 On the 31st, following welcoming remarks by President Kim Sung-geun and congratulatory remarks by Minister of Food and Drug Safety Oh Yoo-kyung and Pohang Mayor Lee Kang-deok, △David Weitz,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mem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Sciences and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Molly Stevens, professor at Oxford University, England A total of five speakers gave keynote lectures, including Kam Leong, a mem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Engineering and a 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a professor at Columbia University; a mem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Medicine and the Academy of Engineering; and the editor-in-chief of Biomaterials. do.

 

 And from the 1st to the 2nd, professors from Harvard Medical School, Stanford University, Johns Hopkins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nd Carnegie Mellon University will lead each session. In particular, editors from world-class advanced journals in the materials field and journals from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are also scheduled to attend this event.

 

 The conference was chaired by Professor Han Se-kwang of the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who was selected as a fellow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materials Societies (IUSBSE) this year. Professor Han expressed his expectation, saying, “I hope that this event will raise POSTECH’s global status in the biomaterials and biomedical fields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cade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y domestic or foreign researchers can participate in this event by pre-registering through the website (https://pco.postech.ac.kr/anonymous/event/detail?eId=290), and can also receive confirmation of participation if necessary.

 

 Meanwhile, this conference, which was organized by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hemistr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nd the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of the Convergence Graduate School, centered around the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t POSTECH, was attended by Gyeongsangbuk-do, Pohang City, Bio Future Technology Innovation Research Center (B-IRC), Bioprinting Artificial Organ Application Technology Center, It is sponsored by BK21, Smart Healthcare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and Hwai Biomed Co., Ltd.

  • 도배방지 이미지

  •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SME Week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개최
  • POSTECH, 메타표면 상용화 앞당길 혁신 기술 개발
  • POSTECH, 당뇨 치료 혁신적 플랫폼 개발 성공
  • POSTECH 미래지성아카데미, ‘일의 세계 2’ 참가 신청 시작
  • POSTECH 연구팀, ‘강도’와 ‘연성’ 동시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금속 처리 기술 개발
  • POSTECH, 뇌졸중 후유증 관리 위한 피부 부착형 센서 시스템 개발
  • ‘해오름동맹’ 6개 대학, 원자력 및 미래에너지 기술 역량 강화 위한 3기 공동연구사업 본격 추진
  • POSTECH,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대량 합성 기술 개발
  • POSTECH, 양자 물질 연구 새 시대 연다
  • POSTECH, 고려대·서울대·연세대 초청 ‘지속가능캠퍼스 이니셔티브’ 1차 워크숍 개최
  • POSTECH · 삼성디스플레이, 진공도에 따른 고분자 액적 건조 거동 메커니즘 규명
  • POSTECH 노준석 교수팀, 평면 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설계 방법 제시
  • POSTECH 연구팀, ‘물속에서도 척척 붙는 비밀’ 복털조개에서 찾았다
  • POSTECH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 POSTECH-UTS 연구진,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 POSTECH · 경북대, 점막 접착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흡입형 폐암 치료제 개발
  • POSTECH 한세광 교수팀, 광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 제시
  •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
  • POSTECH 김종민 교수팀, 인공 유전자 회로 정밀도·집적도 높이는 새로운 기술 개발
  • POSTECH · 서울대, 전해질 엔지니어링으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여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