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영덕군, 연안 해역에 어린 문치가자미 10만 마리 방류

박영재 기자 | 기사입력 2024/07/05 [13:07]

영덕군, 연안 해역에 어린 문치가자미 10만 마리 방류

박영재 기자 | 입력 : 2024/07/05 [13:07]

【브레이크뉴스 영덕】박영재 기자=영덕군은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과 함께 어족 자원을 보호하고 어업 종사자들의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자 지난 4일 경정2리, 경정3리 일대 해역에 어린 문치가자미 10만 마리를 방류했다고 밝혔다.

 

▲ 영덕군, 연안 해역에 어린 문치가자미 방류  © 영덕군


이번 사업에 쓰인 어린 문치가자미는 지난 1월 자연산 어미로부터 확보한 건강한 알을 인공 수정과 부화를 거쳐 6개월간 정성껏 기른 5cm급 크기의 종자를 선별한 것이다.

 

영덕군과 경북 수산자원연구원은 이번에 방류한 개체들이 3년쯤 지난 후에는 성체가 돼 동해안 가자미 자원 증대와 어획량 증가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해양 생태계 복원은 물론, 지역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어업인들의 소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어종을 위주로 종자 생산과 방류를 늘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치가자미는 가지미목 가자미과의 바닷물고기로 지역에 따라 ‘도다리’라고도 불린다. 서식지는 연안의 밑바닥으로, 12월에서 2월까지가 산란기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Yeongdeok-gun releases 100,000 young flounder into coastal waters

 

Yeongdeok-gun, together with the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announced that it released 100,000 young flounder into the waters around Gyeongjeong 2-ri and Gyeongjeong 3-ri on the 4th to protect fish resource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ncome of fishermen.

 

The young flounder used in this project was selected from healthy eggs obtained from natural mothers last January, carefully raised for 6 months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and hatching, and then 5 cm in size.

 

Yeongdeok-gun and Gyeongbuk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expect that the individuals released this time will become adults in about three year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flounder resources and catches on the East Coast.

 

Yeongdeok-gun Mayor Kim Gwang-yeol said, “We will actively support not only the restoration of the marine ecosystem, but also the increase in seed production and release of fish species that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fishing industry and lead to income for fishermen.”

 

Meanwhile, Munchi flounder is a saltwater fish of the flounder family of the Solanaceae order and is also called ‘Flounder’ depending on the region. The habitat is the bottom of the coast, and the spawning season is from December to February.

  • 도배방지 이미지

  • 영덕군, 산불 피해 극복 위해 군민 1인당 30만 원 ‘긴급 생활지원금’ 지급
  • 영덕군, 산불 피해 복구 ‘속도전’…임시주택 공급·철거 작업 본격화
  • 영덕 산불 피해복구에 온정의 손길 잇따라… 성금 37억 원 넘어
  • 영덕 산불 피해 복구, 전국 각지서 온정의 손길 이어져
  • 영덕군, 산불 피해 군민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산불재난 마음안정’ 프로그램 운영
  • 영덕군 산불 피해복구, 전국 각계각층의 성금과 지원 이어져
  • 영덕군, 산불 피해자 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 운영 시작
  • 영덕군, 산불 진화 및 대피주민 지원에 총동원령
  • 영덕군, 산불 대응에 총력...약 2만ha 피해 발생, 관계기관 합동 900여 명 총동원
  • 영덕군 '산성계곡 생태공원 어드벤처', 겨울철 휴장 후 4월 1일 재개장
  • 영덕군, '2025년 관광교통 촉진 지역 공모사업' 선정…8억 원 사업비 확보
  • 영덕군, 농특산물 소포장재 및 택배비 지원사업 추진
  • 영덕군, 이마트와 붉은대게 특화상품 개발 협약 체결
  • 영덕군, 제38회 영해 3·18 독립만세 행진 및 추념식 개최
  • 영덕대게축제, 궂은 날씨에도 10만 명 몰려 대성황
  • 영덕군, 해양 안전 강화 위해 어선 및 낚싯배 안전 점검 실시
  • 영덕군,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외국인 상시 모집
  • 김광열 영덕군수,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도로개량 사업 조기 착공 건의
  • 영덕군, 전통시장 관광코스화 사업 ‘러브투어’ 운영 시작
  • 영덕군, 탄소중립포인트제 자동차 분야 참여자 모집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