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국민의힘 최은석 국회의원(대구동구군위군갑)이 “체감물가와 물가지수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소득 계층별 물가지수 개발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18일 열린 대전 정부청사에서 열린 통계청 국정감사에서 최은석 의원은 “소득 계층별 물가지수는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소득 계층별 물가지수 개발을 촉구하면서 “요즘과 같이 빠르게 사회가 변화하는 시대에는 5년에 한번 실시하는 가중치 조정을 할 것이 아니라 그 주기를 줄여서 2년에 한번 씩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은 가중치 조정을 2년에 한 번씩하고 가중치 설정은 수시로 조정하고 있다.
더불어 최 의원은 지역별 물가지수 발표도 제안했다. 그러면서 “각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물가지수를 개발한다면 광역자치단체도 물가안정에 적극 노력할 것이며 낮은 물가 수준이 인구를 유입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eople Power Party lawmaker Choi Eun-seok (Daegu Dong-gu Gunwi-gun Gap) urged,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prices and the price index,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ice index by income class.”
At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udit held at the Daejeon Government Complex on the 18th, Rep. Choi Eun-seok said, “A price index by income class can be a means to respond in various fields such as welfare.”
While urging the development of a price index by income class, he explained, “In these times whe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it would be a good idea to reduce the cycle of adjusting the weights once every five years and do it once every two years.”
In fact, the United States adjusts the weights once every two years and adjusts the weight settings frequently.
In addition, Rep. Choi proposed announcing a price index by region. He added, “If a price index is developed for each metropolitan autonomous body, the metropolitan autonomous bodies will also actively work to stabilize prices, and low prices can be a factor in attracting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