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대구시교육청, 학생 소외 없는 성장… "학교 가정 지역사회 모두 나선다"

배움-성장까지 3단계 학습 안정망 구축 담은‘중등 기초·기본학력 향상 사업’계획 발표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2/12 [16:02]

대구시교육청, 학생 소외 없는 성장… "학교 가정 지역사회 모두 나선다"

배움-성장까지 3단계 학습 안정망 구축 담은‘중등 기초·기본학력 향상 사업’계획 발표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2/12 [16:02]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이 한 아이의 배움에서 성장에 이르는 3단계 학습 안정망 구축을 담은‘2025년 중등 기초·기본학력 향상 사업’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중등 기초·기본학력 향상 사업은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기초학력 진단을 바탕으로 ▲수업 내 개별화 지원, ▲학교 내 맞춤형 지원, ▲학교 밖 전문적 지원으로 이어지는 3단계 학습 안전망 체계를 구축하여,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고 기본학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먼저, 기초학력 진단검사 및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를 통해 학습지원 대상 학생을 선별하고, 개인별 학습이력 관리를 체계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내에서 AI 디지털교과서 및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맞춤형 수업을 실천하고 학습지원대상 학생이 최소한의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문해력 전문가 100인을 양성해 교과 과정과 연계된 문해력 향상 교육을 강화한다.

 

학교 내에서는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협의회를 중심으로 ▲학습지원튜터, ▲학습집중채움 프로그램, ▲두드림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학생 맞춤형 지원을 더욱 내실화한다. 

 

학교 밖에서는 ▲기초학력지원센터를 통한 두뇌 기반 학습클리닉, 경계선지능 학생 및 난독 학생을 위한 학습코칭과 바우처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 우수 대학과 연계한 학습 멘토링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학생 맞춤형 기초학력 보장 지도를 위한 사업 추진 방향 및 세부 운영 내용, ▲학습 및 성장의 결정적 시기인 책임교육학년제(중1) 집중 지원 강화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 등이 제시됐다. 

 

강은희 교육감은 “학교,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촘촘한 학습 안전망을 구축하여 모든 학생이 학습에서 소외되지 않고 자기 주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Break News Daegu】Reporter Lee Seong-hyeon =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Kang Eun-hee) announced the '2025 Secondary Basic and Basic Academic Ability Improvement Project' promotion plan, which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a three-stage learning safety net from learning to growth for a child.

 

According to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2025 Secondary Basic and Basic Academic Ability Improvement Project is based on a systematic and multi-faceted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is, and the main content is to establish a three-stage learning safety net system that leads to ▲individualized support within classes, ▲customized support within schools, and ▲professional support outside schools, thereby guaranteeing and improving the basic academic ability of all students.

 

First,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are selected through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is tests and customized academic achievement self-evaluations, and individual learning history management is systematized. Based on this, customized classes using AI digital textbooks and digital content are implemented in classes, and support is provided so that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can reach the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In particular, 100 literacy experts will be trained to strengthen literacy education linked to the curriculum.

 

Within the school, customized support for students will be further enhanced by operating ▲learning support tutors, ▲learning concentration filling programs, ▲drumming programs, etc. centered on the Student Support Council for Learning Support.

 

Outside the school, ▲brain-based learning clinics through the Basic Academic Ability Support Center, expanding learning coaching and voucher support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learning mentoring in connection with excellent local universities, etc., to minimize learning loss.

 

At the briefing session that day,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for customized basic academic ability guarantee guidance for students and detailed operation contents, ▲strengthening intensive support for the responsible education year system (middle school 1st grade), which is a critical period for learning and growth, ▲implementing customized academic achievement self-evaluation, etc. were presented.

 

Superintendent Kang Eun-hee said, “We will do our best to build a tight learning safety ne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chools, families, and the community so that all students can grow independently without being excluded from learning.”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대구시교육청, 강은희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