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계명-목요철학원, 2025년 상반기 '목요철학 인문포럼' 개최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3/10 [15:49]

계명-목요철학원, 2025년 상반기 '목요철학 인문포럼' 개최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3/10 [15:49]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계명-목요철학원(원장 이재성)은 대구 시민들을 위한 인문학 강좌인 ‘목요철학 인문포럼’을 2025년 상반기 동안 개최한다고 밝혔다. 

 

▲ (포스터)계명-목요철학원이 오는 13일 부터 2025년 상반기 목요철학 인문포럼을 개최한다  © 계명-목요철학원


포럼은 오는 3월 13일(목)부터 6월 5일(목)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수성구립 범어도서관 김만용·박수년홀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인류세 시대, 인문의 눈으로 문명을 진단하다”로, 현대 문명과 그 방향성을 철학적 관점에서 되짚어보는 시간을 제공한다. 지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신청은 수성구립 범어도서관 홈페이지나 행사 당일 현장에서 가능하다. 또한 현장 강연과 함께 유튜브 채널 목철TV를 통해 실시간 방송으로도 진행된다.

 

포럼의 첫 강연은 박한선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의 “인류의 기원”을 주제로 열린다. 이후 매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연을 이어갈 예정으로, 주요 강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명의 탄생 (오정윤 서울시민대학 교수),파라오 이집트 역사와 유적에 관한 이야기 (정규영 조선대 아랍어과 교수),메소포타미아 문명: 도전과 선택의 역사 (윤성덕 연세대 교수),‘인더스문명’에서 인문의 길을 찾다 (이광수 부산외대 교수),키워드로 읽는 중국문명: 문화주의와 사유방식 (전인갑 서강대 교수),아나톨리아 문명의 재발견 (이희수 한양대 교수),헤브라이즘: 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정기문 군산대 교수),헬레니즘: 그리스 문명의 보편적 세계화 (박재욱 충남대 교수),크레타 섬과 그리스 문명 (김헌 서울대 교수),로마제국과 기독교: 배척과 결탁 (임승휘 선문대 교수)

 

계명-목요철학원은 지난 45년 동안 꾸준히 인문학 강좌를 운영하며, 대구의 문화적 위상을 높여왔다. 특히, 목요철학 인문포럼은 “우리 시대의 금자탑”이라 불리며, 매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강연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계명-목요철학원 홈페이지(www.academiaphilosophia.com)에서는 과거 강연들을 열람할 수 있다.

 

목요철학 인문포럼은 1980년 계명대 철학과에서 시작된 ‘목요철학세미나’로, 2011년 계명대 부속기관으로 출범하며 외연을 확장하였다. 현재는 목요철학 인문포럼, 목요철학 콜로키움, 청소년을 위한 철학인문교실 등으로 나누어 인문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재성 계명-목요철학원장은 “앞으로도 45년간 쌓아온 인문학 강좌의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시대를 창조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며, 이번 포럼이 대구 시민들에게 철학적 사유의 장을 제공하고, 현대 문명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을 나누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myeong-Mokyo Philosophy Institute to hold 'Mokyo Philosophy Humanities Forum' in the first half of 2025

 

Gyeomyeong-Mokyo Philosophy Institute (Director Lee Jae-seong) announced that it will hold 'Mokyo Philosophy Humanities Forum', a humanities lecture for Daegu citizens, in the first half of 2025.

 

The forum will be held every Thursday from 2:00 PM to 4:00 PM from March 13 (Thursday) to June 5 (Thursday) at the Kim Man-yong and Park Su-nyeon Hall of the Suseong-gu Beomeo Library.

 

The theme of this forum is "Diagnosing Civilization through the Eyes of Humanities in the Anthropocene Era," providing time to look back on modern civilization and its direc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Anyone in the region can participate, and applications can be made on the Suseong-gu Beomeo Library website or on-site on the day of the event. In addition, the on-site lecture will be broadcast live on the YouTube channel Mokcheol TV.

 

The first lecture of the forum will be given by Professor Han-seon Par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Anthropology on the topic of “The Origin of Humanity.” From now on, experts from various fields will continue to give lectures every week, and the main lecture topics are as follows:

 

The Birth of Civilization (Professor Oh Jeong-yoon, Seoul Citizens' University), Stories about the History and Relics of Pharaoh Egypt (Professor Jeong Gyu-yeong, Department of Arabic, Chosun University), Mesopotamian Civilization: A History of Challenges and Choices (Professor Yoon Seong-deok, Yonsei University), Finding the Path of Humanities in the 'Indus Civilization' (Professor Lee Kwang-soo,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ading Chinese Civilization through Keywords: Culturalism and Ways of Thinking (Professor Jeon In-gap, Sogang University), Rediscovering Anatolian Civilization (Professor Lee Hee-soo, Hanyang University), Hebraism: Opening New Horizons for Religion (Professor Jeong Gi-mo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Hellenism: Universal Globalization of Greek Civilization (Professor Park Jae-woo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rete and Greek Civilization (Professor Kim He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oman Empire and Christianity: Rejection and Collusion (Professor Lim Seung-hui, Sunmoon University)

 

Keimyung-Mokyo Philosophy Institute has been consistently operating humanities courses for the past 45 years, and has raised the cultural status of Daegu. In particular, the Thursday Philosophy Humanities Forum is called the “golden tower of our time,” an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participate in lectures every year.

 

In addition, you can view past lectures on the Keimyung-Tokyo Philosophy Institute website (www.academiaphilosophia.com).

 

The Thursday Philosophy Humanities Forum began as the “Thursday Philosophy Seminar” in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Keimyung University in 1980, and expanded its scope in 2011 when it was launched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Keimyung University. Currently, it conducts humanities education through the Thursday Philosophy Humanities Forum, Thursday Philosophy Colloquium, and Philosophy Humanities Classroom for Youth.

 

Lee Jae-seong, the director of the Gyeomyeong-Mokyo Philosophy Institute, said, “We will continue to share the achievements of humanities lectur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past 45 years with citizens and strive to create an era in which all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can be happy,” adding that this forum will provide a venue for philosophical thinking for Daegu citizens and b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share deep thoughts about modern civilization.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계명-목요철학원, 2025년 상반기 '목요철학 인문포럼' 개최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