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광역시는 11일, 신(新) 복지사각지대에 해당하는 가족돌봄 아동·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해 대구시 교육청, 초록우산대구지역본부, 대구시 사회복지관협회와 함께 ‘대구광역시 가족돌봄 아동·청소년 맞춤형 통합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가족돌봄 아동·청소년의 신속한 발굴과 맞춤형 통합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족돌봄 아동·청소년은 보호자가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등으로 돌봄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돌봄 역할을 맡고 있는 아동과 청소년을 말한다. 그동안 이들은 저소득 가구 지원체계를 통해 지원받았지만, 근로 능력이 있는 가구가 포함될 경우 발굴이 어려운 문제가 지적됐다.
대구시는 2023년에 ‘가족돌봄 청소년·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해에는 311가구의 가족돌봄 아동·청소년을 발굴해 복지 정보 제공과 공적 지원, 민간 서비스 연계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고립 은둔 청년 등 신(新) 복지사각지대 지원을 위한 맞춤형 사례 관리와 민간 후원금 연계 지원 등을 추진 중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역할을 분담한다. 대구시는 복지사각지대 아동·청소년 발굴 및 공적 지원 연계, 체계적인 통합사례 관리 지원을 맡고, 교육청은 신속한 복지사각지대 아동·청소년 발굴 및 통합지원 연계를 담당한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대구본부는 후원금 지원과 사업 홍보를, 대구시 사회복지관협회는 통합사례관리 및 민간자원 연계를 추진한다.
또한, 대구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와 각급 학교와 협력해 대구에 거주하는 만 24세 이하, 중위소득 100% 이하의 가족돌봄 아동·청소년 100여 명에게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후원금(1억 원)을 활용해 연간 1인당 100만 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사회복지관과 사례관리사는 이들에게 필요한 일상돌봄 서비스와 연계 지원을 제공한다.
김정기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민·관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위기 아동·청소년들의 조기 발견과 지원을 강화하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City Signs MOU to Establish Public-Private Collaboration System to Suppor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amily Care
Daegu Metropolitan City announced on the 11th that it signed a ‘Business Agreement (MOU) for Customized Integrated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amily Care’ with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Green Umbrella Daegu Regional Headquarters, and Daegu Social Welfare Center Association to suppor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amily care, which are new blind spots in welfare.
This agreement aims to strengthen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 for rapid discover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amily care and customized integrated suppor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amily care refer to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take on the role of caregivers in situations where their guardians cannot provide care due to sudden accidents or illnesses. Until now, they have been supported through the low-income household support system, bu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to discover them when households with working ability are included.
Daegu City enacted the ‘Ordinance on Support for Family Care Youth and Youth’ in 2023, and last year, it discovered 311 families of children and youth in family care and provided welfare information, public support, and private service linkage. It is also promoting customized case management and private sponsorship linkage support for new welfare blind spots such as isolated and reclusive youth,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ccording to this agreement, each organization will share its roles. Daegu City will be responsible for discovering children and youth in welfare blind spots, linking them with public support, and supporting systematic integrated case management, while the Office of Education will be responsible for promptly discovering children and youth in welfare blind spots and linking them with integrated support. The Daegu Headquarters of the Green Umbrella Children’s Foundation will provide sponsorship support and project promotion, and the Daegu Social Welfare Center Association will promote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private resource linkage.
In addition, Daegu City plans to cooperate with the township, township, and dong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and schools of all levels to provide 1 million won per person per year using the Green Umbrella Children’s Foundation’s sponsorship (100 million won) to approximately 100 children and adolescents under the age of 24 living in Daegu and receiving family care from 100% or less of the median income. Social welfare centers and case managers will provide them with necessary daily care services and related support.
Kim Jeong-gi, Deputy Mayor of Daegu Metropolitan City, said, “Through this agreement, we will do our best to strengthen early detection and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t risk through close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help them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society.”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