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상도 지역 최악의 산불, 사망자 18명으로 늘어…꺼질 기미도 안 보인다

노보림 기자 | 기사입력 2025/03/26 [09:46]

경상도 지역 최악의 산불, 사망자 18명으로 늘어…꺼질 기미도 안 보인다

노보림 기자 | 입력 : 2025/03/26 [09:46]

▲ 25일 오후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산등성이를 타고 하동군 옥종면 안계마을 인근 으로 확산되면서 소방당국을 긴장케하고 있다.. 2025.03.25.  © 뉴시스

 

 

브레이크뉴스 노보림 기자= 경남과 경북 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26일까지 18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을 입었다. 주택, 공장, 사찰 등 건물 209곳이 불에 탔으며 2만7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26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잠정 18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에서 14명, 경남에서 4명 발생했다. 산불로 6명이 중상을, 13명이 경상을 입었다.

 

주택, 공장, 창고, 사찰, 차량, 문화재 등 209곳이 불에 타는 등 건물 피해도 막대한 규모로 발생했다. 의성이 145곳으로 가장 피해가 컸고, 산청은 64곳이 소실된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 울주군 온양·언양은 현재 피해 규모조차 집계되지 않고 있다.

 

▲ 경남 산청군 대형 산불 발생 6일째인 26일 새벽 산불이 산등성이를 타고 하동군 옥종면 안계마을 인근으로 확산되면서 소방당국을 긴장케 하고 있다. 2025.03.26.  © 뉴시스



산불로 대피 중인 주민은 2만7079명으로, 이 중 2만6006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대피 인원은 의성·안동이 2만313명으로 가장 많고, 울주 언양 4628명, 산청·하동 1773명, 울주 온양 365명 순이다. 고창과 정읍 주민 35명도 대피 중이다.

 

중·대형 산불은 현재 산청·하동, 의성·안동, 울주 온양·언양 총 6개 지역에서 발생 중이다.

 

산청, 하동, 의성, 울주 1만7398㏊에서는 아직 산불이 진행 중이다.

 

진화를 완료한 곳은 충북 옥천 39.6㏊, 경남 김해 97㏊ 총 136.6㏊에 불과하다.

 

▲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산불이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마을 인근까지 번지고 있다. 2025.03.25.  © 뉴시스


예상 산불 피해 면적인 산불영향구역은 1만7534㏊로, 전날 오전 9시(1만4693.6㏊) 대비 약 19.3% 확대됐다. 이는 여의도의 약 60.5배에 달하는 면적이다.

 

진화율로 보면, 산청·하동 80%, 의성·안동 68%, 울주 온양 92%, 울주 언양 98%를 기록 중이다.

 

정부는 헬기 128대, 인력 1만117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계속해나가고 있다.

 

▲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옥산면 구성리 한 야산에서 주민이 불을 끄고 있다. 2025.03.25.  © 뉴시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worst wildfire, death toll rises to 18... shows no sign of dying out

 

As of the 26th, 18 people have died and 19 have been injured in the wildfires that occurred in Gyeongnam and Gyeongbuk regions. 209 buildings, including houses, factories, and temples, were burned down, and 27,000 people were displaced.

 

According to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n the 26th, as of 5 am that day, the number of deaths due to the wildfires is provisionally 18. By region, 14 people were killed in Gyeongbuk and 4 in Gyeongnam. Six people were seriously injured and 13 were slightly injured due to the wildfires.

 

Building damage was also massive, with 209 houses, factories, warehouses, temples, vehicles, and cultural assets burned down. Uiseong suffered the most damage with 145, and Sancheong was found to have lost 64. The damage scale of Ulsan Ulju-gun Onyang and Eonyang is not even being calculated at present.

 

There are 27,079 residents evacuating due to the forest fire, and 26,006 of them are unable to return home.

 

The largest number of evacuees is in Uiseong and Andong with 23,113, followed by 4,628 in Ulju Eonyang, 1,773 in Sancheong and Hadong, and 365 in Ulju Onyang. 35 residents of Gochang and Jeongeup are also evacuating.

 

Medium- and large-scale forest fires are currently occurring in 6 areas: Sancheong and Hadong, Uiseong and Andong, and Ulju Onyang and Eonyang.

 

Wildfires are still ongoing in Sancheong, Hadong, Uiseong, and Ulju, covering 17,398 hectares.

 

The areas that have completed firefighting are only 39.6㏊ in Okcheon, Chungcheongbuk-do and 97㏊ in Gimhae, Gyeongnam, for a total of 136.6㏊.

 

The estimated area of ​​forest fire damage, the forest fire-affected area, is 17,534㏊, which is about 19.3% larger than 9:00 AM the previous day (14,693.6㏊). This is an area about 60.5 times the size of Yeouido.

 

In terms of firefighting rate, Sancheong and Hadong are at 80%, Uiseong and Andong at 68%, Ulju Onyang at 92%, and Ulju Eonyang at 98%.

 

The government is continuing firefighting operations by deploying 128 helicopters and 11,117 personnel.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