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시는 4월 1일부터 모든 시내버스에 현금함을 철거하고, 교통카드로만 요금을 지불하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제도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교통카드 이용 확대로 시내버스의 현금 승차 승객이 감소하는 추세에 따라 현금 수입 관리에 소요되는 연간 8.2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운행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추진된다.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운행은 3차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차 5개 노선 98대, 2차 40개 노선 583대, 3차 77개 노선 1,034대 등 총 127개 노선에서 시범 운행을 거쳤다. 그 결과, 대구시 전체 시내버스의 현금 승차 비율은 2023년 2.2%에서 2025년 2월 말 기준 0.5%로 크게 감소했으며, 충분한 홍보와 현장 운수 종사자의 친절한 응대로 특별한 민원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전면 시행으로, 대구시의 전체 시내버스 127개 노선, 1,566대가 ‘현금 없는 시내버스’로 운영되며, 이에 따라 비용 절감과 운행 시간 단축 등 운영 효율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들은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 K-패스카드 할인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현금 없는 시내버스’는 현물 선불·후불 교통카드뿐만 아니라 모바일 교통카드도 이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은 버스 정류장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거나, 버스에 비치된 요금납부안내서를 통해 추후 계좌이체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특히, 대구시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를 통해 고령층에서도 큰 불편 없이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허준석 대구광역시 교통국장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이후에도 운영 현황과 불편 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시민들에게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City to fully implement ‘cashless city buses’ from April 1
Daegu City announced that it will remove cash boxes from all city buses and fully implement the ‘cashless city buses’ system, where fares are paid only with transportation cards, starting April 1.
This measure is being promoted to reduce the annual cost of 8.2 billion won required for cash income management and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as the number of passengers riding cash on city buses is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card use.
The ‘cashless city buses’ pilot operation, which began in July of last year,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with a total of 127 routes being piloted: 98 buses on five routes in the first phase, 583 buses on 40 routes in the second phase, and 1,034 buses on 77 routes in the third phase. As a result, the cash boarding rate for all city buses in Daegu City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2% in 2023 to 0.5% as of the end of February 2025, and no special complaints were raised due to sufficient promotion and friendly response from on-site transportation workers.
With this full implementation, 1,566 buses on 127 routes in Daegu City will be operated as ‘cashless city buses,’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such as cost reduction and shortened operation time. Citizens can enjoy benefits such as fare discounts, free transfers, and K-Pass card discounts by using transportation cards.
‘Cashless city buses’ can use not only physical prepaid and postpaid transportation cards but also mobile transportation cards, and passengers who do not have transportation cards can receive mobile transportation cards through the QR code attached to the bus stop or pay the fare later by bank transfer using the fare payment guide provided on the bus.
In particular, Daegu City is supporting the elderly to use the ‘cashless city bus’ without much inconvenience through the ‘Senior Integrated Free Transportation Card’, which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Heo Jun-seok, the Director of Daegu Metropolitan City Transportation Bureau, said, “Even afte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cashless city bus,’ we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operational status and inconveniences to provide citizens with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