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대구시민회관 애물 논란’ 왜?

수차례 지적에도 꿈쩍 않더니 뒤늦은 호들갑

정창오 기자 | 기사입력 2015/02/03 [12:38]

‘대구시민회관 애물 논란’ 왜?

수차례 지적에도 꿈쩍 않더니 뒤늦은 호들갑

정창오 기자 | 입력 : 2015/02/03 [12:38]

대구시민회관을 둘러싸고 ‘애물단지’ 논란이 일고 있다. 대구시는 1975년에 개관한 대구시민회관이 노후화돼 매년 20억원 이상의 보수비용이 들어가자 리노베이션(기존 건축물을 헐지 않고 개·보수해 사용하는 것)을 결정하고 지난 2009년 11월 5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대구시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공사비 499억 원 중 국비 20억 원과 시비 20억 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캠코가 부담하고 20년간 상업시설을 임대해 얻는 수익으로 공사비를 회수함으로써 예산부담 없이 문화시설을 획득할 수 있다고 홍보하는 한편 대구시의회에도 이 같이 보고했다.

이에 따라 대다수 시민들은 물론 대구시의원들도 대구시가 재정부담 없이 낡은 시민회관을 리노베이션을 통해 탈바꿈하고 클래식 전용 공연장을 확보해 대구시가 표방하는 문화도시 조성에 기여할 것이란 기대를 했었다.

하지만 <브레이크뉴스>는 이 사업의 계획단계에서부터 각종 문제점을 제기했었다. <브레이크뉴스>는 2010년 7월 8일 ‘시민회관 리모델링, 서민 피멍든다’를 시작으로 2014년 4월 3일 ‘세금부담 없다던 시민회관 리노베이션은 뻥’, 같은해 4월 13일 ‘시민회관 리모델링 실체 드러나’를 보도했고 지난해 11월 12일에도 ‘대구시민회관 애물단지 추가요’를 보도했다.

<브레이크뉴스>를 포함한 인터넷매체는 부실하기 짝이 없는 행정에 따른 시민회관 리모델링으로 인해 대구시민들의 피 같은 혈세가 캠코의 배를 불리고 가뜩이나 열악한 대구시 재정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수차례에 걸쳐 경고했지만 대구시는 물론, 지역 언론도 이러한 지적에 귀를 막았었다.

하지만 2013년 11월 재개관에 들어간 시민회관이 1년 정도 운영하자 <브레이크뉴스>의 거듭된 경고는 현실화됐다. 당초 499억 원이던 공사비는 559억원으로 60억원이 늘어났고 준공 1년 전부터 3년 동안 캠코에 129억 원을 지급하고 준공 후 20년 동안 매년 6억 원씩 120억 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다 대구시는 캠코에 전체 건축원가의 4%를 개발수수료와 매년 전체 재산가액을 산정해 0.33%를 관리수수료, 위탁기간 20년 동안 초과수익이 발생하면 결산 후 40%를 또 받도록 했다.

특히 당초 대구시가 공사비의 대부분을 캠코가 지불하고 20년 동안 상업시설 임대수익을 통해 건축비를 회수한다고 시민들에게 밝힌 것도 결과적으로 새빨간 거짓말이 됐다. 상업시설 운용 수익에 대한 위험부담을 전적으로 대구시로 귀속해 매년 6억원의 수익이 나지 않을 경우 이를 대구시가 캠코에 물어주도록 계약했다.

시민회관은 재개관 이후 1년 6개월이 지났지만 상업시설의 임대수입은 전무하다. 대구시는 재개관 당시 예상한 연간 임대수입 25억원이 ‘0원’으로 이런 상태가 계속될 경우 임대수익으로 충당해야하는 개발원리금 223억원을 대구시가 떠안아야 하는 것은 물론 캠코의 상업시설 수익보장분 6억원도 꼬박꼬박 대구시가 책임져야 한다.

캠코로서는 사업비 환수, 수익보장, 위험부담 제로로 ‘땅 집고 헤엄치기’를 하는 셈이 됐고 대구시는 건축원가를 산정하면서 정확한 설계도면도 없이 한국감정원의 ‘표준단가’를 적용하는 등 엉터리 같은 공사추진을 해 시민들의 등을 휘게 만든 셈이다.

대구시는 이런 황당한 사업계획안에 대해 2010년 4월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각 국장들이 위원으로 참여해 외부인이 단 1명도 없는 시정조정위원회를 열어 개발계획을 일사천리로 승인했었다. ‘짬짜미’ 위원회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이유다.

결국 대구시가 시민회관 리노베이션을 추진하면서 국비와 시비 40억 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사실상 캠코가 부담하는 것이라고 한 말은 시의회와 시민을 속이기 위한 미사여구였다는 비난에 대구시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브레이크뉴스>를 포함한 인터넷 매체의 거듭된 지적에도 불구하고 대구시 정책을 검증하고 부실한 행정집행을 견제해야 할 대구시의회가 본연의 의무를 망각한 점과 이러한 지적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지역 언론도 아쉬움으로 남는 대목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