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경북수산자원연구원, 자취감춘 동해안 진객‘개량조개’ 복원 성공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9/26 [11:37]

경북수산자원연구원, 자취감춘 동해안 진객‘개량조개’ 복원 성공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2/09/26 [11:37]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원장 문성준)이 최근 자원량이 급감해 전국 연안에서 찾아보기 힘든 개량조개를 복원했다고 26일 밝혔다.

 

▲ 개량조개 치패  © 경북도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에 따르면 개량조개는 최근 자원량이 급감해 전국 연안에서 찾아보기 힘든 품종으로 종자생산에 이용할 어미조차 확보가 어려웠다.

 

지난 4월 강원도 고성에서 어미 120kg을 어렵게 확보 후 5월말 성숙한 모패를 채란해 인공부화에 성공하고 자체배양한 미세조류를 먹이로 5개월간 사육해 1~2cm급의 개량조개 48만 마리를 생산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어 26일부터 28일까지 고부가 품종의 수산 자원조성을 통한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개량조개 48만 마리를 지역 연안 4개 시군(포항, 경주, 영덕, 울진) 연안에 방류하게 됐다.

 

일명 명주조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과거 해수욕장에서 손과 발로 잡던 추억이 있는 명품으로 수심 10m내외의 모래질에 주로 서식하는 어민들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이다.

 

과거 형망어업에 의한 어업인의 주요 소득원이었으나 자원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인공종자생산에 의한 치패방류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자원량 관리를 위해 어업인의 주인의식 확립 및 남획을 비롯한 불법어업 근절 등 자원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도내 주요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방류적지를 파악해 조개잡이 체험 프로그램 등 볼거리, 먹거리를 제공함과 동시, 향후 지속적인 대량생산 연구를 통해 동해안 특화품목으로 정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개량조개는 노랑조개, 명주조개, 명지조개, 밀조개 등으로 불리며 주로 동중국해, 대만, 일본, 한국 등의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succeeds in restoring ‘improved clams’ in the east coast that disappeared

 

The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President Seong-Jun Moon) announced on the 26th that it had restored improved clams, which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coasts of the country due to the recent sharp decline in the amount of resources.

 

According to the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improved clams are a rare variety in coastal areas nationwide due to a sharp decline in resources recently,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even a mother for seed production.

 

In April, it was difficult to secure 120 kg of mothers in Goseong, Gangwon-do, and at the end of May, mature mothers were hatched and artificially hatched. They were bred for 5 months with self-cultivated microalgae as food, producing 480,000 1~2cm class improved clams. achieved

 

Then, from the 26th to the 28th, 480,000 modified clams were released to the coasts of 4 cities and counties (Pohang, Gyeongju, Yeongdeok, and Uljin) along the coast to increase the income of fishermen through the creation of aquatic resources of high value-added varieties.

 

It is widely known as a pongee shellfish, and is a luxury item that has memories of holding hands and feet at the beach in the past.

 

In the past, sieve fishing was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fishermen, but as the amount of resources is rapidly decreasing,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hive release project through artificial seed production.

 

In particular, for continuous resource management, efforts are needed to recover resources, such as establishing a sense of ownership among fishermen and eradicating illegal fishing including overfishing.

 

Kim Seong-hak, director of the Gyeongbuk Provinci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said, “We will do our best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establishing a specialty item in the East Coast through continuous mass production research in the future, while providing sights and food, such as a shellfish-fishing experience program, by identifying the right stocking sites around major beaches in the province. I will do it,” he said.

 

On the other hand, improved clams are called yellow clams, silk clams, myongji clams, wheat clams, and the like, and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East China Sea, Taiwan, Japan, and Korea.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