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근대문화유산 재조명과 관광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개최김대일 문화환경위원장 “근대문화유산 활용 통한 경북 관광활성화 위해 제도마련에 노력하겠다”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의회 김대일 문화환경위원회 위원장은 “근대문화유산 활용 통한 경북 관광활성화 위해 제도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경북도내에 산재해 있는 근대문화유산들의 유·무형 가치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고, 이를 통한 관광자원화 및 관광활성화에 대해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첫 번째 주제발표를 한, 손산문 회장(한국기독교사적협의회)은‘한국 근대사와 함께한 기독교 유산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기독교 역사 유산의 문화적 콘텐츠로 활용, 순례코스 네트워크 구축, 사회적 공공자산으로 보존 및 활용 등을 강조했다.
이어, 두 번째 발표를 맡은 배만규 교수(국립안동대학교)는 “경북 기독교 문화유산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지역 연계 스토리텔링 관광코스 개발, 근대문화유산 오감체험, 관광 요소를 강화한 연령별 관광상품 개발 등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지정토론에서는 마을 단위 스토리텔링 콘텐츠 마련, 근대문화유산과 근대산업유산 등 관광자원들을 연계한 관광코스 개발, 경북 오일장과 근대문화유산의 연계, 근대문화유산 전수조사 및 등록문화재 제도 세분화, 근대문화유산 거리 및 벨트 조성 등 ‘근대문화유산 재조명과 관광활성화 방안’주제에 걸맞은 다양하고 세부적인 의견들이 개진되었다.
김대일 위원장은 “이번 토론회가 종교적 차원을 넘어 지역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관광활성화 방안에 대한 발전적인 의견을 모아 경상북도의회 차원에서 정책개발역량을 강화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길 기대한다”면서 “이를 위한 실용적인 정책이 하루빨리 수립될 수 있도록 도의회 차원에서도 대안제시와 제도마련에 힘쓰겠다”라고 강조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buk Provincial Council holds policy debate on ‘Re-examin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revitalization plan’
Kim Dae-il, chairman of the Culture and Environment Committee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said, “We will strive to establish a system to revitalize Gyeongbuk tourism through the us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On the 6th, Chairman Kim Dae-il held a policy discussion on ‘Re-illumin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measures to revitalize tourism’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related public officials at the multi-purpose hall of Anmin-gwan, Provincial Office, and said this.
The debate was held on this da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exp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scattered in Gyeongbuk Province, an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from experts and seek ways to promote tourism resources and revitalize tourism through this. done.
First, Chairman Son San-moon (Korea Christian Council), who gave the first presentation, gave a presentation on the theme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ways to utilize Christian heritage in Korean modern history', using Christian historical heritage as cultural content, pilgrimage course network. Emphasis was placed on construction, preservation and use as social and public assets.
Subsequently, Professor Bae Man-gyu (Andong National University), who gave the second presentation, gave the theme of “Plan to revitalize Gyeongbuk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ncluding development of regional storytelling tourism course, experiencing the five sense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ment of age-specific tourism products that strengthen tourism elements. A specific plan was presented.
In the designated discussion, village-level storytelling content was prepared, development of a tourist course linking tourism resources such as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modern industrial heritage, connection between Gyeongbuk Oil Market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complete survey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subdivision of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street. Various and detailed opinions were expressed that fit the theme of 'Re-illumin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revitalization plan', such as the creation of a belt.
Chairman Kim Dae-il said, “I hope that this debate will b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historical value as a regional modern cultural heritage beyond the religious dimension, gather progressive opinions on ways to revitalize tourism, and strengthen policy development capabilities at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level.” He emphasized, “We will strive to present alternatives and establish systems at the provincial council level so that practical policies for this can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