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군위군 ‘인각사 극락전’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3/12/28 [16:33]

군위군 ‘인각사 극락전’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3/12/28 [16:33]

【브레이크뉴스 군위】이성현 기자=조선 후기 목조건축물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인 군위군‘인각사 극락전’이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됐다.

 

▲ 인각사 극락전  © 군위군


28일 군위군에 따르면 이번 지정은 대구광역시에서 군위군 소재 국가유산(구.문화재)을 지정한 첫 사례다. 또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과정에서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와 대구시 문화재위원회의 선정심의를 모두 거쳤다.

 

인각사의 중심 법당인 ‘극락전’은 고려초에 건축되어 정유재란으로 소실되고1677년(숙종3년) 새로 지어졌다.

 

이 법당은 조선 후기 목조건축물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1790년 큰 보수가 있었으며 불단의 위치와공포 형식, 보머리 형태 등을 통해 17세기와 18세기 건축 양식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기단과 초석, 단퇴량과 포동자주는 고려시대 건물에서 확인되는 부재와 유사하여 특이하다. 2011년 해체‧보수 과정에서 고려 시대에는 중층으로 건립되었으나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후 중수 과정에서 단층으로 지어진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사적지인 군위 인각사지는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후 보각국사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이다. 이번 지정으로 보물 ‘보각국사탑 및 비’ 등 7건이 인각사의 국가유산(구,문화재)으로 등재됐다.

 

또 ‘석조 아미타여래 삼존좌상 및 목조대좌’가 시 문화재위원회 선정심의와지정예고 등을 마치고 1월 중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을 앞두고 있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삼국유산의 산실인 인각사에는 많은 국가유산이 있지만건축물에 대한 지정은 처음이라 매우 뜻 깊다.”라며 “군민들과 함께 소중한국가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unwi-gun ‘Ingaksa Geungnakjeon’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material by Daegu Metropolitan City

 

Gunwi-gun ‘Ingaksa Geungnakjeon’, an important example showing the evolution of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resource by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Gunwi-gun on the 28th, this designation is the first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designating a national heritage (formerly cultural property) located in Gunwi-gun.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Gunwi-gun's incorporation into Daegu City, it went through selection deliberation by both the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nd the Daegu City Cultural Heritage Committee.

 

‘Geugnakjeon’, the main shrine of Ingaksa Temple, was built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was destroyed in the Jeongyu Rebellion and rebuilt in 1677 (3r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This shrine is an important example that shows the evolution of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underwent major repairs in 1790, and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of the Buddhist altar, the form of the main altar, and the shape of the head of the temple.

 

In particular, the stylobate, cornerstone, Dantoeryang, and Podongjaju are unique as they are similar to members found in buildings from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dismantling and repair process in 2011, it was found that it was built as a single-story building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was destroyed in the Jeongyu disaster and was rebuilt as a single-story building.

 

Gunwi Ingaksa Temple, a historical site, was founded by Master Uisang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is where Monk Bogak State Preceptor Ilyeon wrote the Samguk Yusa. With this designation, seven items, including the treasure ‘Bogak State Preceptor Pagoda and Monument’, were registered as national heritage (formerly cultural assets) of Ingaksa Temple.

 

In addition, the ‘Stone Amitabha Buddha Triad and Wooden Pedestal’ is scheduled to be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January after completing the selection deliberation and designation notice by the city Cultural Heritage Committee.

 

Gunwi County Governor Kim Jin-yeol said, “Ingaksa Temple, the cradle of the Three Kingdoms Heritage, has many national heritage sites, but this is the first designation for a building, so it is very meaningful.” He added, “We will preserve and develop this precious national heritage together with the resident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군위군 ‘인각사 극락전’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