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군위】이성현 기자=(재)군위문화관광재단(이하 재단)이 지난 28일,‘2023년 지역문화 활력촉진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빛나는 청년들과 함께한 ‘청년문화사업’이성황리에 마무됐다.
29일 재단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군위 청년의 힘으로 활기차고 살아 숨 쉬는 군위를 조성하기 위해 진행된 사업으로, 지역 내 청년거점공간인‘청년공유문화금고’를 중심으로 지난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청년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다.
다양한 청년이 만나 공동체를 형성하고 청년 문화를 발굴하는‘내 청춘 빛나리’부문에서는 청년 문화 프로그램, 청년 모임 지원, 청년 공연단 운영, 2023 군위청년축제, 청년 플리마켓 등청년들의 문화 활동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특히,‘2023 군위청년축제’는 청년의 날을 기념하여 군위 청년들과 함께 진행한 군위의 청년 축제로 ‘힘내라, 빛나라, 즐겨라, 날아라, 미쳐라 청춘’ 이라는 슬로건 아래 공연과 교육, 토크 콘서트, 체험, 마켓 등 다채롭게 구성되었으며 지역 내 청년들이 모여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지역 내 청년 창업가와 함께한‘청년 플리마켓(위 포레스트 마켓)’은 총 4회에 걸쳐 군위군 및 대구시 수성못에서도 진행하여 군위 청년 창업가들의 제품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외부 청년 유입을위한 프로젝트‘군위로,〝토끼〞세요’는 창업편과 힐링편으로 나눠 운영되었다.
‘창업편’ 은 군위로 이주와 정착을 희망을 희망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지역 내 청년 창업가와 만나 정보를 공유하며 지역 내 창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로컬 체험으로 진행됐다.
‘힐링편’ 은 유튜버‘우니의 끼니’와함께 군위에서 먹고, 즐기며 군위 청년 창업가의 제품을 체험하는 등 군위만의 힐링 요소를 가득 담아 운영되었다.
29일,‘우니의 끼니’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영상을 마지막으로 전국 청년들과 함께 진행했던 ‘청년문화사업’이 성황리에 마무리 된다.
한편, (재)군위문화관광재단은 군민으로부터 문화영향력 사업, 숨겨진 문화를 생활속으로 사업, 지속가능한 청년문화사업 등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민과 함께 다양한 문화활동을 진행하며 군위다움을 찾아갔으며, 앞으로도 군위만의 문화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unwi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successfully completes ‘Sustainable Youth Culture Project’ with brilliant young people
On the 28th, the Gunwi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undation) successfully completed the ‘Youth Culture Project’ with brilliant young people as part of the ‘2023 Local Cultural Vitality Promotion Support Project’.
According to the foundation on the 29th,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to create a vibrant and breathing Gunwi through the power of Gunwi youth. From July to December, youth groups across the country were centered around the 'Youth Sharing Culture Safe', a youth hub in the region. We have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with them.
In the 'My Youth Shine' section, where various young people meet, form a community, and discover youth culture, we aim to lay the found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for young people, such as youth cultural programs, youth gathering support, youth performance troupe operation, 2023 Gunwi Youth Festival, and youth flea market. Various programs were carried out.
In particular, the '2023 Gunwi Youth Festival' is a youth festival in Gunwi held with Gunwi youth in commemoration of Youth Day. Under the slogan 'Cheer up, shine, enjoy, fly, go crazy youth', it includes performances, education, talk concerts, It consisted of a variety of experiences, markets, etc.,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young people in the region to gather and communicate.
In addition, the ‘Youth Flea Market (above Forest Market)’ with young entrepreneurs in the region was held a total of four times in Gunwi-gun and Suseongmot Lake in Daegu, providing an opportunity to widely publicize the products of Gunwi young entrepreneurs.
‘Gunwi, 〝Rabbit〞Seo’, a project aimed at attracting external youth, was divided into entrepreneurship and healing parts.
‘Entrepreneurship’ was a local experience for young people wishing to immigrate and settle in Gunwi, where they could meet local young entrepreneurs, share information,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gion.
The ‘Healing Edition’ was run with full of healing elements unique to Gunwi, such as eating and having fun in Gunwi with YouTuber ‘Uni’s Meal’ and experiencing the products of young Gunwi entrepreneurs.
On the 29th, the ‘Youth Culture Project’ conducted with youth across the country was successfully concluded with the video being uploaded to the ‘Uni’s Meal’ YouTube channel.
Meanwhile, the Gunwi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has sought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Gunwi by carrying out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ith local residents through this project, including the cultural influence project, the project to bring hidden culture into daily life, and the sustainable youth culture project. We plan to pursue various activities to discover Gunwi’s unique cultur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