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관, 경북도 출자출연기관 찾아 소통행보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1/17 [16:08]

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관, 경북도 출자출연기관 찾아 소통행보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4/01/17 [16:08]

【브레이크뉴스 구미】이성현 기자=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담당관실은 지난 1월 12일 구미에 위치한‘경상북도 행복재단’과‘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을 방문해 현장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했다.

 

▲ 행복재단 단체사진  © 경북도의회


17일 경북도의회에 따르면 이번 방문은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이후 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신설된 정책지원관들이 경상북도 출자ㆍ출연기관 등 주요 사업현장을 찾아 관계자들의 운영상의 고충과 애로사항을 청취해 현장에서 의정활동의 답을 찾고자 올해 처음 도입된‘열린의회 찾아가는 입법지원활동’제도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경북행복재단 현장방문은 올해 1월 1일부터 경북행복재단과 경북청소년육성재단이 통합해 경북행복재단으로 공식 출범함에 따라 이뤄졌다.

 

이날 경북 도내 보건복지청소년 분야의 싱크탱크 역할은 물론이며, 고령화와 저출산 등 급변하는 보건복지청소년 서비스의 환경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도의회와 행복재단의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의 장이 됐다.

 

특히 구미 지역구 출신인 김일수 도의원(국민의힘)이 참석해 “행복재단이 청소년육성재단을 품은 만큼 앞으로 경북 복지 컨트롤타워로써 역할을 다해주길 바라며, 그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청소년 관련 연구원 배치 등 의회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현장방문에서는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함께 테마공원이 구미시민을 비롯한 경북도민이 모두 함께 이용하는 시설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김종수 의회사무처장은“현장중심의 보다 전문화된 의정활동으로 경상북도의회가 지역 현안 문제와 도 산하기관 운용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앞으로도 외부의 다양한 경력과 전문성을 갖춘 정책지원관제도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한 실효성 있는 의정활동을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olicy support officer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visits Gyeongbuk-do investment institutions and communicates

 

The Policy Support Office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visited the ‘Gyeongsangbuk-do Happiness Foundation’ and the ‘Saemaul Undong Theme Park’ located in Gumi on January 12 and listened to the vivid voices of field officials.

 

According to the Gyeongbuk Provincial Council on the 17th, this visit was conducted by newly established policy support officers to support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lawmakers after the independence of local council personnel rights, visiting major business sites such as Gyeongsangbuk-do investment and contribution institutions to listen to the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of the officials. It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Open Parliament Visiting Legislative Support Activities' system, which was first introduced this year to find answers to legisl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This on-site visit to the Gyeongbuk Happiness Foundation took place as the Gyeongbuk Happiness Foundation and the Gyeongbuk Youth Development Foundation were merged and officially launched as the Gyeongbuk Happiness Foundation on January 1 of this year.

 

On this day, it not only served as a think tank in the field of health, welfare and youth in Gyeongbuk Province, but also served as a forum for discussion on ways to cooperate between the Provincial Council and the Happiness Foundation to quick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health, welfare and youth services such as aging and low birth rate.

 

In particular, Provincial Assemblyman Kim Il-soo (People Power Party), who is from the Gumi constituency, attended and said, “As the Happiness Foundation embraces the Youth Development Foundation, I hope that it will fulfill its role as a control tower for welfare in Gyeongbuk in the future, and to fulfill that role, we will make efforts at the parliamentary level, such as deploying youth-related researchers.” “We will not spare any support,” he said.

 

Subsequently, during the on-site visit to the Saemaul Undong theme park, consensus was formed on the difficulties of operating the Saemaul Undong theme park, and ways to transform the theme park into a facility that can be used by all citizens of Gyeongbuk Province, including Gumi citizens, were discussed.

 

Kim Jong-su, Secretary General of the National Assembly, said, “We expect that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will contribute to local pending issues and improved operation of subsidiary organizations through more specialized legislative activities centered on the field.”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operate the policy support system with diverse external experience and expertise efficiently.” “We will do our best to carry out effective legislative activities through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제355회 임시회서 예산안 및 조례안 심사… “민생경제 중심 심의”
  • 서울시의회, 경북 산불 피해 복구 성금 5천만 원 전달
  • 경북도의회, 日 외교청서 독도 영유권 주장 강력 규탄
  • 경북도의회, 포항의료원장 후보자 인사청문 실시
  • 권광택 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비회기중 활발한 현장 의정활동 펼쳐
  • 경북도의회 349회 임시회 개회
  • 경북도의회 건설소방위, 수해 복구 현장 방문
  • 경북도의회, 후반기 도의회 대변할 슬로건 공모
  • 경북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 개최...도의원 체험 활동 기회 가져
  • 경북도의회 예결특위 2024년도 제1회 추경안 심사 마무리
  • 경북도의회 직원 역량 강화 워크숍 개최
  •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 도민복지와 권익 향상의 초석 마련
  • 경상북도의회, 제345회 임시회 개회...도정질문, 민생 조례안 등 안건처리
  •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경북 첨단산업육성 지원근거 마련
  • 경상북도의회 정책지원관, 경북도 출자출연기관 찾아 소통행보
  • 경북의회 국민의힘2023 의원 워크숍 개최
  • 경북도의회 박규탁 윤승오 대표 발의 조례 상임위 통과
  • 경상북도의회,행정사무감사 도민제보 운영
  • 경북도의회, ‘근대문화유산 재조명과 관광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개최
  • 경북도의회, 집중호우 피해 복구에 구슬땀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