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이춘우)는4차산업혁명 시대 디지털전환과 미래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전략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이차전지와 반도체산업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고, 4차산업혁명의 핵심이 되는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 로봇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첨단산업육성을 위한 추진근거와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먼저, 작년 8월 제정된 `경상북도 이차전지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조례'를 통해 이차전지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근거를 마련했다.
해당 조례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이차전지산업발전기반을 조성하고 글로벌시장과 기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체계를 규정하고 있어, 이차전지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경상북도 반도체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반도체산업의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산업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고 지원하기위한 근거로서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 지자체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선도적으로 법적 기반을 마련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시의성을 갖춘 조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경북도는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사업(449억원), 8인치 SiC웨이퍼 기반 멀티센터 SoC 플랫폼 개발사업(100억원), 산·학·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32년까지 2만명) 등 반도체초격차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경상북도 디지털 전환 및 가상융합경제 활성화 조례’가 제정되어 미래산업에 대한 대비책을 철저히 마련하고 지역 경제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경북도는 2022년 ‘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선포하고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발전상을 제시하였으며 2024년에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 실현 산업 생태계 조성, 메타버스 선도 프로젝트 추진, 5G 기반 실감콘텐츠산업 거점육성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경상북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통해서는 인공지능 기술개발과 지원을 비롯해 연구실용화를 위한 산학연 협력 지원,인공지능산업 기반조성,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등 인공지능 산업의 육성과 지원에 관한 지원체계 확립의 근거를 마련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국내 AI 도입기업 실태조사(2021)’에 따르면, 368개의 기업 중 14.7%가 이미 '인공지능을 도입한 상태'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들 중 80%가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라고 평가해 인공지능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에 경북도는 영남권 제조업 AI 융합 기반 조성사업(’24∼’26년, 450억원), 초거대 AI 클라우드팜 실증 및 AI 확산 환경조성사업(’24~’26년,240억원),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 등 미래 발전의 핵심 매개체가 될인공지능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상북도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는 로봇산업의 성장 촉진과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경상북도 로봇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제정됐다.
이를 통해 경상북도는 글로벌 로봇 생산거점 구축지원 사업(30억원, ’24~’26년), 안전·물류·농업 연계 로봇산업 연구개발 지원사업(250억원,’23~’29년), 로봇직업 혁신센터 구축사업[2단계](300억원, ’25~’29년)을 추진하고 경북도가 로봇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계획이다.
이춘우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은“4차산업혁명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현시대에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발굴할 필요성이 있다.”며, “첨단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법적 기반을 확립하고, 디지털 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하여 경상북도가 혁신의 터전으로 발돋움하는데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buk Provincial Council Planning and Economy Committee prepares basis for support for fostering high-tech industry in Gyeongbuk
The Planning and Economy Committee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Chairman Lee Chun-woo) announced on the 20th that it is lead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of future indust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taking strategic responses.
To this end, we have lai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and have also established a basis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fostering high-tech industr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which are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irst, the leadership of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was secured and the basis for systematic developmen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Gyeongsangbuk-do Ordinance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enacted in August of last year.
The ordinance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stipulates a multifaceted support system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market and technology, playing a key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In addition, the 'Gyeongsangbuk-do Ordinance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a basis for efficiently fostering and supporting related industr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is a leading legal basis as competition between not only the state but also domestic local governments is intensifying. It is evaluated as a timely ordinance that secures competitive advantage.
Based on this, Gyeongbuk Province is carrying out a project to build a semiconductor material and component test and evaluation center (KRW 44.9 billion), a project to develop an 8-inch SiC wafer-based multi-center SoC platform (KRW 10 billion), and a human resources training project tailored to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2 KRW by 32). 10,000 people) are striving to achieve a super gap in semiconductors.
In addition, the ‘Gyeongsangbuk-do Digital Transformation and Virtual Convergence Economy Activation Ordinance’ was enacted to thoroughly prepare for future industries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o create a new driving force for the local economy.
Gyeongbuk Province declared 'Metaverse Capital Gyeongbuk' in 2022 and presented a future development plan to respond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paradigm. In 2024, Gyeongbuk, the Metaverse Capital, will be realized by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promoting Metaverse leading projects, and establishing a 5G-based realistic content industry base. We plan to pursue projects such as training.
Through the ‘Gyeongsangbuk-do Ordinance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it provides support for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for research commercialization, including development and suppor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fostering and suppor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including cre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foundation and nurturing and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s.
According to the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Institute (KISDI)'s 'Survey on Domestic AI Adopting Companies (2021)', 14.7% of 368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had already 'introduc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80% of them had a 'positive response'. It was evaluated as ‘effective’, confirming the growth potential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rket.
Accordingly, Gyeongbuk Province is developing a project to create an AI convergence base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Yeongnam region (2024-2026, KRW 45 billion), a large-scale AI cloud farm demonstration and AI expansion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24-2026, 24 billion KRW),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cialized project. We are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which will be a key medium for future development, including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s.
The 'Gyeongsangbuk-do Robot Industry Development and Support Ordinance' stipulates matters necessary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robot industry and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Gyeongsangbuk-do robot industry ecosystem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o induce technological innovation. It was enacted for
Through this, Gyeongsangbuk-do will implement a global robot production base establishment support project (KRW 3 billion, 2024-2026), a robot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support project linked to safety, logistics, and agriculture (KRW 25 billion, 2023-29), and robot job innovation. We plan to promote the center construction project [Phase 2] (KRW 30 billion, 2025 to 2029) and do our best to make Gyeongbuk-do a global hub for the robot industry.
Chun-Woo Lee, Chairman of the Planning and Economic Committee, said, “In the current era whe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there is a need to actively discover new business models.” He added, “We must establish a legal foundation for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i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dustries.” “I will take the lead in helping Gyeongsangbuk-do become a hub for innovation by creating an ecosystem,” he pledged.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