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DGIST(총장 이건우)는 에너지환경연구부 정순문 박사 연구팀이 신개념 전계발광소자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LED나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이 전기를 가하면 물질이 빛을 내는 것을 ‘전계발광’이라 한다.
전계발광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평면 전극이 빛을 내는 층을 샌드위치처럼 감싸야 한다. 평면 전극에는 주로 금속이나 인듐 주석 산화물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전극은 잘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유연한 발광소자를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정순문 박사 연구팀은 투명하고 신축성이 높으며 전기전도도를 지닌‘이온젤’이라는 특수한 재료를 전극으로 사용한 면내전계(in-plane electric field) 기반 발광소자를 제작했다.
이온젤 기반의 발광소자는 전극이 발광층 내부에 있기 때문에 얼음 속이나 끓는 물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보호막 없이 잘 작동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발광소자를 만들 때 필요한 보호막을 씌우는 과정이 이온젤 기반의 발광소자를 만들 때는 필요 없어 쉽고 간단한 제작이 가능하다.
에너지환경연구부의 정순문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발광소자는 비싼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도 만들 수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보여준다”며 “향후 기존의 디스플레이와는 차별화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려 한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GIST (President Lee Kun-woo) announced on the 18th that Dr. Sunmoon Jeong's research team in the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 has developed a new concept electroluminescent device.
Like LED or OLED displays, when a material emits ligh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it is called ‘electroluminescence’.
Electroluminescence generally requires two planar electrodes to surround a light-emitting layer like a sandwich. Metals or indium tin oxide are mainly used for flat electrodes, but because these electrodes do not stretch well, it has been difficult to make flexible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ly, Dr. Soon-moon Jeong's research team produced a light-emitting device based on an in-plane electric field using a special material called 'ion gel', which is transparent, highly elastic, and has electrical conductivity, as an electrode.
Ion gel-based light emitting devices work well without a protective film even in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ice or boiling water because the electrodes are located inside the light emitting layer.
In addition, the process of covering a protective film, which is generally required when making a light-emitting device, is not necessary when making an ion gel-based light-emitting device, allowing for easy and simple manufacturing.
Dr. Soon-moon Jeong of the Energy and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said, “The light-emitting device developed this time can be made without expensive equipment or complicated processes, and shows strong durability even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He added, “We will develop devices that can be used in area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displays in the future.” “We are trying to develop it,” he said.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특집 담당입니다. 진실하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의 입과 귀가 되겠습니다.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