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북도, 저출생 지원 대상 부모 법률혼 중심서 아이 중심으로 전환

비혼 출산 가정 92% 상대방에게 양육비 받지 못하는 상황...지원 대책 마련
혼인외 가정 정상적 지원 위해 ‘동반 가정 등록제’추진등 정부에 건의 하기로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4/12/02 [17:01]

경북도, 저출생 지원 대상 부모 법률혼 중심서 아이 중심으로 전환

비혼 출산 가정 92% 상대방에게 양육비 받지 못하는 상황...지원 대책 마련
혼인외 가정 정상적 지원 위해 ‘동반 가정 등록제’추진등 정부에 건의 하기로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4/12/02 [17:01]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는 저출생 정책 지원 대상을 부모 및 법률혼 중심에서 아이 중심으로 전환하고 실질적 지원에 나선다.

 

▲ 이철우 경북도지사.     ©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일 도청에서 개최된 제25회차 저출생과 전쟁 혁신 대책 회의에서 “지역 내 비혼 출생아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는 최근 톱스타 G 씨의 비혼 출산으로 촉발된 비혼 등 혼인외 출생‧가정 화두에 대해 경북도가 선제적으로 정책 대응에 나선 것이다.

 

경북도는 현재 비혼 출산 가정의 92%는 상대방에게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상황으로 지원 대책 마련, 법 제도 정비, 사회적 인식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도는 정책 대응 방향을 지역에서 먼저 할 수 있는 사업은 우선 추진하고 정부·국회 등과 협력이 필요한 법 제도 개선 등은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지역 내 비혼 출생아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저출생 정책 지원 대상을 부모 및 법률혼 중심에서 아이 중심으로 전환하고, 비혼 출생아에 대한 낙인·오해 등 잘못된 편견을 깨기 위해 민간 저출생 극복본부와 함께 캠페인 개최 등 사회 인식개선에 나선다.

 

또한, 비혼 출생아 및 혼인외 가정의 정상적 지원을 위해 (가칭)‘동반 가정 등록제’ 도입 추진 등을 정부에 건의하고 국회 입법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비혼 가정 정상적 지원을 위한 법 제도 개선과 확장적 가족에 대한 지원 정책 연구 실시, 전문가 포럼, 국회 세미나 등을 통해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그동안 경북도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혼외출산 비중과 합계출산율 사이의 상관관계, OECD 주요국의 비혼 가정 등록 제도 등에 대해 검토해 왔다.

 

경북도에 따르면 혼외출산이 평균을 넘어가는 OECD 국가들의 합계출산율은 1.63명으로 OECD 평균 출산율인 1.56명을 상회하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은 비혼 가정에 대해 법적인 보호 및 사회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네덜란드 등록 파트너-십, 프랑스 시민연대협약 PACS, 스웨덴 동거법 등의 공통점은 등록된 동거 가정에 혼인 관계에 준하는 권리와 의무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또한, OECD 국가 혼외 출산율이 평균 41.9%에 이르고*우리나라도 최근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긍정 인식이 37.2%로 꾸준히 증가하는*등 정책 마련 여건도 성숙해졌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제 우리나라도 비혼 등 혼인외 출생 등에 대한 법 제도적 지원 체계를 갖추고 공동체 회복 기반의 다양한 확장적 가족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히고,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한 경북에서 먼저 비혼 출생아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즉시 마련해 시행하고 전국으로 확산시켜 관련 법 제도가 신속히 마련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overnor Lee Cheol-woo, “Review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Gyeongsangbuk-do Province is shifting the low birth rate policy support target from parents and legal marriage to children and moving forward with practical support.

 

On the 2nd, at the 25th Low Birth Rate and War Innovation Countermeasures Meeting held at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Governor Lee Cheol-woo instructed, “Review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in the region.”

 

According to Gyeongsangbuk-do Province, this is a preemptive policy response to the recent issue of out-of-wedlock births and families triggered by top star G’s out-of-wedlock births.

 

Gyeongsangbuk-do Province currently believes that 92% of families with out-of-wedlock births do not receive child support from their partner, and thus support measures, legal system improvement, and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are necessary.

 

The province decided to prioritize project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region and collaborate with th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etc. on improving legal systems that require cooperation.

 

First,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in the region, we will shift the target of low birth rate policy support from parents and legal marriage to children, and work with the private Low Birth Rate Overcoming Headquarters to improve social awareness by holding campaigns to break the stigma and misunderstanding of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In addition, we plan to propose to the government and request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to introduce a (tentative name) ‘joint family registration system’ to ensure normal support for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and families born out of wedlock.

 

To this end, we plan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normal support for unmarried families, conduct research on policies to support extended families, and specify policies through expert forums, National Assembly seminars, etc.

 

In the meantime, Gyeongbuk Province has been revi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out-of-wedlock births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unmarried family registration systems of major OECD countries to overcome the low birth rate.

 

According to Gyeongbuk Province, the total fertility rate of OECD countries with an average rate of extramarital births is 1.63, which is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fertility rate of 1.56, and major OECD countries ar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legal protection and social support systems for unmarried familie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Dutch registered partnership, the French civil solidarity pact PACS, and the Swedish cohabitation law is that they grant registered cohabiting families the same rights and obligations as marriage.

 

In addition, the analysis is that the policy environment has matured, as the average extramarital birth rate in OECD countries is 41.9%* and the positive perception that it is possible to have children without getting marrie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to 37.2% recently.

 

In relation to this, Gyeongbuk Governor Lee Cheol-woo stated, “Now, our country should also establish a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non-marital births, etc., and introduce various expanded family systems based on community recovery,” and emphasized, “In Gyeongbuk, which declared war on the low birth rate, we will immediately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hat can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non-marital births, and spread them nationwide so that related laws and systems can be established quickly.”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경북도, 이철우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