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북TP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동서대학교 재학생에 맞춤형 현장교육 실시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1/10 [12:02]

경북TP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동서대학교 재학생에 맞춤형 현장교육 실시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1/10 [12:02]

【브레이크뉴스 포항】이성현 기자=(재)경북테크노파크(원장 하인성)는 지난 9일 포항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에서 동서대(장제국 총장)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사업단의 ‘이차전지 기관탐방 및 역량강화 워크숍’ 과정의 현장 맞춤형 교육을 실시했다고 10일 밝혔다.

 

▲ 경북TP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동서대학교 재학생에 맞춤형 현장교육 실시  © 경북테크노파크

 

동서대(부산시 소재)의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는 다양한 융합분야 전공의 학생들이 대학과 기업이 공동 운영하는 1년 이내 또는 전공 학위과정의 집중교육을 통해 이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분야 기업에 전문인재를 양성 및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에서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재활용 판단을 위한 성능평가 절차 및 방법, 재사용 배터리를 이용한 ESS, 모빌리티 등 다양한 제품군의 개발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하는 현장체험 교육을 통해 동서대 학생들에게 이차전지 배터리 전반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 이차전지산업의 현재와 미래 기술, 사용후 배터리의 산업화를 위한 관련 법률, 신기술 등을 학습함으로써 동서대학교 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도움을 주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현장 체험은 스마트모빌리티학부 박용성 교수의 인솔하에 30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는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국책사업들에 대한 소개와 2025년 신규과제로 기획하고 있는 전기차 사용후 핵심부품 순환이용 규제자유특구사업 및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산업에 관해 설명했다.

 

이 사업은 전기차 핵심부품(배터리팩, 모터, 감속기, 인버터 등)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한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자원순환체계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경상북도/포항시와 경북테크노파크가 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에 유치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핵심부품의 등급 분류 기준 실증, 재제조 실증, 재사용 실증을 통해 관련 규제를 개선하여 포항의 기존 전기차 배터리 클러스터를 전기차 핵심부품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순환이용 혁신클러스터로 확대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경북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앞으로도 취업과 진로를 고민하는 인재들에게 현장 교육의 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산학연관 협력 플랫폼의 역할수행 및 배터리 소재 전문인력양성 지원을 통해 친환경 배터리 소재/부품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buk TP Secondary Battery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ustomized On-site Training for Students of Dongseo University

 

Gyeongbuk Technopark (Director Ha In-seong) announced on the 10th that it conducted on-site customized training for the ‘Secondary Battery Institutional Tour and Capacity Building Workshop’ course of Dongseo University (President Jang Je-guk) Advanced Industry Talent Development Bootcamp Project Group at the Pohang Secondary Battery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on the 9th.

 

Dongseo University’s (Busan) ‘Advanced Industry Talent Development Bootcamp’ is a project that fosters and supports specialized talents for companies in advanced field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and semiconductors through intensive training of students majoring in various convergence fields within one year or in a major degree course jointly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companies.

 

The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Center has provided Dongseo University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secondary batteries through on-site experiential education where they can directly see and experience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reuse/recycling of used batter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 groups such as ESS and mobility using reused batteries.

 

In addition,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lp Dongseo University students design their career paths by learning about the current and future technologi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related laws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used batteries, and new technologies.

 

About 3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on-site experience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or Yongseong Park of the Department of Smart Mobility. The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Center explained to the participating students about the national projects being carried out and the regulatory free special zone project for the circulation of used core components of electric vehicles and the used battery reuse industry planned as new projects for 2025.

 

This project is a project to establish a remanufacturing, reuse, and recycling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nd infrastructure for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of electric vehicle core components (battery packs, motors, reducers, inverters, etc.) and is a project that Gyeongsangbuk-do/Pohang City and Gyeongbuk Techno Park are promoting to attract to the Pohang Blue Valley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Pohang's existing electric vehicle battery cluster into an innovative cluster for remanufacturing, reuse, and recycling of electric vehicle core components by improving related regulation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grad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core components, verification of remanufacturing, and verification of reuse.

 

A Gyeongbuk Techno Park official said, "We will continue to provide on-site education to talented individuals who are considering employment and career paths, and lead the eco-friendly battery material/component industry by performing the role of an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platform and supporting the training of battery material expert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경북TP, 디딤돌 첫걸음 기업에 R&D 역량강화 교육 및 사업 설명회 개최
  • 경북TP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동서대학교 재학생에 맞춤형 현장교육 실시
  • 경북TP, 전기차 사용후 핵심부품 순환이용 규제자유특구 공청회 개최
  • 경북TP, 화물용 전기자전거 안전성 시험평가 테스트베드 현장 견학 지원
  • 경북TP, ‘레전드 50+’1.0 참여기업 추가 모집
  • 경북TP, ‘경북 미래차 그린전환 소재부품 육성사업’ 과제 2025년 국비 172억 원 확보
  • 경북TP, 경영실적평가 4년 연속 최우수등급(S등급) 획득
  • 경북TP, “경북형 돌봄산업 육성으로 저출생 극복”
  • 경북TP 무선전력전송기술센터, 스마트인덕션 실증 착수
  • 경북TP, 인권존중 문화확산에 노력
  • 경북TP, 경북 AI 숏폼 콘텐츠 크리에이터 어워드 개최
  • 경북테크노파크, 캄보디아 수출상담회 성공적인 개최...상담 114건, 상담액 655만 불 성과
  • 경북테크노파크, 세포배양식품 규제자유특구 사업 본격 시작
  • 경북테크노파크, RIS사업 기업지원 선정기업 실무교육 개최
  • 경북TP, 경북지역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투자포럼 개최
  • 경북TP, ‘온 국민이 함께하는 만 원 이상 기부 운동’ 홍보 나서
  • 경북TP, 대구가톨릭대와 이차전지산업 인재양성 교육 수행
  • 경북TP, 친환경 경량소재 적용 미래차 부품산업 전환 생태계 기반구축사업 선정
  • 경북TP, 국가기술거래플랫폼 서비스 사업 선정
  • 경북테크노파크 무선전력전송기술센터, 국내유일 국제규격WPC(Qi) 인증시험 획득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