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북도, K-공공보듬 1호(아이동반사무실)개소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1/10 [16:52]

경북도, K-공공보듬 1호(아이동반사무실)개소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1/10 [16:52]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북도는 10일 경북도청에서직원들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광역 자치단체 최초로 직원과 자녀가 함께 근무하는 공간인‘K-공공보듬 1호(아이동반사무실)’개소식을 가지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 경북도, K-공공보듬 1호(아이동반사무실)개소  © 경북도


이날 개소식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박성만 도의회 의장,방형식 ㈜대교에듀캠프 대표이사, 정태주 국립안동대학교 총장, 안병윤경북도립대학교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K-공공보듬 1호 개소식’및 ‘K-공공보듬 성공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2월,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한 경북도는 민간 부문에는 공동체돌봄을목표로 한 ‘K-보듬 6000’을, 공공부문에는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K-공공보듬’모델을 제시하며, 저출생 극복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 중이다.

 

‘K-보듬 6000(온종일 돌봄을 통한 육아천국)’이 아파트, 공동육아 나눔터 등 민간 돌봄을 위한 모델이라면, ‘K-공공보듬’은 민간 보듬의 방향성을 공공부문에 적용해 자치단체, 공공기관 내 돌봄공간을 마련해부모는 고민 없이 일하고 아이는 돌봄으로 성장하는 공공 돌봄모델이다.

 

‘K-공공보듬 1호’는 경북도청 민원실을 리모델링해 만든아이동반사무실로‘좋은 돌봄은 좋은 공간에서 시작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우주서원(宇宙書院)’이라는 독창적인 컨셉으로 설계됐다.

 

‘K-공공보듬’은 단순한 돌봄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질문을 잘하고 창의적이며 아이디어 넘치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문기업 위탁을통해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직업 체험 행사, 자녀 심리검사등도 함께 지원한다.

 

이를 위해 돌봄 교사, 전문 강사, 심리상담사는 물론 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창의적 성장과 전인적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부모들은 안심하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돌봄 및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운영시간은 방학 중 09시~21시, 학기 중 13시~21시로, 학교 수업이 일찍끝나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직원을 주요 대상으로 하며, 자녀를 맡길 곳이 없거나 긴급 돌봄이 필요한 경우에도 신청서를 제출하고 이용할 수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아들과 함께 아이 동반사무실을 이용하는 이00 팀장은 “방학 기간 자녀를 혼자 둘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아침부터 학원을여러 군데 보내야 했는데 같이 출근해서 근무를 하니 걱정을 덜었다”며“앞으로도 부모와 자녀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가 더 확대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K-공공보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돌봄 관련 민간기업과 도내 대학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저출생 극복과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새로운 돌봄 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날 경북도는 ㈜대교에듀캠프, 안동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K-공공보듬 확산․보급, ▴공공보듬 프로그램 개발‧운영 ▴일자리 창출 등 공공보듬 활성화 및 저출생극복을 위해 산-학-관이 연계해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교육전문기업(産)은 창의적이고 교육적인 돌봄 프로그램 운영으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대학교(學)는 인재를 양성해 인력을 공급하고, 지자체(官)는 아이 동반사무실을 만들어 지역인재 채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경북도는 단순히 새로운 공간을 열었다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보듬산업 육성을 목표로, K-공공보듬 1호 시범모델의 성과를 바탕으로시군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으로 공공돌봄 모델을 확산시킨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출산 주체인 아이 부모가 아이를 맡겨두고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저출생 문제를 풀지 못한다는인식에서 출발했다”며 “이번 사업이 저출생 문제 극복과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경북에서 시작된 혁신 모델이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아이 키우는 부모가 행복한 경북’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저출생과 전쟁(시즌 2)을 선포했으며, ‘K-보듬 6000 확대와’과‘K-공공보듬 확산’을 통해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종합적이고 선도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buk Province Opens K-Public Care No. 1 (Childcare Office)

 

On the 10th, Gyeongbuk Province held an opening ceremony for the ‘K-Public Care No. 1 (Childcare Office)’ at the Gyeongbuk Provincial Office to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by supporting employees’ work-life balance, and began full-scale operation.

 

On this day, Gyeongsangbuk-do Governor Lee Cheol-woo, Provincial Council Speaker Park Seong-man, Daegyo Educamp CEO Bang Hyeong-sik, And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eong Tae-joo, and Gyeongbuk Provincial University President Ahn Byeong-yoon attended the opening ceremony, and held the ‘K-Public Care No. 1 Opening Ceremony’ and ‘Business Agreement Ceremony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K-Public Care’.

 

In February of last year, Gyeongbuk Province, which declared war on the low birth rate, is currently promoting the ‘K-Bodeum 6000’ model, which aims for community care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K-Public Bodeum’ model, which supports work-family balance in the public sector, as core strategies to overcome the low birth rate.

 

While ‘K-Bodeum 6000 (Parenting Heaven through All-Day Care)’ is a model for private care such as apartments and shared childcare centers, ‘K-Public Bodeum’ is a public care model that applies the direction of private care to the public sector, creating care spaces in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so that parents can work without worry and children can grow through care.

 

‘K-Public Bodeum No. 1’ is a childcare office created by remodeling the Gyeongbuk Provincial Office Civil Affairs Office, and was designed with the unique concept of ‘Universe Academy (宇宙書院)’ based on the philosophy that ‘good care begins in a good space.’

 

‘K-Public Care’ is not just a simple care service, but also support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various job experience events, and child psychological tests through professional companies so that children can grow into children who ask questions well, are creative, and have many ideas.

 

To this end, care teachers,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psychological counselors are assigned, as well as safety managers, so that children can achieve creative growth and holistic development in a safe environment, and parents can focus on their work with peace of mind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care and support system.

 

The operating hours are 09:00~21:00 during vacations and 13:00~21:00 during the semester, and are mainly for employees with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o have a gap in care due to early school closures. In addition, if there is no place to leave your child or if you need emergency care, you can submit an application and use the service.

 

Team leader Lee 00, who uses the childcare office with his 3rd grade son, said, “During the vacation, I couldn’t leave my child alone, so I had no choice but to send him to several academies in the morning. But now that I can go to work with him, I feel less worried,” and added, “I hope that the workplace culture that parents and children can use with peace of mind will expand even further.”

 

In addi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K-Public Care, we will also spur the fostering of a new care industry that works with the local community by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system for overcoming the low birth rate and creating local jobs through business agreements with private companies related to care and universities in the province.

 

On this day, Gyeongbuk Province signed a business agreement with Daegyo Educamp Co., Ltd.,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 Gyeongbuk Provincial University to actively cooperate with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to ▴spread and distribute K-Public Care, ▴develop and operate public care programs, and ▴create jobs to vitalize public care and overcome the low birth rate.

 

Educational compan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by operating creative and educational care programs, universities will provide human resources by cultivating talent, and local governments will create childcare offices to create jobs through hiring local talent, thereby building a sustainable care model that grows together with the local community.

 

Gyeongsangbuk-do aims to foster a care industry that goes beyond simply opening a new space and expands the public care model to cities, countie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K-Public Care No. 1 pilot model.

 

Gyeongsangbuk-do Governor Lee Cheol-woo said, “It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we cannot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unless we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arents, who are the main drivers of childbirth, can leave their children and work to their heart’s content.” He added, “This project is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overcoming the low birth rate problem and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I hope that the innovative model that started in Gyeongsangbuk-do will spread throughout the Republic of Korea.” Meanwhile, Gyeongbuk Province declared a war on low birth rates (Season 2)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 in order to create a ‘Gyeongbuk where parents raising children are happy’, and plans to pursue comprehensive and leading policies to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through ‘Expanding K-Nurture 6,000’ and ‘Expanding K-Public Nurture.’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경북도, K-공공보듬 1호(아이동반사무실)개소
  •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