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대구시, iM뱅크와 ‘TK신공항·종전부지 개발사업 지정 금융기관’ 업무협약 체결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1/14 [17:07]

대구시, iM뱅크와 ‘TK신공항·종전부지 개발사업 지정 금융기관’ 업무협약 체결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1/14 [17:07]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광역시는 14일 시청 산격청사에서 iM뱅크(은행장 황병우)와 ‘TK신공항 건설 및 종전부지 개발사업 지정 금융기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대구시, iM뱅크와 ‘TK신공항·종전부지 개발사업 지정 금융기관’ 업무협약 체결  © 대구시


대구시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은 기존 SPC 방식에서 대구시 공영개발 방식으로 TK신공항 건설사업을 전환함에 따라 향후 대규모 사업 재원 차입을 앞두고 이뤄졌다.

 

대구시는 지난해부터 일반 재정사업과 구분하여 TK신공항건설기금을 설치·운용하고 있는데, 이번 협약을 통해 TK신공항 및 종전부지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대규모 사업자금을 운용하는 TK신공항건설기금의 출납, 보관 등을 수행할 금융기관으로 iM뱅크를 지정했다.

 

iM뱅크는 앞으로 대규모 사업 재원의 운용으로 자금 유동성이 커지는 만큼 대구시에 TK신공항 사업에 대한 우대금융 제공 등 필요한 지원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TK신공항건설기금 운용 지정 금융기관으로 iM뱅크를 선정됨에 따라 대규모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지역 소상공인과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하는 등 대구경제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병우 iM뱅크 은행장은 “TK신공항 건설사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대구시와 적극 협력하고 지역은행으로서 지역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TK신공항건설기금을 통한 공공자금관리기금 차입 규모는 약 13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민·군 공항 통합시공을 위한 정부 재정과 종전부지 분양 수입 등을 더하면 향후 34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준표 시장은 “엄중한 국내 정치 상황에도 대구 100년 미래 번영을 이끌 TK신공항과 종전부지 개발사업은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추진 될 것이다”며, “전국구 시중은행으로 발돋움한 iM뱅크가 이번 협약에 따른 자금 유동성과 여력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더 크게 기여하고 지역민에게 변함없이 사랑받는 금융기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City, iM Bank Sign Business Agreement for ‘TK New Airport and Former Site Development Project Designated Financial Institution’

 

On the 14th, Daegu Metropolitan City signed a business agreement for ‘TK New Airport Construction and Former Site Development Project Designated Financial Institution’ with iM Bank (CEO Hwang Byung-woo) at the City Hall Sanggyeok Building.

 

According to Daegu City, this business agreement was made in anticipation of large-scale project funding borrowing in the future as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was converted from the existing SPC method to the Daegu City public development method.

 

Since last year, Daegu City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Fund separately from general financial projects, and through this agreement, it has designated iM Bank as the financial institution that will handle receipts and disbursements, storage, etc. of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Fund, which operates large-scale project funds in accordance with the promotion of the TK New Airport and Former Site Development Project.

 

iM Bank has decided to actively cooperate with Daegu City to provide necessary support, such as preferential financing for the TK New Airport project, as liquidity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rough the operation of large-scale project funds.

 

Daegu City expects that by selecting iM Bank as the designated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Fund, it will prevent large-scale fund outflows and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local small business owners and companies based on abundant liquidity, thereby creating an opportunity for Daegu’s economic leap forward.

 

iM Bank President Hwang Byeong-woo said, “We will actively cooperate with Daegu City for the stable promotion of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and do our be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s a regional bank.”

 

Meanwhile, the scale of public fund management fund borrowing through the TK New Airport Construction Fund is estimated at approximately 13 trillion won, and if you add in government finances for the integrated construction of civilian and military airports and revenue from the sale of former sites, it is expected that 34 trillion won will flow in in the future.

 

Mayor Hong Joon-pyo said, “Despite the grav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the TK New Airport and former site development projects, which will lead Daegu’s 100-year prosperity, will proceed without the slightest hesitation.” He added, “I hope that iM Bank, which has emerged as a nationwide commercial bank, will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liquidity and capacity provided by this agreement and become a financial institution that is consistently loved by local resident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대구광역시, '청년성장프로젝트 청년카페' 확대 추진
  • 대구시,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
  • 대구시, 가족돌봄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MOU 체결
  •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 군위군 최종 선정
  • 대구혁신도시 복합문화센터, 개관식 성황리에 개최
  • 대구광역시, '대구청년정책네트워크' 제7기 참여자 100명 모집
  • 대구시,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 본격 시작
  • 대구시, 통합주차정보시스템 본격 시행…시민 편의성 크게 향상
  •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사업, 지역전략사업 선정으로 그린벨트 해제 빨라져
  • 대구시, 아동돌봄 환경 안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 대구시, 로봇앵커기업 육성을 위해 417억 원 지원
  • 대구시, 2024년 체납액 징수율 8년 연속 전국 1위
  • 대구 치과의료기업, AEEDC Dubai 2025서 544만 불 계약 체결
  • 대구시, ‘다대구’앱 통해 2025 대구마라톤 기록인증 NFT 발급
  • 대구시, 중국 청두에 해외사무소 개소...경제문화교류 확대 거점 역할
  • 대구 불광사 지장시왕도, 市 유형문화유산 신규 지정
  • 2025년 전국사업체조사, 2월 7일부터 실시
  •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 모집
  • 대구시, 군부대 최종 이전지 3월 초 선정한다
  • ‘금호강 궁산 생태탐방로 조성’ 사업 정부 공모사업 선정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