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대구시, 군부대 최종 이전지 3월 초 선정한다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1/23 [15:10]

대구시, 군부대 최종 이전지 3월 초 선정한다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1/23 [15:10]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광역시는 1월 21일 국방부가 대구 군부대 이전 예비후보지를 군위군, 영천시, 상주시 3곳으로 선정해 대구시로 통보함에 따라, 각 예비후보지에 대한 평가를 거쳐 3월 초 최종 이전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 대구시청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 군부대 이전은 대구 미래 100년을 위한 민선 8기 ‘100+1 혁신사업’ 중 미래혁신 주요 사업이자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의 핵심 공약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시민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2023년 12월 국방부와 민·군상생 업무협약(MOU)를 체결함으로써 군부대 이전을 명문화했으며, 2024년 초부터 국방부와 함께 최적 이전지 선정 절차를 시작했다.

 

수차례의 관·군협의체 회의 결과, 국방부는 1단계로 작전성을 포함한 군 임무수행 여건, 정주성을 평가해 예비후보지를 선정하고, 2단계로 사업시행자인 대구시는 사업성, 수용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최종 이전지를 대구시가 선정하기로 했다.

 

작년 한 해 동안 국방부는 현지 실사를 포함한 예비후보지 평가를 실시했으며, 올해 1월 20일(월) ‘대구 군부대 이전 예비후보지 선정 심의위원회’를 거쳐 1월 21일(화) 대구시로 예비후보지 선정 결과를 통보했다.

 

선정된 예비후보지는 군위군·영천시·상주시 등 3개 지역으로, 작전·군수·복지 등 군 기능별 임무수행이 용이하고 훈련 효과를 발휘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어 대구시는 기부대양여 사업의 사업시행자로서 사업성과 수용성을 평가한다.

 

‘사업성’은 사업비와 사업절차 용이성을 평가하며, ‘수용성’은 이전 지역의 주민 수용성과 이전하는 군부대의 군 선호도를 평가해 3월 초에 평가 결과와 함께 최종 이전지를 선정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평가에 있어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전문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에 평가를 의뢰할 예정이다. 대구정책연구원은 그동안 경북도청 이전지나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이전지 등을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선정했던 경험이 있는 전문 연구기관이다.

 

앞으로 대구정책연구원은 2월 초에 예비후보 지자체를 대상으로 ‘평가계획 설명회’를 개최하고, 2월 말 평가자료를 접수받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최종 이전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국가안보와 지역발전을 위해 민·군이 상생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준 국방부에 감사를 표한다”며, “이번에 국방부로부터 통보받은 예비후보지 중 최종 이전지가 3월에 결정되면, 대구 미래 100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정예 강군 육성과 미래 선진 병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군부대 이전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이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City to Select Final Relocation Site for Military Bases in Early March

 

Daegu Metropolitan City announced on the 23rd that it plans to select the final relocation site in early March aft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otified Daegu City of the three preliminary candidate sites for the relocation of Daegu military bases on January 21st: Gunwi-gun, Yeongcheon-si, and Sangju-si.

 

The relocation of Daegu military bases is being promoted as a major future innovation project among the 8th elected government's '100+1 Innovation Project' for Daegu's future 100 years and as a key campaign promise of Daegu Mayor Hong Joon-pyo.

 

With the launch of the 8th elected government, based on the formation of public consensus, the military base relocation was formalized by signing a civil-military cooperation agreement (MOU)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December 2023,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optimal relocation site began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early 2024.

 

As a result of several government-military consultative meeting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ill select a preliminary candidate site by evaluating the military mission performance conditions including operational feasibility and settlement in the first stage, and Daegu City, the project executor, will select the final relocation site by evaluating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in the second stage.

 

Last ye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preliminary candidate site including on-site inspection, and on January 20 (Monday) of this year, the ‘Daegu Military Base Relocation Preliminary Candidate Site Selection Deliberation Committee’ was held, and on January 21 (Tuesday), the preliminary candidate site selection results were notified to Daegu City.

 

The three selected preliminary candidate sites are Gunwi County, Yeongcheon City, and Sangju City, and were evaluated as suitable for easy execution of military functions such as operations, military supplies, and welfare, and for demonstrating training effects.

 

Next, Daegu City, as the project executor of the Donation Ocean Project, will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Business feasibility’ evaluates the cost of the project and the ease of the project process, and ‘acceptability’ evaluates the acceptability of residents in the relocation area and the military preference of the military unit to be relocated. The final relocation site will be selected and announced along with the evaluation results in early March.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in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will be requested from an external expert organization, the ‘Daegu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egu Policy Research Institute is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with experience in rationally and fairly selecting sites for the relocation of the Gyeongbuk Provincial Office and the new Daegu Metropolitan City Hall building.

 

In the future, the Daegu Policy Research Institute plans to hold an ‘evaluation plan briefing session’ for prospective local governments in early February, receive evaluation data at the end of February, and select the final relocation site through an ‘evaluation committee’ comprised of experts.

 

Daegu Mayor Hong Joon-pyo said,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for their efforts to ensure that the civilian and military coexist for national security and regional development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and “Once the final relocation site among the preliminary candidate site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decided in March, the military unit relocation project tha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Daegu’s future 100-year development while contributing to the fostering of an elite military force and the creation of an advanced military environment for the future will begin in earnest.”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대구광역시, '청년성장프로젝트 청년카페' 확대 추진
  • 대구시,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
  • 대구시, 가족돌봄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MOU 체결
  •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 군위군 최종 선정
  • 대구혁신도시 복합문화센터, 개관식 성황리에 개최
  • 대구광역시, '대구청년정책네트워크' 제7기 참여자 100명 모집
  • 대구시,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 본격 시작
  • 대구시, 통합주차정보시스템 본격 시행…시민 편의성 크게 향상
  •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사업, 지역전략사업 선정으로 그린벨트 해제 빨라져
  • 대구시, 아동돌봄 환경 안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 대구시, 로봇앵커기업 육성을 위해 417억 원 지원
  • 대구시, 2024년 체납액 징수율 8년 연속 전국 1위
  • 대구 치과의료기업, AEEDC Dubai 2025서 544만 불 계약 체결
  • 대구시, ‘다대구’앱 통해 2025 대구마라톤 기록인증 NFT 발급
  • 대구시, 중국 청두에 해외사무소 개소...경제문화교류 확대 거점 역할
  • 대구 불광사 지장시왕도, 市 유형문화유산 신규 지정
  • 2025년 전국사업체조사, 2월 7일부터 실시
  •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 모집
  • 대구시, 군부대 최종 이전지 3월 초 선정한다
  • ‘금호강 궁산 생태탐방로 조성’ 사업 정부 공모사업 선정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