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 모집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2/05 [17:21]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 모집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2/05 [17:21]

【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광역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을 오는 3월 11일까지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 대구시청 전경     ©<대구시 제공>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기존 교육부가 주관하던 일관된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틀에서 벗어나, 지자체 주도로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교육 혁신 및 지원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2023년 2월 RISE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대구시는 그간 타 지자체보다 한발 앞서 RISE 체계로의 전환을 준비해 오면서, 실효성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지역대학 및 혁신기관, 경제·산업계 등 다양한 주체들과 지속적인 소통으로 의견을 수렴해 왔다.

 

또한,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기존 RISE연구센터인 대구정책연구원과는 별도로 기업지원 및 지·산·학·연 협력사업 수행에 경험이 많은 (재)대구테크노파크를 지난달 17일(금) RISE사업센터로 추가 지정했다.

 

대구형 RISE 계획은 4대 프로젝트, 17개 단위과제로 구성돼 대학의 혁신을 기반으로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인재양성 및 산업구조 혁신, 취·창업유도, 정주 여건 개선은 물론, 나아가 지역사회 혁신으로 연결되는 선순환체계 구축이 목적이다.

 

올해 대구 RISE 사업의 전체 예산은 총 1,200억 원(국비 1,000억 원, 지방비 200억 원) 규모이며, 다음 달 11일(화)까지 약 5주간 수행대학 선정을 위해 대구 소재 대학들을 대상으로 사업공모를 진행한다.

 

지역 대학들은 이번 공모를 통해 대학별 특성과 강점, 단위과제 간의 연계성 및 시너지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사업을 신청하게 된다.

 

대구시는 대학별 사업계획서 접수 후,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요건검토, 서면평가, 대면평가 등을 거쳐 오는 3월 말에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와 사업 전담기관인 (재)대구테크노파크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대구시는 사업의 차질 없는 수행을 위해 지난해 대학과 기업을 대상으로 13회에 걸쳐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올해 1월 23일(목)에도 지역대학 대상 사업공고 사전설명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했다.

 

또한, 공고 기간 중에도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등 상세안내를 위한 추가 설명회를 2회 이상 개최 예정으로, 지역대학, 유관기관, 기업, 구·군 등 참여 대상 기관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다.

 

정재석 대구광역시 대학정책국장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위기 속에서 RISE 체계는 중요한 기회이자 전환점이 될 것이다”며,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상생해 나갈 수 있도록 대구형 RISE 체계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City, Regional Innovation-centered University Support System (RISE) Project Promotion Regional University Recruitment

 

Daegu Metropolitan City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will recruit regional universities to promote the ‘Regional Innovation-centered University Support System (RISE)’ project, which will be implemented in earnest starting this year, until March 11th.

 

The Regional Innovation-centered University Support System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is a system that breaks away from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consistent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motes the joint growth of regions and universities through innovation and support of university education linked to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led by local governments.

 

Daegu City, which was selected as a RISE pilot area in February 2023, has been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to the RISE system ahead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has been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regional universities, innovation organizations, and the economic and industrial sectors to collect opinion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plan.

 

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promote the business, Daegu Technopark, which has extensive experience in corporate support and local-industrial-academic-research cooperation projects, was additionally designated as a RISE business center on Friday, the 17th of last month,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RISE research center, Daegu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egu-type RISE plan consists of four major projects and 17 unit tasks, and aims to foster talent through linkages with regional key industries based on university innovation, innovate industrial structures, induce employment and startups, improve living conditions, and establish a virtuous cycle system that leads to local community innovation.

 

The total budget for this year's Daegu RISE project is 120 billion won (100 billion won from the national budget and 20 billion won from the local budget), and a business competition will be held fo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for approximately 5 weeks until Tuesday, the 11th of next month to select the implementing university.

 

Through this competition, local universities will apply for the project in the form of a package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each university, the interconnectivity and synergy effects between unit projects, etc.

 

After receiving the business plans of each university, Daegu City plans to announce the final selection results at the end of March after the selection evaluation committee consisting of relevant experts reviews the requirements, conducts a written evaluation, and conducts a face-to-face evaluation.

 

Detailed information can be found o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and Daegu Techno Park website, the project management organization.

 

In addition, Daegu City held 13 briefing sessions for universities and companies last year to ensure smooth execution of the project, and also collected opinions through a preliminary briefing session for local universities on January 23 (Thursday) this year.

 

In addition, Daegu City plans to hold additional briefing sessions at least twice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 to provide detailed guidance on how to write a business plan, and plans to continue communication with participating organizations such as local universities, related organizations, companies, and districts and counties.

 

Jeong Jae-seok, Director of Daegu Metropolitan City University Policy Bureau, said, “In the midst of the crisis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extinction of local regions, the RISE system will be an important opportunity and turning point,” and added, “We will do our best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Daegu-style RISE system so that the local community can grow and coexist together.”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대구광역시, 구제역 발생에 따른 비상방역 체계 돌입
  • 대구시, ‘사랑의 집수리’ 사업 올해도 시행
  • 대구광역시, '청년성장프로젝트 청년카페' 확대 추진
  • 대구시,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
  • 대구시, 가족돌봄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MOU 체결
  •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 군위군 최종 선정
  • 대구혁신도시 복합문화센터, 개관식 성황리에 개최
  • 대구광역시, '대구청년정책네트워크' 제7기 참여자 100명 모집
  • 대구시,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 본격 시작
  • 대구시, 통합주차정보시스템 본격 시행…시민 편의성 크게 향상
  •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사업, 지역전략사업 선정으로 그린벨트 해제 빨라져
  • 대구시, 아동돌봄 환경 안전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 대구시, 로봇앵커기업 육성을 위해 417억 원 지원
  • 대구시, 2024년 체납액 징수율 8년 연속 전국 1위
  • 대구 치과의료기업, AEEDC Dubai 2025서 544만 불 계약 체결
  • 대구시, ‘다대구’앱 통해 2025 대구마라톤 기록인증 NFT 발급
  • 대구시, 중국 청두에 해외사무소 개소...경제문화교류 확대 거점 역할
  • 대구 불광사 지장시왕도, 市 유형문화유산 신규 지정
  • 2025년 전국사업체조사, 2월 7일부터 실시
  •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추진 지역대학 모집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