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는 3월부터 육아시간 업무대행수당 제도를 도입하여, 육아 시간을 사용하는 공무원이 눈치 보지 않고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광역 자치단체 중 최초로 시행되는 것으로,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과 임신 중인 여성 공무원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현재, 육아시간과 모성보호 시간은 법적으로 보장된 공무원 휴가 제도로, 8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은 36개월 동안 매일 2시간씩 육아시간을, 임신 중인 여성 공무원은 출산 전까지 매일 2시간씩 모성보호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무원들 사이에서 육아시간 사용 시 동료들에게 미안함을 느끼거나, 업무를 대신하는 동료에 대한 보상 부족으로 실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경북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아시간 업무대행수당’ 제도를 신설하여, 육아시간을 사용하는 공무원이 부담 없이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제도는 8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이 육아시간을, 임신 중인 공무원이 모성보호 시간을 월 8시간 이상 사용할 경우, 해당 업무를 대신하는 공무원에게 월 5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아이를 둔 직원은 육아에 집중할 수 있고, 업무대행자는 적절한 보상을 받음으로써 육아 친화적 근무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경북도는 이를 통해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돕고, 육아와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출산 주체인 부모가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공직 내부부터 저출생 극복과 일·가정 양립을 뒷받침하는 여건을 만들어 지역 사회와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저출생과 전쟁(시즌 2)’을 선포하고, 결혼, 출산, 육아, 일·생활 균형을 지원하는 4대 문화 운동을 전개하는 등 종합적이고 선도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sangbuk-do, the first metropolitan government to implement the ‘Childcare Time Work Agency Allowance’ system
Gyeongsangbuk-do announced that it will introduce the childcare time work agency allowance system starting in March, allowing civil servants who use childcare time to use their vacation without worrying about what others think.
This system is the first of its kind among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was created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civil servants with children under 8 years old or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or lower, and pregnant female civil servants.
Currently, childcare time and maternal protection time are legally guaranteed civil servant vacation systems, with civil servants with children under 8 years old being able to use 2 hours of childcare time every day for 36 months, and pregnant female civil servants being able to use 2 hours of maternal protection time every day until giving birth.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where civil servants felt sorry toward their colleagues when using childcare time, or had difficulty actually using it due to lack of compensation for colleagues who took over their jobs.
To solve this problem, Gyeongsangbuk-do established the ‘Childcare Time Work Agency Allowance’ system, allowing civil servants who use childcare time to use their vacation without burden. This system is a system where civil serva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8 who use childcare time or pregnant civil servants who use maternity protection time for more than 8 hours a month are paid a monthly allowance of 50,000 won to civil servants who perform the corresponding work.
Through this, employees with children can focus on childcare, and those who perform the work are expected to receive appropriate compensation, creating a childcare-friendly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Gyeongsangbuk-do plans to use this to help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and to spread a social atmosphere where childcare and work can be done simultaneously.
Gyeongsangbuk-do Governor Lee Cheol-woo said, “We can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only by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parents, who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childbirth, can work,” and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conditions that support overcoming the low birth rate and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from within the public service so that it can spread to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Meanwhile, Gyeongbuk Province declared a ‘War on Low Birth Rate (Season 2)’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 to overcome the low birth rate, and is pursuing comprehensive and leading policies such as launching four major cultural movements to support marriage, childbirth, childcare, and work-life balance.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경북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