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박대통령 안동 방문 도청 이전 탄력

경북도 업무보고서 도청 진입도 및 청사 건립 지원 약속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13/12/03 [15:39]

박대통령 안동 방문 도청 이전 탄력

경북도 업무보고서 도청 진입도 및 청사 건립 지원 약속
이성현 기자 | 입력 : 2013/12/03 [15:39]

2014년 안동으로 이전할 경상북도청이 신도시를 넘어 명품도시로 거듭날 수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동안 진입 도로 등 예산 부족으로 난항을 겪으면서 이전에 적신호가 켜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불식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치가 나오고 있다.
이같은 전망은 2일 박근혜 대통령이 안동과 경주를 잇달아 방문하면서 청와대의 지역에 대한 청사진이 밝혀진데 따른 것으로 박 대통령은 안동에서 받은 경북도청의 업무보고와 관련,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내년 이전 예정인 도청신도시를 명품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청 및 기반시설에의 지원을 적극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박대통령의 이날 약속은 경북도청 이전 자체가 지니고 있는 경북 북부권에 대한 균형적 발전에 뜻을 같이하겠다는 의미를 넘어 대한민국의 균형적 발전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박대통령이 이같은 약속을 하면서 최근 들어 정부의 SOC사업의 축소 등으로 움츠려들었던 도청 이전 추진도 다시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진입도로에 소요되는 비용 조달이 용이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청사와 도시 건설에 따른 정부 지원도 더 크게 기대할 수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이럴 경우, 경북도는 당초 신도시 건설이라는 소극적인 도시건설 목표를 명품 도시로 건설하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날 박대통령이 지나간 안동-경주구간은 문화와 관광에 있어서 경북의 양대 축을 이루고 있는 만큼 안동 신도시의 명품 도시건설은 단순한 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간을 활용한 실제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정부의 국정에 적극 동참하면서도 지방에 맞는 실천적 정책으로 전통문화자산을 활용한 문화융성 선도와 일자리 창출, 정부의 3.0 추진에 따른 도정의 신뢰 구축과 새마을운동을 통한 인류공영 기여 등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특히 원자력 클러스터의 조속한 국책사업 이행과 국토의 도로, 철도망 확충,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대상 우선 선정 , 5대 해양강국 도약을 위한 동해안 발전 특별지원 등 주요 현안 등에 관한 재정지원을 건의했다.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경북도청, 박근혜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