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는 14일 전남 한우 사육 농가에서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구제역 유입을 막기 위해 차단 방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전남 영암에서 4건, 무안에서 1건의 구제역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혈청형은 O형이다. 이는 2023년 5월 발생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경북도는 이에 따라 위기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인 방역 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지난 2월 말 종료된 ‘구제역 방역상황실’을 재개하여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소 사육 농가(17,779호, 76만 5천두)가 가장 많고, 돼지 사육 농가(639호, 127만 2천두)도 전국 4위로 우제류 가축이 많지만, 현재까지는 예찰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다.
농식품부는 14일 오전 8시부터 16일 오전 8시까지 48시간 동안 전국 우제류 농가 및 관련 시설에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발령했으며, 전남은 자체적으로 16일 오전 10시부터 17일 오후 10시까지 36시간 추가로 이동 중지 조치를 시행한다.
또한, 소와 염소의 상반기 일제 접종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하되, 이번 구제역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접종 기간을 14일부터 22일까지 앞당겼다. 소규모 농가(소 50두 미만, 돼지 1,000두 미만)에는 공수의가 접종을 지원하며, 접종은 31일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또한 우제류 사육 농가와 도축장 등의 소독을 강화하고, 소규모 농가에 대해 축협의 공동방제단과 소독 차량 137대를 동원해 집중 소독을 실시한다. 전업농은 자체 소독을 강화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축산 농가에는 행사와 모임을 금지하고, 농장 출입 시 가축, 사람, 차량에 대한 철저한 소독을 지도하고 있다.
김주령 경북도 농식품유통국장은 “농장에서는 백신 접종, 소독 및 농장 출입 통제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며, “가축에서 구제역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관할 시군이나 1588-4060으로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buk Province, all-out effort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inflow… Strengthening quarantine measures
Gyeongsangbuk-do Province announced on the 14th that it will strengthen quarantine measures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inflow as foot-and-mouth disease has occurred in succession at Hanwoo farms in Jeollanam-do.
Four cases of foot-and-mouth disease were confirmed in Yeongam, Jeollanam-do, and one case in Muan, and the serotype is O. This is the first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 in Korea in 1 year and 10 months since the outbreak in May 2023, and Gyeongbuk Province has accordingly raised the crisis level from ‘concern’ to ‘caution.’
Accordingly, Gyeongbuk Province is operating a preemptive quarantine system to block the inflow of the foot-and-mouth disease virus, and is reinforcing quarantine activities by reopening the ‘Foot-and-Mouth Disease Quarantine Situation Room’ that was closed at the end of February.
Gyeongsangbuk-do has the most cattle farms (17,779 households, 765,000 heads) and the 4th largest number of pig farms (639 households, 1.272 million heads), so it has the most cloven-hoofed livestock, but there have been no unusual findings so fa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ssued a temporary movement ban order to cloven-hoofed farms and related facilities nationwide for 48 hours from 8:00 AM on the 14th to 8:00 AM on the 16th, and Jeollanam-do will implement an additional 36-hour movement ban from 10:00 AM on the 16th to 10:00 PM on the 17th.
In addition, the first half of the year’s vaccination of cattle and goats will be carried out from April 1 to 30, but the vaccination period has been brought forward from the 14th to the 22nd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cent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 For small-scale farms (less than 50 cattle and less than 1,000 pigs), public veterinarians will provide vaccination support, and vaccination is expected to be completed by the 31st.
Gyeongbuk Province is also strengthening disinfection of slaughterhouses and farms where cattle are raised, and is conducting intensive disinfection for small-scale farms by mobilizing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s joint pest control team and 137 disinfection vehicles. Full-time farmers are being encouraged to strengthen their own disinfection, and livestock farms are prohibited from holding events and gatherings, and are being instructed to thoroughly disinfect livestock, people, and vehicles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farm.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and Food Distribution Bureau Director Kim Joo-ryeong emphasized, “Farms should thoroughly implement vaccination, disinfection, and farm entry control,” and “If you find any suspicious symptoms of foot-and-mouth disease in livestock, please immediately report it to your local city or county office or call 1588-4060.”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경북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