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관심과 응급처치 능력을 높이기 위해 100여명의 경일대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이 자신들이 직접 구성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과 플래시몹(FLASH MOB)을 선보이는 행사로, 생사의 골든타임으로 알려진 4분의 시간동안 무얼 할 것인지에 대해 해답을 준 행사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에 인구 10만 명 당 40여명의 국민들이 갑작스런 심정지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정지는 60% 이상이 환자의 집에서 일어나며, 환자가 심정지로 쓰러지는 상황을 옆에서 누군가가 목격하는 경우도 40%나 된다. 하지만 이를 목격한 가족 또는 이웃이 119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시도하는 비율은 약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분의 시간은 적어도 이들 환자에게는 생명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선택되어진 시간인 셈이다. 누군가가 이 시간을 활용해 준다면 이 사람은 더 많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
최근 들어 심페소생술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나 자신이 아닌 누군가가 배우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일대학교는 이날 건강 상담부스와 심폐소생술체험 부스 운영을 통해 건강에 대한 이해력을 전달하고 내 손을 통해 생명을 구할 수있음을 인식시킴으로서 누구나가 심폐소생술법을 익히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BLS 센터장 박정미 교수는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시연과 심폐소생술 플래시 몹을 통해 일반인들이 심정지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상황을 정확히 인지하고 심폐소생술을 직접 실시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