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DGIST, 최아영·정욱진 학사과정생 논문 '국제 SCI 학술지'에 게재

진예솔 기자 | 기사입력 2023/04/11 [16:41]

DGIST, 최아영·정욱진 학사과정생 논문 '국제 SCI 학술지'에 게재

진예솔 기자 | 입력 : 2023/04/11 [16:41]

【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DGIST(총장 국양) 기초학부 학사과정생 최아영, 정욱진 학생이 국제 SCI 학술지인 ChemSusChem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 DGIST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 기초학부 정욱진, 최아영 학사과정생  © DGIST


두 학생은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의 지도하에 ‘광전기화학(photoelectrochemical)적인 방법을 통한 친환경 수소 생산’ 연구를 수행했고, 각자 주저자로서 논문을 작성해 국제 학술지에 게재하게 됐다.

 

11일, 대학에 따르면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은 태양광과 전해질, 광촉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현재 수소 생산의 주를 이루는 석유 분해 수소와 달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태양에너지를 활용한다면 현재의 수소 생산 방법보다 높은 효율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실험적으로 높은 효율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어서,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최아영, 정욱진 두 학생 모두 광전기화학적 친환경 광수소 생산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는 논문을 게재했다. 먼저, 최아영 학생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 광전극에 양자점 및 조촉매 등을 추가 적용하여 수소 생산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정욱진 학생은 기존의 광전기화학적 수소 생산 과정에서 손실되어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광열효과를 통해 수소 생산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우수 국제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된다는 것은 해당 연구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기초학부 학사과정생이 주저자로서 자신이 수행한 연구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해당 논문이 우수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는 DGIST에서 지원하는 연구 참여 프로그램이 기초학부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구축되었기에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DGIST에서는 UGRP, URP, 학부 연구생, DGIST 대학원 인턴프로그램 등 학사과정생이 직접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며, 실험을 위해 필요한 연구 환경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실제로 최아영, 정욱진 학사과정생은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에 참여하여 우수한 결실을 나타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GIST (President Kook Yang) undergraduate students Ayoung Choi and Ukjin Jeong, undergraduate students, published a thesis in ChemSusChem, an international SCI journal, as lead authors.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or Ji-Woong Yang of the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the two students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hydrogen through photoelectrochemical methods, and each of them wrote a thesis as the lead author and published it in an international journal.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is a technology that produces hydrogen using sunlight, electrolytes, and photocatalysts. Unlike petroleum decomposition hydrogen, which is currently the main source of hydrogen production, it is expected to show higher efficiency than current hydrogen production methods if solar energy is used in an eco-friendly way. However, since high efficiency has not yet been experimentally implemente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In response, both students Ayoung Choi and Wookjin Jeong published papers proposing ways to improve photoelectrochemical eco-friendly photohydrogen production. First, Ayoung Choi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hydrogen production by additionally applying quantum dots and cocatalysts to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photoelectrodes made of oxide semiconductors. Student Wookjin Jeong proposed a method to maximize hydrogen production through the photothermal effect by recycling the heat energy lost and discarded in the existing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process.

 

Publishing a paper in an excellent international journal means that the research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ccordingly, it is very unusual for an undergraduate under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Basic Sciences to present his/her research results as a thesis, and to have the thesis published in an excellent international journal.

 

This achievement can be seen as possible because the research participation program supported by DGIST has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from the Basic Faculty. DGIST offers various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conduct their own research, such as UGRP, URP, undergraduate research students, and DGIST graduate school intern programs, and also has the necessary research environment infrastructure for experiments. In fact, undergraduate students Ayoung Choi and Wookjin Jeong participated in research through a research program in the laboratory of Professor Jiwoong Yang of the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and showed excellent results.

기획, 특집 담당입니다. 진실하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의 입과 귀가 되겠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대구, DGIST, 논문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