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경산】진예솔 기자=최경환 경산시 국민의힘 무소속 예비후보가 경산 미래 교육 인프라 공약을 발표했다.
7일 최경환 예비후보는 “공교육의 틀 안에서 자녀들의 보육과 교육을 믿고 맡길 수 있는 경산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사교육 지출이 가장 높은 지역이 강남구이고, 두 번째가 수성구인 현실에서 경산 교육이 수성구를 따라 잡기 위해 학부모들에게 사교육비를 그만큼 부담하게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방 이후 입시 제도와 교육시스템이 수없이 개편 되었지만 교육의 문제를 공교육의 틀 안에서 해결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며 “지난 시간 경산 경제 인프라를 어느 정도 닦았던 만큼 이제 교육 인프라를 고도화하여 경산 교육의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이에 따른 공약으로 ▶경산 대학캠퍼스타운 사업 추진을 통한 대학 석학들의 청소년 교육 지원 계획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방학 중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 수능 핵심 과목에 대한 심화 캠프를 운영하고, 지역 대학 교수와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교육센터를 운영한다.
지역 대학의 해외 자매대학으로 우리 학생들의 어학 연수를 지원하고, 기업과 대학이 제휴하여 전공별 직업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 대학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학령 인구 감소에 대비하여 대학을 경산시민의 평생 교육 캠퍼스로 활용하여 청년, 여성, 노인, 장애인을 위한 창업 및 직업 훈련 학교를 운영하는 등 지역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최 예비후보는 『경산 대학캠퍼스타운』 사업은 대학도시 경산이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예비후보는 이외에도 현재 고등학교 정원 부족으로 지역 중학생 중 200여명이 타 지역으로 진학하는 현실을 감안, 고등학교 입학정원 확대를 추진한다. 국가산단유치를 염두에 두고 취업과 대학진학이 동시에 보장되는 첨단산업단지 맞춤형 직업교육이 가능한 마이스터고등학교도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정부가 시행 중인 교육발전특구를 유치하여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력,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1천억원 글로컬대학 사업 유치에도 앞장서 지역대학을 명문대학으로 육성할 것을 다짐했다.
방과 후 돌봄 관련하여 늘봄학교의 확대 시행을 위해 교육시설과 전담교사 양성 및 운영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늘봄학교 전학년 시행 조기 추진, 경산청소년수련관을 조기 건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보육 관련해서도 유보통합 정부지원 확대, 365열린 시간제 어린이집 확대, 육아종합지원센터 조기 건립으로 긴급 돌봄을 지원하고, 출산장려금 지원 확대, 직장 어린이집 설치 확대, 워킹맘 양질 시간제 일자리 지원, 대학병원 어린이 전담 치료 센터 등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공약을 제시했다.
최 예비후보는 “시골 출신인 제가 지난 시간 경산 발전을 위해 일할 수 있었던 것은 교육의 힘이었다”며 “고향 후배들이 교육의 사다리를 통해 미래의 큰 꿈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제 마지막 남은 힘을 경산 교육 발전을 위해 바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Choi Kyung-hwan, an independent candidate for the People Power Party of Gyeongsan City, announced his pledge for Gyeongsan's future education infrastructure.
On the 7th, preliminary candidate Choi Kyung-hwan declared, “I will create Gyeongsan where you can trust and entrust your children’s childcare and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public education.”
He emphasized, “Gangnam-gu is the region with the highest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nd Suseong-gu is the second, so Gyeongsan education cannot make parents pay that much for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catch up with Suseong-gu.”
“Although the entrance exam system and education system have been reorganized numerous times since liberation, it is regrettable that the education problem has not been resolved within the framework of public education,” he said. “As the economic infrastructure of Gyeongsan was built to some extent in the past, we will now upgrade the education infrastructure to provide education in Gyeongsan.” “We will open a new future for,” he said.
As a pledge, a plan to support youth education by university scholars was presented by promoting the Gyeongsan University Campus Town project.
In detail, we run in-depth camps on core CSAT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math, and science during vacation, and local university professors and foreign students run a global education center for our students.
The plan is to support our students' language training as an overseas sister university of a local university, and to make full use of the infrastructure of local universities by partnering with companies and universities to operate job experience programs for each major.
In preparation for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university plans to expand its role in the local community by using the university as a lifelong education campus for Gyeongsan citizens and operating entrepreneurship and vocational training schools for youth, wom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Candidate Choi emphasized that Gyeongsan, a university city, can best carry out the 『Gyeongsan University Campus Town』 project.
In addition, preliminary candidate Choi is pushing for expansion of high school admission quota, taking into account the reality that about 200 local middle school students are going on to other regions due to the current high school quota shortage. With the attraction of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mind, we also promised to foster Meister High School, which provides vocational education tailored to high-tech industrial complexes where employment and college admission are guarante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y said they would establish a system to comprehensively support the training and settlement of local talent by attracting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zones being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coope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offices of education, universities, local businesses, and public institutions. He also pledged to take the lead in attracting a 100 billion won glocal university project and develop local universities into prestigious universities.
In relation to after-school care, the government announced its intention to expand government support for the training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dedicated teachers to expand the implementation of Neulbom School, promote the early implementation of Neulbom School for all grades, and establish the Gyeongsan Youth Training Center early.
In relation to childcare, expansion of government support for child care, expansion of 365 open part-time daycare centers, support for emergency care through early construction of comprehensive childcare support centers, expansion of support for childbirth incentives, expansion of establishment of workplace daycare centers, support for quality part-time jobs for working mothers, and dedicated treatment for children at university hospitals. They presented specific pledges to create a city that is good for raising children, including centers.
Preliminary candidate Choi said, “It was the power of education that allowed me to work for the development of Gyeongsan in the past as a person from the countryside,” and added, “I will use my last remaining strength to help my hometown’s juniors develop big dreams for the future through the educational ladder.” He expressed his will to dedicate himself to developmen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특집 담당입니다. 진실하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의 입과 귀가 되겠습니다.
댓글
경산, 최경환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