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이성현 기자=대구보건대학교(총장 남성희)는 13일 호텔라온제나 5층 에떼르넬홀에서 ‘웰니스문화산업최고위과정(이하 최고위과정)’ 16기 개강식을 개최했다.
이번 최고위과정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식 공유를 목표로, 웰니스, 문화예술, 교양, 인문학 등 폭넓은 교육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CEO 과정이다. 2017년 시작된 이 과정은 이제까지 1041명의 동문을 배출했다.
행사는 1부 곰스컴퍼니의 뮤지컬 갈라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2부 개강식이 진행됐다. 개강식에는 남성희 대구보건대학교 총장의 환영사를 비롯해 DHC TOP 총동창회 김종섭 회장과 제15기 DHC TOP 김홍수 회장의 축사가 이어졌으며, 이후 16기 원우 소개와 수업 안내가 있었다.
이번 16기 과정은 ‘Be Trend setter’를 주제로 구성되어, 대중의 원츠(wants)나 니즈(needs)를 민감하게 반영하고, 다음 시대를 이끌어갈 기업과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강의들로 채워졌다.
3월부터 시작된 이번 16기 과정은 6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진행된다. 주요 강의 내용은 △AI사피엔스 시대의 생존전략(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교수) △빈센트 반 고흐(이창용 도슨트) △맵씨, 말씨, 마음씨(남성희 대구보건대학교 총장) △DHC TOP 캠프(1박 2일 워크숍) △모빌리티의 혁명 A.I. 무엇일까?(정지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대구문화예술기행 공연 관람 ‘탱고, 아르헨티나’ △새로운 미국, 어떻게 바라보고 투자해야 할까?(최정용 슈페리어 총괄 부사장) △정호승의 시이야기(정호승 시인) △당신의 불안은 정상입니다(이광민 마인드랩공간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새로운 생명의 시작, 심폐소생술(서보경 대구임상시뮬레이션센터장) △현대미술의 이해와 전시관람(김정 인당뮤지엄 관장) △샴페인, 섬세한 버블 속 화려한 이야기(김영준 대구보건대학교 경영본부장) 등 각 분야 최고 수준의 강사진이 참여한다.
남성희 대구보건대학교 총장은 “국내외 경제 변화와 AI, 디지털 혁신 등 기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최고위과정은 미래 경영 전략과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16기 최고위과정을 통해 원우들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Daegu Health College, Wellness Culture Industry Top-level Course 16th Opening Ceremony
Daegu Health College (President Nam Sung-hee) held the 16th opening ceremony of the ‘Wellness Culture Industry Top-level Cour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op-level Course)’ at the Eternal Hall on the 5th floor of Hotel Laonzena on the 13th.
This top-level course is a differentiated CEO course that provides a wide range of education in wellness, culture and arts, liberal arts, and humanities with the goal of systematic knowledge sharing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course, which began in 2017, has produced 1,041 alumni so far.
The event began with the musical gala congratulatory performance by Goms Company in the first part, followed by the opening ceremony in the second part. The opening ceremony included a welcoming speech by President Nam Sung-hee of Daegu Health College, followed by congratulatory speeches by Chairman Kim Jong-seop of the DHC TOP Alumni Association and Chairman Kim Hong-soo of the 15th DHC TOP, followed by an introduction of the 16th class and an introduction to classes.
This 16th course is organized under the theme of ‘Be Trend Setter’ and is filled with lectures that sensitively reflect the wants and needs of the public and help them grow into companies and individuals who will lead the next era.
This 16th course, which started in March, will be held over a total of 15 times until June. The main lecture contents are: △Survival Strategy in the AI Sapiens Era (Professor Jae-boong Choi of Sungkyunkwan University) △Vincent van Gogh (Docent Chang-yong Lee) △Spicy, Speech, and Heart (Nam Sung-hee, President of Daegu Health College) △DHC TOP Camp (1 night 2 days workshop) △Mobility Revolution A.I. What is it? (Professor Jeong Ji-hoon,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gu Culture and Arts Tour Performance Viewing ‘Tango, Argentina’ △New America, How Should We View and Invest? (Superior Executive Vice President Choi Jeong-yong) △Poetry Story of Jeong Ho-seung (Poet Jeong Ho-seung) △Your Anxiety is Normal (Director of Psychiatry at Mind Lab Space Lee Kwang-min) △The Beginning of a New Life, CPR (Director Seo Bo-gyeong, Daegu Clinical Simulation Center) △Understanding Modern Art and Exhibition Viewing (Director Kim Jeong, Indang Museum) △Champagne, a Splendid Story in a Delicate Bubble (Director of Management at Daegu Health College Kim Young-jun) etc. Top-level lecturers in each field will participate.
President Nam Seong-hee of Daegu Health College said, “Amidst rapid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y and the corporate environment, including AI and digital innovation, the top-level course will be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and leadership capabilities,” and added, “Through this 16th top-level course, we will spare no effort in providing practical support so that the students can seek new paradigms 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