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북도, 2025년 도-시군 안전정책 부서장 회의 개최...경북형 재난대응 체계 구축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2/05 [16:36]

경북도, 2025년 도-시군 안전정책 부서장 회의 개최...경북형 재난대응 체계 구축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5/02/05 [16:36]

【브레이크뉴스 경북】이성현 기자=경상북도는 5일 도청 회의실(206호)에서 도 안전행정실장을 비롯해 도 및 시군 안전정책 부서장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2025년 도-시군 안전정책 부서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안전정책_부서장_회의_개최  © 경북도


이번 회의는 재난안전 분야 현안사항 협조와 시군건의사항 등을 청취하여 도와 시군 간 협력을 바탕으로 한 현장 중심의경북형 재난대응 체계 구축과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특히,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K-마~어서대피 프로젝트)의 주요성과 및 추진계획을 시군에 설명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경상북도는 풍수해 등의 극한 기후에 대한 대비책으로 12시간 사전예보제와 마을순찰대 운영을 핵심으로 하는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인명피해 제로의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올해는 매뉴얼로 제도화하고 12시간 예측 시스템을 고도화하며 마을순찰대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등 주민 대피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데 노력할 예정이다.

 

또한, 경북은 지난 3일부터 역대급 한파에 따른 24시간 비상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도내에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취약계층 보호및 시설물 피해 저감 대책 강화 등에도 빈틈없이 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봄철 산불 발생 및 해빙기 안전사고에 철저한 대비와 경주에서열리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도내 안전관리 강화에도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시군 부서장들은 경상북도가 추진하는 주요 시책 및 사업에 대해 적극 검토하고 힘을 보태겠다고 밝히며, 잦은 비상근무와 업무의 중대성 등으로 기피 부서로 꼽히는 재난안전 부서 담당공무원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가져 달라고 건의했다.

 

박성수 안전행정실장은 “지난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의 성과는 시군의 적극적인 참여와 신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며 “도민의안전은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최우선 과제로 앞으로도 시군과의 협력을 통해 도민 보호 및 재난 대응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sangbuk-do holds 2025 provincial-city-county safety policy department heads meeting...Establishing Gyeongbuk-style disaster response system

 

Gyeongsangbuk-do announced that it held the '2025 provincial-city-county safety policy department heads meeting' on the 5th in the provincial office conference room (room 206) with about 50 people in attendance, including the provincial safety administration director and provincial and city-county safety policy department heads.

 

This meeting was prepared to establish and strengthen a Gyeongbuk-style disaster response system centered on the field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cities and counties by listening to cooperation on current issues in the disaster safety field and suggestions from cities and counties.

 

In particular, the main achievements and implementation plans of the Gyeongbuk-style resident evacuation system (K-Ma~Eoseo Evacuation Projec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Gyeongbuk-style disaster response system, were explained to cities and counties and active cooperation was requested.

 

Gyeongsangbuk-do achieved zero casualties last year through the Gyeongbuk-style resident evacuation system, which focuses on the 12-hour advance forecast system and village patrol unit operation as countermeasures against extreme weather such as flood damage.

 

This year, efforts will be made to stabilize the resident evacuation system by institutionalizing it as a manual, improving the 12-hour forecast system, and establishing a village patrol unit training course.

 

In addition, Gyeongsangbuk-do has been operating a 24-hour emergency system since the 3rd due to the unprecedented cold wave, and requested that measures be strengthened to protect vulnerable groups and reduce damage to facilities without any gaps to prevent casualties in the province.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in the province to thoroughly prepare for spring forest fires and safety accidents during the thawing season, and to successfully host the 2025 APEC Summit in Gyeongju.

 

The city and county department heads who attended the meeting that day stated that they would actively review and support the major policies and projects promoted by Gyeongsangbuk-do, and suggested that special attention be paid to boosting the morale of civil servants in charge of the disaster and safety department, which is considered a department to be avoided due to frequent emergency work and the importance of the work.

 

Park Seong-su, Director of the Safety Administration Office, said, “Last year’s Gyeongbuk-type resident evacuation system was achieved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trust of the cities and counties,” and “The safety of the citizens is an irreplaceable top priority, and we will continue to do our best to protect the citizens and respond to disaster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cities and countie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 경상북도, ‘2025년도 문화를 담은 산업단지’ 공모 선정… 총사업비 949억원 확보
  • 경북도,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 육성’ 2단계 사업 선정
  • 경북도, ‘2025 경북 숙련기술인 후계자 양성 지원사업’ 신청 접수 시작
  • 경상북도, '다솜쌀'과 '구름찰' 벼 종자 12.1톤 농가에 보급
  • 경북도,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저출생 정책평가센터' 개소
  • 경상북도, 2025년도 햇살에너지농사 융자지원계획 공고
  • 교육부, 경상북도, 안동시, ‘제8회 세계인문학포럼’ 성공적인 개최 위한 업무협약 체결
  • 경상북도, 벤처·창업하기 가장 좋은 도시로 거듭난다
  • 경상북도, ‘국립경국대학교 출범식’ 개최
  • 경상북도, K-과학자마을 착공식 개최… 은퇴과학자 위한 명품 주거단지 조성
  • 경상북도, 소공인 복합지원센터 구축 사업 선정…국비 25억 원 확보
  • 경주 APEC 제1차 고위관리회의, K-컬처로 빛나는 ‘황리단길 청년 감성 팝업스토어’ 인기
  • 경상북도, 마을밀착형 지역특화 공모사업 '굿센스' 본격 추진
  • 경북, 저출생 극복을 위한 장난감도서관 확충 나선다
  • 경북도, ㈜영풍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이행 현장 점검
  • 경북도, 필리핀 일리간시장과 교류 및 협력 논의
  • 경상북도, ‘에너지 3법’ 제정 통과로 에너지 혁신 선도
  • 경상북도, 영화산업 살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
  • 경상북도, 직업교육 혁신 지구 지원사업 3년 연장 승인
  • 경상북도, 2024년 지방자치단체 혁신평가 '우수'기관 선정
  •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