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영덕】박영재 기자=경북 의성 산불이 영덕군까지 확산되며 큰 피해를 입힌 가운데, 영덕군은 산불 진화를 위해 3일째 총력 대응 중이다.
27일, 군은 산불 완전 진화를 목표로 장비 134대와 인력 2,283명을 투입하고, 피해 지역인 지품면, 달산면, 영덕읍, 영해면 등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영덕군은 헬기 13대, 소방차 14대, 고성능 살수차 6대, 특장차 11대 등 대규모 장비와 함께, 공무원 300여 명, 소방·경찰·사회단체 274명 등 다양한 유관기관의 지원을 받아 진화 작업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진화 대상지는 산불 피해가 큰 9개 읍·면 중, 특히 피해가 심각한 지품면, 달산면, 영덕읍, 영해면 등이다. 진화작업은 산불의 심각도에 따라 장비와 인력을 7개 조로 나누어 발화 저지, 잔불 정리, 시설물 보호 등의 목표로 진행된다.
영덕군은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을 위해 대피소를 운영 중이다. 25일 한때 대피소에는 4,000명이 넘는 주민들이 대피했으나, 현재는 13개의 대피소에 979명이 거주하고 있다.
영덕군은 이재민들이 임시주거시설이 마련될 때까지 군이 보유한 공공숙박시설과 민간 숙박시설에 전원 수용할 계획이다. 또한, 구호물자 488개와 응급구호세트, 취사구호세트 등을 대피소에 공급하며, 주민들의 안전과 복지를 지원하고 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군민들이 화마의 공포에서 벗어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모든 자원과 인력을 동원해 산불 진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진화가 완료된 후 읍·면별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불은 25일 오후 5시 54분 경 청송군 신촌 부근에서 발생했으며, 당시 25m/s 이상의 강풍에 의해 급속히 확산되었다. 현재까지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은 20,000㏊ 이상으로 추정되며, 8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망자 중 일부는 차량 전소와 화재로 목숨을 잃었고, 부상자들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고 있다.
시설 피해도 심각하다. 주택 924동이 전소되었고, 차량 3대와 어선 6척도 피해를 입었다. 또한, 지품면과 달산면의 주민들은 정수장 피해로 단수와 불편을 겪고 있으며, 영덕읍과 지품면 일대에서는 정전과 통신장애가 발생한 상태다.
영덕군은 향후 피해 복구를 위한 피해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산불 진화가 완료되면 임시 주거시설 설치와 생계비 지원 등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Yeongdeok-gun, total mobilization for wildfire suppression and support for evacuated residents
As the wildfire in Uiseong, Gyeongbuk, spread to Yeongdeok-gun and caused significant damage, Yeongdeok-gun is responding with all its might for the third day to suppress the wildfire.
On the 27th, the county deployed 134 pieces of equipment and 2,283 personnel with the goal of completely suppressing the wildfire, and is conducting intensive fire suppression operations centered around the affected areas of Jipum-myeon, Dalsan-myeon, Yeongdeok-eup, and Yeonghae-myeon.
Yeongdeok-gun is strengthening its fire suppression operations with the support of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13 helicopters, 14 fire trucks, 6 high-performance water cannons, and 11 special vehicles, as well as 300 public officials, 274 firefighters, police officer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main fire suppression target areas are among the 9 towns and townships that suffered significant wildfire damage, especially Jipum-myeon, Dalsan-myeon, Yeongdeok-eup, and Yeonghae-myeon, which suffered serious damage. The firefighting operation is divided into 7 groups with equipment and personnel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forest fire, and is carried out with the goals of preventing ignition, putting out remaining fires, and protecting facilities.
Yeongdeok-gun is operating a shelter for residents affected by the forest fire. At one point on the 25th, over 4,000 residents were evacuated to the shelter, but currently 979 people are living in 13 shelters.
Yeongdeok-gun plans to accommodate all the displaced residents in public and private accommodation facilities owned by the county until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re prepared. In addition, 488 relief supplies, emergency relief kits, and cooking relief kits are being supplied to the shelters, and the safety and welfare of the residents are being supported.
Yeongdeok-gun Mayor Kim Gwang-yeol said,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residents to escape the fear of fire and return to their daily lives,” and added, “We are mobilizing all resources and personnel to put out the forest fire, and after the firefighting is complete, we will assess the damage status by town and district and prepare specific support measures.”
The forest fire broke out around 5:54 PM on the 25th near Sinchon, Cheongsong-gun, and rapidly spread due to strong winds of over 25 m/s at the time. The area damaged by the forest fire is estimated to be over 20,000 ha, with 8 deaths and 8 injuries. Some of the deceased lost their lives due to the total destruction of vehicles and fires, and the injured are being treated at hospitals.
The facility damage is also serious. 924 houses were completely burned down, and 3 vehicles and 6 fishing boats were also damaged. In addition, residents of Jipum-myeon and Dalsan-myeon are experiencing water shortages and inconveniences due to damage to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power outages and communication failures have occurred in Yeongdeok-eup and Jipum-myeon.
Yeongdeok-gun plans to conduct a damage status survey for future damage recovery, and once the forest fire is extinguished, it plans to promptly execute disaster relief fund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support for living expense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