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 마숙자 경북교육감 예비후보는 “한 아이도 소외당하지 않는 공교육을 만들겠다”며 공교육 내실화를 통한 교육격차 해소를 강조했다.
11일 마숙자 예비후보는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한 비정상적인 학사운영으로 학력격차가 심화되었다.”라며, “공교육의 내실화를 통해 교육격차를 해소해야한다.”고 주장을 밝혔다.
그는 “교육여건 취약 학교 집중 지원을 통해 학교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책임교육을 완성시킬 것.”이라면서 이와 함께 “교육 소외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포용 교육을 확대하여 학교 내 장애특성별 맞춤형 교육 환경 조성 및 교원인력 확대, 장애인·다문화 평등교육 및 특수교육 지원 내실화를 이루겠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아울러 마숙자 예비후보는 마을과 학교가 함께 아이를 키우는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확대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교육환경에 있는 아이들을 소외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협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 교육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마을 및 지자체 연계 돔봄교실 확대를 통한 돌봄 공백을 최소화 할 것” 이라고 전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reliminary candidate for the Gyeongbuk Superintendent of Education, Ma Sook-ja, stressed the importance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through substantive public education, saying, “I will create a public education where no child is left behind.”
On the 11th, Candidate Ma Sook-ja said, "The educational gap has deepened due to abnormal academic management due to the prolonged corona virus."
He said, “Through intensive support for schools with poor educational conditions, we will bridge the educational gap by school and complete responsible education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y.” We will create a customiz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each characteristic, expand the number of teachers, and improve support for equ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multicultural and special education,” he added.
In addition, the prospective homeless candidate emphasized the need for expanded oper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here the village and the school raise children together. In cooperation with education-related institutions, we will minimize the care gap through the expansion of dombom classes linked to villages and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