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대구】진예솔 기자=마숙자 경북교육감 예비후보는 “경북 지역 권역별 다문화센터와의 협약을 통해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경북교육을 만들겠다.”는 공약을 밝혔다.
27일 마숙자 예비후보는 “기존 다문화센터가 교육청이나 학교와 연계되지 않아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과 학부모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하며 “이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별 다문화 지정학교와 다문화센터, 교육청 간의 다문화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공유할 수 있는 재원을 마련하고, 효율적으로 다문화 가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내실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마숙자 예비후보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문화의 아이들이 함께 어울려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라고 주장하면서 “다문화센터가 주체가 되어 학교사회복지사와 학부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 운영해 학교 안 밖에서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올바른 가르침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다문화 가정에 대한 역차별 논란 등 다문화 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문화 이해교육과 다문화 포럼 개최 등 소통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견해를 밝히며 “늘어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정착을 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마 예비후보는 “정착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한 학부모 멘토링 교육과 각 가정의 원활한 정보 제공을 위한 통합적인 안내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며 대안을 제시하면서 “다문화시대에 맞춘 다문화이해 교육을 통해 인식을 개선하고 글로벌 경북교육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reliminary candidate for the Gyeongbuk Superintendent of Education Ma Sook-ja made a promise to “create Gyeongbuk education that leads the global era through agreements with multicultural centers for each region in Gyeongsangbuk-do.”
On the 27th, the preliminary candidate for the homeless person explained, “Existing multicultural centers are not connected with the education office or school, so it is difficult to provide necessary services to children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 will provide financial resources to build and share multicultural databases between designated schools, multicultural center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we will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spective candidate for homelessness insisted, “Throug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children of various cultures should be supported so that they can grow together and grow together.” We need to ensure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 the right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In particular, regarding negativ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the controversy over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he expressed his view that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for communication such as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holding multicultural forums so that we can understand each other.”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for settlement.”
In addition, Candidate Ma suggested an alternative, saying, “Through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ailored to the multicultural era, an integrated guidance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parent mentoring education based on successful settlement cases and for the smooth provision of information to each family.” We will improve awareness and create global Gyeongbuk educatio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특집 담당입니다. 진실하고 정확한 보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의 입과 귀가 되겠습니다.
댓글
경북, 교육감, 마숙자, 예비후보, 지방선거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