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브레이크뉴스대구경북

경북도, 이례적 강경 자세... 의성 화물터미널 배치 조목조목 설명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9/12 [17:13]

경북도, 이례적 강경 자세... 의성 화물터미널 배치 조목조목 설명

이성현 기자 | 입력 : 2024/09/12 [17:13]

【브레이크뉴스 경북 】이성현 기자=화물기 전용 터미널의 의성군 배치 결정이 곧 마무리 될 것이라고 경상북도가 밝혔다. 또, 의성군의 주장을 ‘떼쓰기’라 표현한 대구시에 대하여는 깊은 유감과 함께 사실상의 경고 목소리를 보냈다. 

 

경북도는 12일 전날 대구시 홍준표 시장이 경북 특정 지역을 가리키며‘떼쓰기’로 표현한 것과 관련, “대승적인 결정하에 당초 건의안과 국토부 제시안에 대한 기관 간 이견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군 공항 이전 사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고 못박으며 “(더욱이)군 공항 건설에 매진해야 할 대구시와는 무관한 일”이라며 대구시의 화물 터미널에 대한 과도한 언급에 대하여 경고했다. 

 

  ©12일 신공항과 행정통합 등 경상북도 현안에 대하여 브리핑을 자처하고 나선 이철우 경상북도자사

 

경북도는 이날 배포한 자료를 통해 “현재 원활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방부, 국토부, 경상북도, 의성군 등 관계기관은 협의체를 구성해 화물터미널 입지 문제에 대해 경제성, 항공 물류 효율성, 항공기 통행 안전성, 군 작전성 등에 대한 검토와 검증 과정을 진행하고 있고 조만간 합리적인 해법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30년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의 동시 개항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토부가 민간 공항 기본계획에서 통합시공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대구시는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는 SPC 구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는 대구시가 최근 제안한다고 내놓은 풀랜 B 등에 대하여 강력한 불만을 표시함과 동시에 과도한 참견 대신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자는 경고로 받아들여진다. 실제 올여름, 경북도에서는 대구시의 좌충우돌하는 몇 몇의 행정에 대한 깊은 불신과 더불어 불만이 폭주하고 있는 상태다.

 

경북도는 “화물기 전용 터미널은 단순히 한 지역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중남부권 거점 산업 간 물류 구심점 역할을 통해 대구·경북 전체의 경제적 도약을 위한 필수 기반 시설이다. 지역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면서도 국가적 프로젝트인 대구경북공항 건설의 방향성을 잃지 않는 대안”임을 재차 강조했다. 

 

그동안 경상북도는 의성에 화물터미널 설치 대안을 검토, 지난해 10월 제5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에 의성지역 화물기 전용 터미널 건설을 건의했고, 이후 국토교통부 장관의 “민간공항 기본계획 수립 시 화물터미널 설치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끌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2월 국토부의 대구경북공항 민간공항 건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착수된 이후, 관계기관들이 의성 화물터미널 설치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난항을 겪었고, 특히, 국방부는 시설 배치와 관련해 군 작전성 문제, 국토부는 항공 수요 및 화물터미널의 경제성 문제를 제기했다.

 

위기의 순간, 의성군과 경상북도는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설득과 지역의 여론 전달, 페덱스, 엠브레어, 에어인천 등 국내외 다수의 항공 관련 기업들과 MOU 체결 등의 적극적인 대처로 마침내 의성 화물터미널 건설을 국토부가 사실상 확정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기염을 토하면서 경북 도민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안정을 도출해 낸 바 있다. 최근 이 문제가 다시 불거진 것은 관계기관과 경상북도, 의성군 간의 이견 조율 협의 과정에서 대구시가 플랜 B 라는 사실상의 불가입장을 다시금 꺼내들면서다. 경북도는 대구시의 이같은 제안이 신공항을 뒤업자는 것이고, 과도한 해석과 참견이라는 입장이다. 실제, 경북도와 의성군은 이날 대구시를 향해 ‘예정보다 늦어진 SPC구성에 최선을 다하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도“대구․경북 500만 시도민의 염원이 담긴 대구경북공항이 단순히 공항 건설에 그치지 않고, 항공 MRO 및 항공산업클러스터, 스마트 항공 물류단지 등 신공항 중심의 항공산업 및 물류 서비스 기반 확대를 통한 시너지 창출로 지역산업 활성화와 국가 물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도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며 의성 복수화물 터미널 배치에 대한 기존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Gyeongsangbuk-do announced that the decision to place a cargo terminal in Uiseong-gun will be finalized soon. In addition, it expressed deep regret and effectively warned Daegu City for calling Uiseong-gun’s claim “a bunch of bullshit.”

 

On the 12th, Gyeongsangbuk-do stated in relation to Daegu Mayor Hong Joon-pyo’s reference to a specific area in Gyeongbuk the day before as “a bunch of bullshit,” “It is tru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the agencies regarding the original proposal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proposal under a magnanimous decision, but this is not an issue that could hinder the military airport relocation project,” and warned Daegu City about its excessive mention of the cargo terminal, saying, “(Moreover) it has nothing to do with Daegu City, which should be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military airport.”

 

Gyeongbuk Province emphasized in the materials distributed that day that, “Currently, in order to smoothly resolve the issu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yeongsangbuk-do, Uiseong-gun,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have formed a consultative body to review and verify the economic feasibility, aviation logistics efficiency, aircraft traffic safety, and military operational feasibility of the cargo terminal location issue, and a reasonable solution will be prepared soon.”

 

In addition, it repeatedly emphasized that, “Sinc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reviewing integrated construction methods in the basic plan for civilian airports in order to achieve the common goal of simultaneously opening military and civilian airports in 2030, it is time for Daegu City to focus all its efforts on forming the SPC, which is delayed compared to the original plan.” This is interpreted as a strong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recently proposed Full Plan B, etc. by Daegu City, and a warning to each person to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 instead of interfering excessively. In fact, this summer, Gyeongbuk Province is experiencing a surge of dissatisfaction along with deep distrust toward several administrative actions of Daegu City.

Gyeongbuk Province said, “A cargo-only terminal is not simply for the benefit of a single region. It i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facility for the economic leap of Daegu and Gyeongbuk as a whole by serving as a logistics hub betwee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It was emphasized again that it is an alternative that reflects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while not losing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roject of Daegu-Gyeongbuk Airport construction.

 

In the meantime, Gyeongsangbuk-do Province reviewed the alternative of installing a cargo terminal in Uiseong, and suggested the construction of a cargo-only terminal in the Uiseong area to President Yoon Seok-yeol at the 5th Central-Local Cooperation Conference in October last year, and later elicited a response from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at “we will actively consider installing a cargo terminal when establishing a basic plan for civil airports.”

 

Nevertheless, sinc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egan the Daegu-Gyeongbuk Airport Civil Airport Construction Basic Plan establishment service in December last year, related organization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negative views on the installation of the Uiseong cargo terminal.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aised issues with military operational feasibility regarding facility placemen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aised issues with aviation demand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cargo terminal.

 

At the moment of crisis, Uiseong County and Gyeongsangbuk-do actively responded by continuously persuading related organizations, conveying local public opinion, and signing MOUs with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viation-related companies such as FedEx, Embraer, and Air Incheon, and finally achieved the resul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virtually confirming the construction of Uiseong Cargo Terminal, thereby eliciting absolute support and stability from Gyeongsangbuk-do residents. This issue recently resurfaced when Daegu City once again brought up Plan B, which is essentially a no-no during the process of coordinating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Gyeongsangbuk-do, and Uiseong County. Gyeongsangbuk-do believes that Daegu City’s proposal is a backstabbing of the new airport and is excessive interpretation and meddling. In fact, Gyeongsangbuk-do and Uiseong County sent a message to Daegu City on this day, saying, “Do your best to form the SPC, which is later than scheduled.” Gyeongsangbuk-do Governor Lee Cheol-woo also emphasized his existing position on the deployment of the Uiseong multiple cargo terminal, saying, “The Daegu-Gyeongbuk Airport, which contains the wishes of 5 million citizens of Daegu and Gyeongbuk, does not stop at simply constructing an airport, but expands the aviation industry and logistics service base centered on the new airport, such as aviation MRO, aviation industry clusters, and smart aviation logistics complexes, to create synergy, thereby revitalizing local industries and strengthening national logistics competitiveness. We will focus all of the provincial government’s capabilities on this.”

브레이크뉴스 대구 본부장입니다. 기사제보: noonbk053@hanmail.net
  • 도배방지 이미지

경상북도, 이철우, 홍준표, 대구시, 신공항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